익명의 김아무개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286 11 - 지잡대생의 열등감
263 69 -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94 44 - 모든 천재(天才)는 초기에 조현병(調絃病)취급을 받았습니다.
53 85 - 철학자A에 대한 단상
23 4 - GPT가 조현병 만들기 쉽습니다. 조심하세요
54 13 - 두 달이라는 시간은 무언가를 판단하기엔 부족한 시간일까요?
11 11 - 갑자기 김박갤에 난입한 철학도 여러분께
56 14 - A-공간 메타-오더 우주론: 표준 팽창 모델의 완전 붕괴와 초월적 시간에 의한 시공간 A- 우주의 통합과 형식화
22 1 - 철학자 A에 대해서 소신발언하자면
43 10 - 이게 맞나 라는 생각이 계속 듭니다(일기장)
8 4 - 가짜 철학자를 구분하는 방법
11 3 - 철학자 A의 이론을 봤는데, FLRW 모델의 각 항목도 제대로 이해 못 하는 것 같음
13 7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철학자 A입니다. 당신들은 멍청합니다
41 46 - 숭국세단 라인 석사인데 교수님께 박사 풀펀딩 제안 받았어요
24 19 - 혹시 진지하게 통일장이론에 관심 있으신분들?
7 11 - 제발 교수님들 창업 이야기 하지마세요 ㅠㅠ
15 14 - 죄송하지만 저도 천재인 것 같습니다. 공학도 A
36 18 - 같은 랩실에 있는 사람을 경쟁 상대라고 볼 수 있을까요?
6 11 - 방통대 학사 출신이 테뉴어 교수
12 15 - 국내 박사 논문 개수
8 12 - 지인이 저 철학자A 인거같은데요....
27 12 - 대학원은 학벌로 안쳐준다는말 1도 이해안감
32 32 - 삼십대 후반에 대학원 석사 입학... 내 선택이지만 진짜 힘들다...
8 16 - 미국 유학 외 선택지?
1 21 - MIT 학점변환 유불리
0 11
-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재밌는 밀턴 프리드먼
94 44 8170 - 동서 랩노비를 모두 겪어온 사람이 보는 한국의 워라밸, 그리고 간곡한 당부의 말씀
집요한 블레즈 파스칼
63 9 6972 - 저는 연구실 생활이 너무 행복합니다..
부지런한 시몬 드 보부아르
285 45 70828 - 저 미국 교수입니다
우아한 아이작 뉴턴
325 102 91672 -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귀여운 레오나르도 다빈치
286 11 59880 - 대학원 수준이 너무 높아서 힘듭니다
건강한 아담 스미스
93 45 36552 -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뉘우치는 알렉산더 벨
325 36 67968 - 서른 중반 석사 졸업 미혼 아즈매의 대학원 단상
후회하는 백석
417 75 57165 - 내 석사생활 참 많은일들이 있엇네요^^
찌질한 어니스트 러더퍼드
200 34 66823 - (장문) 언제나 대학원은 신중하게 생각해야 하네요
털털한 카를 마르크스
216 23 84603 - 후배를 어느 정도로 케어 해주는게 맞는걸까요?
웃는 알렉산더 플레밍
76 32 36970 - 대학원에 답답한 친구들이 많이 보이네요...
세심한 피에르 페르마
296 32 53694 - 대학원 웬만하면 오지마라 (장문)
Marcello Malpighi
177 56 246651
가장 핫한 댓글은?
- 읽는 사람이 무심코 웃게 만드는 글재주가 있네요.
요즘 연구가 힘든데 덕분에 크게 웃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모든 천재(天才)는 초기에 조현병(調絃病)취급을 받았습니다.
48 - 그 정돈가? 싶었는데
실제 그래보이는 사례들이 있으니 납득이 가네요... 세상 참...
