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여기 보니 학문이 가진 자들만을 위한 헤게모니가 되길 바라는

2025.10.09

3

259

사람들이 좀 있는 듯.

사람의 능력이라는 것은 온전히 개인이 이뤄낸 성취가 아니라 성취 + 그 사람의 환경임.

그리고 이 환경이 불리한 사람이 있고 유리한 사람이 있는데,

유리한 사람만 대학원 와라 하다 보면 사회가 편향됨.

그걸 막기 위해 최소한의 환경적 요인을 상쇄시키고

성취도만으로 경쟁하도록 조건을 만들어주려고 노력하는 게 공산주의임? 공산주의의 정의는 알기는 함?


대학원은 의무교육이 아니니까 교수가 장학금, 인건비 줄 의무가 없다고들 하시는데,

교수가 부모가 아니니까 달라고 하지 말라고 하시는데,

의무교육 아니기 때문에 유복한 집안 애들만 대학원 오라 하실 거면 최소한 학문의 보편성은 부정하시길.

학생들이 하는 말은 교수에게 달라는 게 아니라 교수가 따온 정부 돈, 기업 돈에서 분배 해달라는 것임.

왜 남의 돈에서 끌어 와 놓고 자기 돈 쓰는 것처럼 아까워하고 분개함?

간단함. 사람이 일을 했고, 기여를 했으면 돈을 지급하면 됨.

노동자성을 부정하고 학생임을 어필하고 싶다면, 학생을 교육하면 됨.

둘 다 안 하는 교수들이 진짜로 있다는 게 문제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개

2025.10.09

진짜 너무너무 돈 아까운 교수들은 대학원생 지도하지 말고 ChatGPT 쓰면 됨. 한달에 40불 정도 내고 ChatGPT한테 논문 대신 써달라고 하고 Certainly!로 시작하는 아웃풋 복사해서 논문 제출했다가 조리돌림 당하고 그래보셈. 난장판에 꿀잼일듯.

2025.10.09

학문의 보편성을 교수들 스스로 부정하면 무슨 일이 생길까요? 왜 사회가 교수들에게 grant를 줘야 하죠? 지들 밖에 모르는 인간들이 되는데?

2025.10.09

공익, 공동체라는 지평 위에서 기회를 얻은 인간들이, 부담 가는 일은 대학원은 사교육이라는 논리를 들어 빠져나가는 것은 자기모순입니다. 사회가 당신들 취미생활하라고 돈 대주는 게 아닙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