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조현병환자는 타인에게 해를 끼칠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묻지마 살인사건 중 많은 사례가 조현병환자의 망상에서 시작되곤 합니다.
아즈매와 마음 건강
16
- 혹여나 마음 따뜻한 친구들이 공격적인 댓글에 대해 나를 대신해 변론해주느라 애쓸까봐 하는 말이지만 마음만 고맙게 받겠다. 세상에는 소수지만 자신의 언사에 받을 타인의 상처에 무감각하거나 즐기는 이도 있는것 같다. 우리가 반대 댓글로서 그들의 공감능력을 일깨워줄수는 없다. 안타깝지만 그의 인생 아니겠는가.
아즈매와 마음 건강
24
- 세상에 소름 끼치네.
이런 사람이랑 깉은 랩 쓸까 겁난다.
상태도 졸라 심각한거 같은데 그 예전 누구처럼 랩에 불지를지 누가 암?
전문직이라는 것도 망상 아님?
아니 예초부터 대학원은감?
아즈매와 마음 건강
23
- 오우 망상증환자가 쓴 글인줄 알았음 응원도 안 눌렀지.
다른 글은 이 글에 비해 점수도 안 올라 감. 다들 속은걸 아는거지.
서른 중반 석사 졸업 미혼 아즈매의 대학원 단상
16
- 일반적인 경우라면 말씀하신대로 학부생 글쓰기는 교수 첨삭 단계에서 95%가 바뀌는게 정상이고, 그래서 학부생이 SCI 1저자를 가저가는 일이 잘 없습니다. 몇년 간의 phd grind, 그 이후 몇 년간의 faculty grind를 따라잡기는 쉽지 않지요. 그래서 보통 학부생이 개발과 실험을 했더라도, 그 내용을 지시했던 석/박사과정 학생들이 1저자 역할을 하곤 합니다. academic reporting에 조금 더 훈련되어 있기도 하고, 결국 저자는 내용을 이해하고 그 내용을 글로 쓰는 사람이기 때문이죠.
그러나 글쓴이께서는 교수님과 둘이 연구를 하신 것 같네요. 교수님 입장에서는 1저자나 교신저자나 똑같은 main author이기에 개발과 실험에 수고한 학부생에게 1저자 role을 주시는 것 같습니다. 좋은 기회를 찾는 것, 그 기회를 잘 잡는 것, 지도 교수로 하여금 하나라도 더 챙겨주고 싶게 만드는 것, 모두 본인 실력입니다. 지도 교수님께 감사한 마음과 겸손한 태도를 가지시되, 그 자세를 바탕으로 다음 연구에서는 더 많은 역할을 하시길 바랍니다.
학부연구생 sci 논문 이게 맞나요
19
(장문) 언제나 대학원은 신중하게 생각해야 하네요
2022.11.05
19
37101

분명 들어가기 전까지만 해도 매사에 자신있고 열심히 할 자신이 있었습니다. 세상이 내꺼 같았고 박사까지 달리고자 했죠.
전 뇌전증이 있기에 전문연도 노릴겸 박사까지 달리고 싶었습니다. 훗날 제가 취업할때 면제로 발목 잡히고 싶지 않아서요.
근데 인생이란게 늘 제 뜻대로 안되네요
지난 2년동안 단 한번도 뭘 제대로 이룬게 없었네요. 분명 초창기에는 정말 열심히 뭘 생각하고 아이디어 열심히 냈는데, 2년동안 늘 결과물은 쓰레기였습니다. 열심히 한다고 생각했는데 늘 결과물은 쓰레기라서 남들에게 폐만 끼치고.
선배들도 초반에는 열심히 하는 제 모습 보고 이것저것 열심히 가르쳐주셨지만, 늘 모조리 망쳐버리는 저를 보고선 이젠 포기한듯합니다. 저 또한 도움 요청 매번 드리기도 죄송해서 그분들이 두려워 sos도 제대로 못하구요.
결국 디펜스 3일전, 저에게 남은거라곤 대인기피증이랑 우울증, 통째로 갈아엎어야하는 디펜스 ppt와 쓰레기 논문 2개 뿐이네요. 분명 초반에는 열정과 열의가 가득했는데, 무엇 하나 제 스스로 제대로된 업적이 없으니 그것마저 마모되었습니다.
야근이나 밤을 세고 싶어도 병 때문에 절대 금물이고 그로 인해 아무리 낮에 열심히 해도 늘 선배들에게 폐만 끼치고. 분명 좋으신 분들인데 서로 감정 상할 수밖에 없는 제가 한심합니다.
결국 박사는 못하겠습니다. 초기의 열정은 죄다 좌절감으로 교체되었고, 폐만 끼쳤으며, 무엇보다 몸이 야근을 절대로 용납 못하네요. 저의 2년이 날라간거 같고 결국 간질 군면제라는 딱지가 평생 저에게 붙겠지만, 악순환이 반복되어서 더는 못하겠네요. 박사도 열의가 있어야만 하는데 전 그 열정이 다 사라졌고.
학부생 여러분도 저를 반면교사 삼아 대학원 진학은 곰곰히 고민하시길 바라요. 적성이 맞는 사람에겐 더 없이 천국일지도 모르겠지만, 적성이 안 맞으면 아무리 악깡버 마인드라 해도 한계가 있네요. 초기의 열정은 사그라들고 실패만 늘어갈수도 있습니다.
그냥 요즘 괴로워서 주저리 한풀이 했습니다. 다들 좋은 하루되시길 바랄게요
김박사넷 추천 PICK! 김박사넷AI가 추천하는 게시글도 읽어보세요!
BEST
졸업 후 5억버는 사람이 되었네요..35
25
6485
-
1
25
2709
BEST
대학교수 VS 대기업2
23
6765
-
24
7
6978
-
3
40
8619
BEST
드디어 대학원 입학이 실감나네요27
10
7494
명예의전당
학계를 떠나며97
20
44325
-
98
43
37507
-
90
19
23148
고전인기
우리 할머니 얘기226
14
30972
-
98
67
63020
-
124
35
53391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김박사넷에서 드리는 유학준비 스타터팩 신청하기
533
kairi kaist ai 인턴 최종 결과
15
- 한양대 대학원도 서울캠 에리카 캠퍼스 다르게 생각하나요??
14
- 카이스트 반수 서울대
21
- S대 AI대학원 컨택됐는데 카이스트에도 지원하려고 합니다.
16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IF : 5
2022.11.05
2022.11.05
2022.11.05
대댓글 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