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파이썬 코드 작성 GPT 의존

2025.08.07

18

10304

안녕하세요. 전기 전자쪽 석사 입학하려는 학생입니다.
혹시 선배님들은 수식이나 제약 조건 파이썬으로 짤 때 GPT 활용 하시나요? 저는 코딩 능력이 많이 부족해서 제가 그냥 프롬포트로 제 아이디어랑 구조 정리해서 넣으면, GPT가 알려준 파이썬 코드를 그대로 가져다가 활용하고 있습니다.. 오류 나면 다시 오류 코드 긁어서 GPT 먹이고 다시 수정 받고 합니다.. 물론 코드 한 줄 한 줄 확인하며 이상한 부분 없는지, 제가 생각한 거랑 다른 부분이 없는지 검증을 하긴 하나 결과로 나온 코드 구조가 효율적인지는 구분도 못할 뿐더러 파이썬 코드를 제가 처음부터 직접 짜지는 못합니다... 어짜피 제가 머리 끙끙대며 시간 투자하고 써봐야 GPT보다 나을까 하는 우매한 생각과, 그래도 직접 코드 짤 줄 알아야 하니 스스로 코드 짜는 연습을 해봐야 하지 않을까하는 생각 사이에서 계속 고민하고 있습니다. (제 분야는 인공지능이나 AI쪽은 아니지만 파이썬이나 매트랩은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시뮬레이션을 많이 하는 분야입니다) 이에 대해 의견과 조언 요청드려도 될까요? 쓴 소리도 괜찮으니 솔직하게 말씀 주셔도 감사히 받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5.08.07

저도 그렇게 하는데요. 문제는 코드가 복잡해질 때, 제가 의도치 않은 부분이 포함되서 코드를 처음부터 다시 돌려야하는 경우가 생기더라구요.
그래서 초기 작성단계에서 부터 세세한 디테일들을 먼저 의논하고 확정되면 코드를 받는 방법으로 합니다.
그러다 디버깅 단계에서도 또 조건이 달라 질 경우도 있어서 항상 주의해야하긴 해요.

대댓글 1개

2025.08.07

그렇군요.. 지금보다 더 꼼꼼하게 확인하고 코드 전체를 이해해야겠네요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2025.08.07

매트랩쓰는거면 이론을 코딩화하는쪽일건데
그러면 그렇게 테크닉한 스킬이 필요가 없지않나 그냥 읽고 오류만 찾으면됨

대댓글 1개

2025.08.07

네 맞습니다 이론을 코딩화해서 시뮬레이션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저도 사실 읽고 오류 찾기 + 논리 확인 정도만 할 줄 알면 된다고 생각하고 해왔는데, 거의 천 줄 가까운 코드를 chat GPT에게 의존하며 하다보니 이게 맞나 하는 생각이 갑자기 들더라구요..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2025.08.07

계산물리 랩에서 석사하고 다른 랩으로 옮기긴 했는데, 석사과정이면 그거 별로 안좋은 습관 같습니다. 공대 시뮬이랑 물리 시뮬이랑 좀 다르긴 하겠지만.. 저는 매트랩 안쓰는 시뮬 돌렸거든요.
파이썬밖에 쓸줄 몰랐어서 당시 교수님이 악으로 깡으로 C++로 코드 짜오라고 시켰는데 언어는 자기가 쓸 줄 알아야 자기것이 되는거지 읽는거 백날천날 해봐야 안늘어요
초기에는 혼자서라도 코딩연습하고 알고리즘 짜보고 해야 나중에 어디서 오류 터지는지 잡아내는 직관이 쌓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8.07

댓글이 좀 두서없는데 C++코드를 학부때 배워서 읽을줄은 알았었는데 직접 코딩해봤던 적은 없었다는 뜻으로 적었습니다.

2025.08.08

일단 구독서비스 이용하시고 어차피 라인 바이 라인 의도한 대로 아웃풋 나오는 지 검증하시니 괜찮을 것 같은데요. 효율성은 코드가 복잡해질 수록 말아먹긴 하더군요. 어차피 이래도 이년 저래도 이년은 들여야 익숙해지실겁니다.

2025.08.08

선생님 저도 지피티를 썼었는데
아무리 제가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rfp를 전달해도,
작업이 반복되면 환각이나 왜곡이 생기더라구요.

그래서 저번달부터 클로드로 바꿨는데 클로드가 훨씬 나나은 것 같습니다. 저한테는.. 혹시나 해서 추천드려요.

2025.08.08

딱히 상관 없어요 이제 앞으로 사람이 코드 직접짜는 구조는 없어지고 코드 구조 설계하고 디버깅하는 추세로 바뀔겁니다.

2025.08.08

상관없고 효율성은 좋은데,

문제는 gpt의존도가 높아 gpt없이 코드 짜는건

불가능해집니다.

좀 바보되기 좋은 상황인거 같음.

2025.08.08

상황에 맞게 적응하면 되는듯요.. 무식하게 할 필요가 없어요 ㅎㅎ 현직 개발자인데 gpt 안쓰면 멍청이입니다

2025.08.08

읽을줄 알고 코드에 책임만 지신다면야 나쁠거없죠

2025.08.08

이제 코딩은 피드백 루프만 설정하면 클로드 코드가 디버깅까지 해줍니다. 그냥 AI 쓰세요.

2025.08.08

석사 취업이 목표인가요? 구현된 코드에 대해 그래도 내재화 안시키면, 취업 시 코테에서 광탈합니다. 요새 채용 너무 치열해서 코테 솔루션 거의 다 맞아도 탈락함

대댓글 1개

2025.08.08

지금보니 전기 전자 분야네요. 그러면야 뭐... 모로가도 서울만 가도되지 않을까요 ㅎㅎ

2025.08.08

시뮬레이션에서 수식이면 코어 아니에요? 연구 다끝나거나 결과 다뽑은 다음에 이상해서 고치면 시간낭비 크지 않나요? 확실한 검증방법이 따로 있으면 상관 없지만요.
그래서 저는 그래프 그리거나 후처리 할 때 쓰긴합니다

2025.08.08

커서나 윈드서프 ai 도 괜찮아요 개인적으론 커서

2025.08.12

어셈블리 몰라도 다들 코딩 하잖아요~

어셈블리:파이썬=손코딩:바이브코딩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