GPT가 조현병 만들기 쉽습니다. 조심하세요
17 - 그런 기질이 있으나 경미해서 드러나지 않는 사람을 순식간에 중증 환자로 만들기는 확실히 GPT가 우수한 것 같습니다. 그런 기질이 전혀 없는 사람에게 조현병을 유발시킬 수 있냐 없냐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GPT가 조현병 만들기 쉽습니다. 조심하세요
18 - 진짜 하등 헷갈릴만한 일도 없는 단어에다 냅다 한자박아두는거 개웃기네
철학자 A입니다. 당신들은 멍청합니다
30 - 숭국세단 ㅋㅋ 진짜 개찐따같누
숭국세단 라인 석사인데 교수님께 박사 풀펀딩 제안 받았어요
21 - 3가지 부류임. 1) 교수의 낮은 연봉 때문에 부수입이 필요해서 교원창업을 하는 경우, 2) 은퇴 이후 작은 일거리를 만들기 위해서 시작하는 경우, 3) 기술이 학교에서 사장되는게 너무 아까워서 스타트하는 경우. 1,2번은 최악인 것이고 3번은 기술을 개발한 대학원생과 교수 모두 윈-윈 할 수 있는 좋은 전략인데 문제는 미국처럼 교수가 자문만 해주는 역할로 빠지지 않고 대표를 직접 맡아서 다 이끄려고 하는게 문제임. 교수가 대표를 맡는 순간 대학원생은 어쩔 수 없이 회사의 업무에 개입을 해야하거든요.. VC나 AC의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건 일부 교수님의 잘못이 있기도 합니다. 기술을 설명하는건 전적으로 교수의 책임이고 그걸로 가치를 평가받는데 어렵게 설명을 했거나, 혹은 애시당초 매칭이 되지않을 파트너를 찾아온거겠죠. 어느 집단을 가도 상위 10% 이내만 경쟁력이 있습니다. 의사도 수술못하는 의사들 너무 많듯이요. 본인이 속한 그룹의 리더인 교수가 경쟁력이 있고 분명한 비전과 철학이 있는지를 항상 지켜보고 판단하시길. 한국의 분위기가 어렵긴하나, 그 명문대를 유학해서 교수하고 있던 교수들도 비슷해지는 것을 보면 결국 근본싸움임.
제발 교수님들 창업 이야기 하지마세요 ㅠㅠ
17 - 그냥 ㄹㅇㅋㅋ 이나 하라고 ㅋ
죄송하지만 저도 천재인 것 같습니다. 공학도 A
17 - 공학의 아름다움을 모르시니 참 안타깝습니다.
죄송하지만 저도 천재인 것 같습니다. 공학도 A
17 - 벌써 탬플릿 생겼네ㅋㅋ
죄송하지만 저도 천재인 것 같습니다. 공학도 A
16 - 뭔 얼마나 많은 케이스를 보셨다고 일반화를 하시나요 ㅎㅎ 전형적인 유학뽕 차신분 같네요.
참고로 저는 국내 spk에서 학위모두받고 탑스쿨 포닥+플래그쉽 주립대 임용된 케이슨데, 한국많은 학교의 연구 수준이 절대 낮지 않습니다.
글쓴이분의 극소수 케이스 보고 "한국박사과정이 실험컨셉도 이해못하더라" "중국신 논문찍어내기가 심하다" 등등의 평가절하를 하려고 하시는듯 합니다.
그냥 논문이 많은사람이면 그 사람을 통해서 배우시면 됩니다. 거기에서 어떻게든 "말도 안된다" 등으로 상대방을 낮춰서 본인이 더 우수하다고 말 안하셔도 됩니다. 저또한 논문편수가 꽤 많은편이고, 그중 탑저널도 세개 있었습니다. 그중 한개는 해외포닥 넘어와서 쓴거고요. 논문 많이쓰시다보면 연구를 하기전에 대충 어느정도 수준이 될지 보입니다. 기여도가 없이 흥미만으로 시작된 논문은 에디터든 리뷰어를 설득하기 힘듭니다. 반대로 연구많이하시면서 그런 연구 기여도를 빠르게 잡아내실수있으면 단기간이여도 좋은 연구하실수 있는거고요. 제 PI지도교수도 제 그 능력을 높게 평가해주셨고요. 근데 이런 insight는 논문 많이 보고, 또 써봐야지 생기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에서 말씀하시는 의도가 다분히 보이는데, 본인은 혹시 모르시고 쓰신글일까요? 저는 반대로 글쓴이분의 자존감이 굉장히 아쉽네요.
국내 박사 논문 개수
19 - 본인의 경험에서 국내 대학들의 박사과정생들의 역량이 떨어졌을지는 모르겟으나, 그 소수의 경험을 일반화 할수는 없습니다.
남의 성과는 의심하고, 깍아내리는데 어떻게 본인은 훌륭한 연구자가 되기 이전에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는지가 저는 궁금하네요.
사람마다 역량이 다릅니다. 어떤 사람은 1년에 5편 쓸수도 있죠. 논문 써보셨으니 아시겠지만 문제정의가 제일 중요하게 그 다음이 문제 해결 방법인데, 그걸 잘 하는 사람인가보죠.
님이 가장 먼저 배워야할 건 다른사람의 공적을 깍아내리지 않는 겁니다. 본인의 연구 성과가 중요한 만큼, 다른 사람의 연구 성과도 존중할줄 알아야합니다. 연구자가 되기전에 더 나은 사람이 되어야합니다.
