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인턴 지원자가 우리 연구실 논문을 싹 읽어왔네요

IF : 1

2023.01.21

53

113630


달리 실험실 경력도 없고 학점도 특출나진 않고
나이도 다른 지원자들보단 많은 편인데

그래도 뭔가 열의가 기특한거같기도 하고..
아직 뽑기 전인데 그래도 눈길이 가긴 하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3개

2023.01.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만큼 간절하다는거겠죠

대댓글 1개

IF : 1

2023.01.21

그런 것 같습니다

2023.01.21

읽은거랑 이해를 한거랑 다르긴하겠지만 그래도 놀랍네요

2023.01.21

노력이 가상하긴하네요

2023.01.21

본인도 아무것도 가진게 없다는걸 알아서 경쟁력을 만들고싶었나보네

대댓글 10개

2023.01.22

이야 말 참 예쁘게 한다

2023.03.03

찡그린표사 61개는 첨보네 ㅋㅋㅋㅋㅋㅋㅋ

2023.04.03

227개 ㅋㅋㅋㅋㅋ

2023.04.18

273개 ㅋㅋ

2023.06.10

가정교육 수준이 댓글에 보이네 ㅋㅋ

2023.07.06

인생 이렇게 삐딱하게 살면 나중에 무조건 후회함ㅋㅋ 우리는 꼭 그러지 맙시다

2023.08.11

이게 그렇게 나쁜의도로 한 말이야...?

2024.02.26

객관화 잘하고 열심히 잘 했다는 의미로 쓴 거 아님? 좋은 뜻으로 쓴 거 같은데 비추가 많네

2024.05.05

아 다르고 어 다르죠. 찡그림표시 512개가 왜인지 생각해보면 좋겠네요

2024.07.24

한국 개돼지들 특징이 좀만 거슬리거나 주류의견에서 벗어나 보이면 절대악으로 규정하고 돌팔매질함. 모난돌이 정맞는다는 뜻
사려깊은 하인리히 헤르츠*

2023.01.22

입학전부터 모든 논문을 다 읽고 이해할 정도면 학점 학벌 상관없이 상위 5%는 될듯요

대댓글 1개

2023.01.26

입학전에 다 읽고 이해하면 상위 0.1%일듯요...

2023.01.22

정말 기특하네요. 결국엔 입학하고서도 의지와 노력이 굉장히 중요한 지표입니다.

2023.01.22

그정도 노력이면 입학해서 랩에 많이 기여할거 같은데요

2023.01.23

이야 진짜 이러면 안뽑을수가 있나 ㅋㅋㅋㅋ

2023.01.23

기본아님?

2023.01.23

김박사넷에 "어떤거 준비해야 할까요?" "이정도 성적인데 OOO라인 OO과 가능할까요?"하는 사람들과 아주 비교되는 능동적인 사람이네요.

2023.01.23

주변에서 정상적인 조언을 받은 분이실 거 같네요. 좋은 멘토를 둔 분 이십니다. 렙실에서도 잘 할거 같아요. 주변에 좋은 멘토가 있으니.

2023.01.23

느슨해진 대학원 판에 긴장감을 주는 진짜배기의 등장

2023.01.24

무조건 채용해야지!!! 연구에 크게 성공할 사람이여

2023.01.24

어케 읽었누..? ㄷㄷ

2023.01.24

스펙보다 의지 입니다

2023.01.25

와..저는 그 당시 정말 아무 생각도 준비도 없었는데 대단하네요

2023.01.25

읽었다는게 전부 이해하고, 본인이 들어와서 어떻게 기여하겠다 혹은 어떤 연구를 하고 싶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는 것일까요? 같은 지원자로써 본 받고 싶네요ㅎㅎ

2023.01.27

들어갈 때 그랬었던 게 기억나네요. 3년차고, 실력 인정 받고 같이 즐거운 연구하고 있습니다. 저라면 무조건 뽑을 듯요.

대댓글 1개

2024.03.15

존경합니다 선배님..!!

2023.03.04

읽어 왔다는 것은 어떻게 확인을 하나요?

2023.03.09

연구실 논문은 어디서 찾는 건가요? 지도교수 이름으로 찾는 건가요? 제가 가려는 랩실이 홈페이지가 없어서요-지나가던 학부생

대댓글 3개

2023.03.09

교수 이름, -> google scholar검색 -> 없으면 researchgate 검색

2023.03.09

감사합니다!! 그렇게 찾아봤는데 '이것밖에 없어?' 싶었는데 정말 그것밖에 없었던 것이군요...
짓궂은 존 필즈*

2023.06.07

보통은 교수 홈페이지에 올라가 있는데

2023.03.09

결국 누가 뽑혓는지 궁금합니다.

2023.03.10

읽었다는걸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대댓글 1개

2023.03.15

대화 좀 나눠보면 지원자가 어필하지 않았을까요 ㅋㅋㅋ
저도 가고 싶은 연구실 논문 한 50개정도 읽고 어필해본 경험이 있어서 공감이 가네요 ㅎㅎ
교수님이 좋아하셨었습니다 떨어졌지만

2023.03.31

노력이 하는 모습이 보기 좋네요

2023.04.02

잘난 사람 보다는 열심히하는 사람이 나중엔 뭐가 되던데

2023.04.23

이게 맞지
짓궂은 존 필즈*

2023.06.07

내용이해를 한 것인지가 없네요. 신임교수가 아니라면 교수연구한 논문들의 분야가 제법 다양할텐데 그걸 다 읽고 이해하는게 가능한가요?

2023.06.10

뽑혓나요>?????

2023.11.27

각 논문을 다 읽는다는 게 보통 Abstract 정도만 읽는 거죠? 설마 아무리 그래도 전체 내용을 다 읽진 못하겠죠...

대댓글 1개

2024.10.09

Abstract 읽는 건 그냥 다 하는 거고 ㅋㅋ 당연히 전문이지

2024.01.20

대단하군요 정말 전부 다 읽었을까 의문이 생기지만 뭐 그만큼 간절 하다는게 느껴지네요.

IF : 1

2024.01.31

진짜 너무이쁘다

2024.02.02

연구실 들어가기 전에 좀 읽어볼라해도 못알아들어서 못읽겠던데 대단하네

2024.03.16

이런사람 무조건 잡아야

2024.06.30

저도 연구실 인턴 지원하는 애들한테 꼭 추천해주는거... 연구실에서 낸 임팩트 있는 논문들 이해는 못해도 무조건 읽어가고 교수 박사과정때 논문도 무조오오오건 읽어라. 백이면 백 다 좋게 보더라구요

2024.07.24

개나소나 이해할 수 있는 쉬운 분야인가보네요.

2025.01.05

나이도 있고 전공도 아니고, 제가 지금 가고 싶은 대학원은 있지만 스스로 준비가 안된거 같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어떻게 어느 부분을 준비해야하는가란 부분도 고민했었는데 덕분에 감이 잡히네요!! 글에 나온 인턴분처럼 전부 다 싹은 힘들 것 같고 그래도 틈나는 데로 들어가서 내가 공부하고자 하는 방향에 도움이 될듯한 논문을 읽어보고 이해못하는 부분이 생길때마다 그 부분을 찾아 하나씩 채워 가다보면 어느 순간 준비도 되고 가서 잘 할 수 있을 것이란 자신감도 같이 채워갈 수 있겠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