국내 박사 논문 개수
15 - 모든 철학자가 저런 모습을 보이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대개 잘못된 방법으로 철학 아닌 철학은 운운하며 "스스로의 우월함"을 뽑내려고 할 때 저런 양상을 보입니다. 공자, 노자, 예수, 석가모니를 비롯해 소크라테스, 아리스토텔레스, 스피노자, 톨스토이 등 많은 철학자들은 화하고 사려 깊은 언어를 통해 논증과 사상을 설파하였습니다. 절대로 막무가내식 우기기 억지주장을 하지 않았죠.
탄압이라 주장하는 것도 스스로의 궤변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기재일 뿐입니다. 무언가를 주장하려면 그에 대한 근거와 함께 합리적이고 타당한 결론을 내려야겠죠. 근거 없이 아무런 문제도 해결 못하는 형이상학적인 주장을 무책임하게 늘어놓고, 그에 대한 반론을 제시하거나 근거를 요구하면 자신의 이론을 탄압하지 말라고 주장하는 것은 스스로 자신의 주장이 궤변이라는 것을 알고 있단 반증입니다.
많은 이들이 철학에 대해 오해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절대로 현실에서 동떨어진 도 닦는 소리를 하는 학문이 아니었습니다. 서양의 경우 고대부터 자연철학으로 과학적으로 세상의 이치를 따지던 학문이었습니다. 동양도 마찬가집니다. 공자나 손자, 맹자, 노자, 묵자 등은 실제 국가의 통치체계에 적용 가능한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진리는 복잡하고 난해하며 심오한 것이 아닙니다. 짧은 문장으로도 강렬하며 깨우침을 주는 울림입니다. 그 사람이 주장하는 것에 진리가 있었다면 막무가내로 자신의 말이 옳다 주장하지 않았을 겁니다. 스스로 진리 없는 뜬구름 잡는 헛소리임을 알기 때문에 막무가내로 우겨대는 것입니다. 결국 이런 이들의 공통점은 자신의 이론이나 철학을 완성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습니다. 스스로 노력을 해서 무언가를 성취해본 적이 없으니, 타인의 노력과 성과를 폄훼하기 급급한 것이지요. 20대 때에도 이런 이들이 있으면 굉장히 피곤한데, 이런 부류와 30대 40대까지 알고 지내면 매순간이 고통으로 다가옵니다.
최대한 빨리 한 살이라도 어릴 때 관계를 정리하는 것이 보다 현명합니다.
지인이 저 철학자A 인거같은데요....
20 - 연대졸설대박>연대졸연대박 but 연대졸지잡박>>>>>지잡졸연대박
대학원은 학벌로 안쳐준다는말 1도 이해안감
16
- 미박 컨택 후 줌 미팅
76 - 다이렉트 박사 현실적 가능성 문의
114 - GPA 커트라인은 학부만 해당인가요?
121 - 대학원 유학 생각중인 학부생
191 - 미팅 준비
192 - MIT 학점변환 유불리
1459 - 미국 유학 외 선택지?
1302 - 미박 지원서를 몇 개를 써야할 지를 모르겠습니다
2187 - 다이렉트 박사 현실적 가능성
3481 - 미국 Top 30 기계/로봇 석사과정 합격 가능할까요..?
1869
- [2025 가을학기 UIUC 합격 인터뷰] ③ 토플 미니멈 실수... 이렇게 해결했다
1744 - [2025 가을학기 UIUC 합격 인터뷰] ② 컨택 9곳 중 6곳 답장, 인터뷰 5개 받은 비결
1620 - [2025 가을학기 UIUC 합격 인터뷰] ① 삼성전자 6년차, “TOP 30은 될 줄 알았죠”
3506 - [2024 가을학기 UIUC 합격] 김박사넷 유학교육 후기 - 3편
2152 - [2024 가을학기 UIUC 합격] 김박사넷 유학교육 후기 - 2편
1731 - [2024 가을학기 UIUC 합격] 김박사넷 유학교육 후기 - 1편
2310 - [2024 가을학기 UCLA 합격] 김박사넷 유학교육 후기 - 3편
1619 - [2024 가을학기 UCLA 합격] 김박사넷 유학교육 후기 - 2편
1663 - [2024 가을학기 UCLA 합격] 김박사넷 유학교육 후기 - 1편
2970 - [2024 가을학기 UMiich 합격] 김박사넷 유학교육 후기 - 3편
1490
- 2026년 KAIST 의과학대학원 WURF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24 - [연세대학교 OLED트랙] 26학년도 전기 연세대학교 석사/박사 대학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전문인력양성 Track 신입생 모집
31 - [연세대학교] 2026 융합보건의료대학원 신입생 모집
43 - 2026년도 전기 중앙대학교 의료인공지능학 대학원생 모집 (~ 11.16)
145 - [성균관대학교 언어·AI대학원] 2026학년도 전기 일반전형 모집요강 (~10. 28.(화) 18:00까지)
235 - 충북대학교 25학년도 전기 일반대학원 지식재산스마트융합학과간협동과정(석사 및 박사) 신입생 모집
109 - 2025 동계 포스텍 산업경영공학과 인턴십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207 - 2026 연세대학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전문인력양성사업 Track 전기 석사,박사 대학원 신입생 모집
171 - 2026 연세대학교 유기발광디스플레이 전문인력양성 Track 전기 석사,박사 대학원 신입생 모집
143 -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26학년도 전기 프롭테크전공 모집 안내
212
- 성균관대 기계 4.27 → 카이스트 기계 석사과정 합격
120 - 유니스트 물리 3.5 → 유니스트 물리 석사과정 합격
131 - 한양대 기계 3.3 → 한양대 기계 석사과정 합격
2394 - GIST 신소재 3.97 → 카이스트 신소재 석사과정 합격
2296 - 나고야대 화생공 3.69 → 카이스트 바뇌과 석사과정 합격
1738 - 충남대 수의 3.59 -> 전북대 수의 석사과정 합격
1404 - 성균관대 물리 3.7 -> 성균관대 물리 석박통합과정 합격
1578 - 지방 치의학-> 서울대 대학원 기초치의학
1351 - 중앙대 소프트 4.09 → 카이스트 전산 석사과정 합격
2283 - 서울과기대 컴공 3.3x → 고려대 전기전자공 석사과정 합격
2593
- Fully Funded PhD Opportunities in Bioelectronics at University of Houston
189 - [Indiana University] 사이버보안 분야 박사과정 모집
88 - [서울대 바이오이미징 및 바이오포토닉스 연구실] 학부 인턴 모집 – 광학, 인공지능, 바이오 융합 분야
268 - [싱가포르 국립대학(NUS)] Biomedical Engineering 대학원생 모집
529 - 가톨릭의대 스마트 생체재료 연구실 대학원생 및 인턴 모집(BK21+, 약물/유전자전달)
543 - 한양대 ERICA 반도체ㆍ디스플레이공학전공 연구실 대학원생 모집(석사과정도 해외학회 지원)
535 - [GIST 환경에너지공학과] 지구물질과학연구실 연구실에서 인턴 및 대학원생을 모집합니다.
643 -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생리학실 대학원생 모집 (2026년 1학기 입학, 11월초 원서접수 예정)
982 -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에서 Robotics와 Control 분야 박사과정을 모집합니다.
1216 -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생화학 및 면역학 실험실 대학원생 모집
881
- [CJ그룹 계열사] CJ 4DPLEX AI 기술 개발 PM 인재 모집 | CJ 4DPLEX | 마감일: 2025년 11월 11일
13 - [제일약품] 제제기술연구소 제제분석 팀장 채용 | 제일약품㈜ | 마감일: 2025년 11월 10일
10 -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4단계 BK21 사업단 신진연구인력 채용 공고(계약교수, 박사후연구원) (마감일: 2025년 11월 4일(화요일))
27 - 중앙대학교 화학공학과 연구원 및 박사후연구원 채용 공고 (마감일: 2025년11월30일)
34 - [Palworld Mobile] Engine Engineer (전문연구요원) | (주)크래프톤 | 마감일 2025년 12월 30일
27 - [Palworld Mobile] Client Engineer (전문연구요원) | (주)크래프톤 | 마감일 2025년 12월 30일
33 - [경력] 신약분석 책임급 연구원 | ㈜한독 | 마감일: 2025년 11월 02일
59 - 2024학년도 한국교원대학교 국립대학 육성사업 전담직원(연구원) 채용 공고 | 한국교원대학교 | 마감일: 2025년 10월 30일
81 - 인하대학교 해양예측연구실 전문연구원 채용 공고 | 해양예측연구실 | 마감일 2025년 11월 30일
85 - Qualcomm AI Research Korea 팀에서 인턴/정규직 연구원을 채용중입니다.
267
- [신한대학교] 2025.12.1.자 비전임교원 채용 공고
16 - [가톨릭관동대학교] 2025학년도 2학기 전임교원 신규채용
175 - [경기대학교] 2025-1차 경기대학교 예술대학원 강사 특별채용
109 - 2026학년도 1학기 한동대학교 전산전자공학부 전임교원 초빙
262 - [한동대학교] 2025학년도 2학기 전일제 비전임교원 초빙
236 - [한동대학교] 2026학년도 1학기 전임교원 초빙
306 - [단국대 전자전기공학과] 2026학년도 1학기 전임교원 초빙 안내
278 - 2026학년도 1학기 강원대학교 교수 초빙 공고
357 - 서울사이버대학 학부 전임교원 초빙 공고
522 - 2026학년도 1학기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교수초빙(정년트랙) 공고
753
- 원자력연구원 후기
2574 - 석사가 연구교수 된 경우
2817 - 한국 박사 후 미국대학 교수 임용 가능성 질문
4186 - 경영학: 지방사립경영대 에서 미국 R1 경영대 Tenure-Track 조교수 임용
3915 - 신임 교수 잉용 후 넋두리..
11631 - 임용후 넋두리..
2784 - 신임교수 수업 중 문의사항
3009 - UNIST 현직이 말하는 UNIST 교수생활
23034 - 싱가폴 국립연구소
7911 - 포닥 지원 및 합격 후기
9210
- 2025년 하반기 R&D 석/박사 산학장학생 (해외유학생) 채용
186 - 25년 3월 R&D 산학장학생(석/박사) 모집 | ㈜LX하우시스 | 마감일: 2025년 03월 31일
275 - 석/박사 산학장학생 채용 - AMB 분야(Active Magnetic Bearing) | 한화파워시스템㈜ | 마감일: 2025년 08월 29일
515 - 현대위아ㆍ한양대학교 석/박사 연구장학생 4기 모집 | 현대위아㈜ | 마감일: 2025년 08월 31일
445 - 2025 하반기 현대모비스 연구장학생 모집 | 현대모비스 | 마감일 2025년 9월 12일 12시
1131 - 2025 국내 석/박사 산학장학생 모집 - 온디바이스 AI | 엘지유플러스 | 마감일: 2025년 04월 13일
392 - 2025 통일과나눔 통일·북한 분야 대학원 석박사 장학생 모집(~3/9)
235 - 2025-2(후기), 파안장학문화재단법인이 장학생을 선발합니다
175 - JW이종호 재단 2025 기초과학 연구자 장학생 선발
249 - 2025 의암손병희 우수논문 장학생 선발 (~10/31)
243
- [무료교육] KAIST PIM반도체설계연구센터 SK 하이닉스 AiM 이론 및 실습 교육 (11/12~13 개최)
77 -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 첨단 질량분석과 인공지능(AI) 기술 트렌드 세미나
58 - Synbio Training And Research (STAR) Program for Undergraduates
61 - 2025년 문화체육관광 통계데이터 활용대회 개최 안내
63 - 한국무역협회 K-Trade & K-Shipping 영상 공모전(~11/17)
56 - 제1회 WATER KOREA 대학(원)생 논문 공모전 안내
57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25 KTA 터널·지하공간 Tech Dreaming 공모전
57 - 기계산업연구 2025년 하반기 논문 모집(2025.12. 발행)
63 - 대한가정학회 대학(원)생 연구발표대회 안내
203 - [추천공모전] 국부펀드 KIC, 논문 공모전(~9/26)
487
- [아시아여성연구원 정기학술대회] 11월 7일 금요일 개최 "초저출생·초고령 사회의 지속가능한 돌봄: 젠더, 정책, 기술 그리고 글로벌 변화"
- SBS 데이터사이언스와 저널리즘 아카데미 4기 교육생 모집 (~11/21)
- [연구 참여자 모집] 심신 연결: 건강한 삶에서 내수용감각의 역할
- (모집) 연구자용 노인 건강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 대한 사용성 및 실현 가능성 평가 대상자 모집
- 시스코 (CISCO) 보안 아카데미 4기 클래스메이트 모집
- 주 1회 1시간 온라인 영어 회화 마스터 하기
-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정기학술대회 홍보] 11월 7일 (금) "초저출생 초고령 사회의 지속가능한 돌봄: 젠더, 정책, 기술 그리고 글로벌 변화"
- [연구 참여자 모집] 이화여대 운동행동실험실에서 20-30대 청년 여성 대상자를 모집합니다
- AI와 간단한 인터뷰 하실 연구자분 모집 (온라인, 5분, 5000원)
- <모집> 이화여자대학교 노인 건강 데이터 수집 시스템 사용성 평가 대상자 모집 (일반 연구원 모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