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대학원 졸업하고 교수에 임용이 안되도 연구자의 길을 계속 이어나갈 방법이 있나요?

2025.08.10

20

10812

교수루트를 타지못해도 연구자의길을 계속 이어나갈 방법이 존재하는지 궁금해서 글 한번 남겨봄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0개

2025.08.10

회사나 출연연 연구원으로 가는 거죠
대신 pi는 못되는 거고 테크니션, 오퍼레이터에 가까운
Pi가 시키는 것만 하면 됩니다 자신의 의견을 낼 필요도 없고
뭔가 개선할 필요 없고 대신 한 번도 안해본 것을 할 수도 있네여

대댓글 4개

2025.08.10

회사에 다녀도 논문을 쓰고 학회에 다닐수가 있나요?? 회사에서 연구했던 내용들을 논문으로 제출해도 될련지?

2025.08.10

그건 회사랑 논의해야죠
특허로 내야할 내용이거나 외부유출하면안되는 기밀이라면 안되겟죠?

2025.08.10

이짓하다가 현타와서 70%는 다시 박사하러오더라 ㅋㅋㅋㅋ

2025.08.10

Pi가 넣어주면 논문 내고 피아이가 보내주면 학회도 가요
근데, pi 랑 연구교수 급 이 아니라면 한계도 있고
결국 루틴한 일만, 그게 틀리더라도 그냥 일만하고 통장에 돈 꽂히는 것만 보면서 사는 거에요
뭔가를 해결하고 뭔가를 만들고 싶다면 pi급으로 올라가거나 경력 많이 쌓아서 pi한테 자기 의견이 먹히게 하거나 해야되요

2025.08.10

포닥하고 출연연이나 기업연구소에서 실적 꽤 쌓은 분들은
40 언저리에 교수임용되는 케이스 흔하니까 그런루트노리시는게

대댓글 2개

2025.08.10

기업으로 갔다고 꼭 교수임용의 길이 없어지는건 아니군여.. 감사합니다.

2025.08.10

임용된지 얼마안됬는데 퍼블리케이션 주렁주렁 달린분들 보면
KRICT같은 곳에서 수년 구르다 오신분들 많아요

2025.08.10

박사 졸업하고 교수 자리 없어서 연구교수하는 분들 많습니다. 교수는 주차장 개념이라서 티오나면 그 스펙에 맞는 사람들 인맥으로 임용되는 경우가 많아서, 공채로 임용되는 경우가 극히 드문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비정규직 연구교수로 채용되서 논문 연구하고 그렇게 지내는 분들 박사 졸업하고 8할 비중 됩니다.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대댓글 4개

2025.08.10

공채로 임용되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뇨... 교수 지원하는사람들 대부분 다 인맥 한가락 하는 사람들입니다 그사람들끼리 경쟁하는거라 인맥이고 뭐고 없어요 굳이 유리한거라면 자대출신정도

2025.08.10

그리고 교육계 자체가 시대상 무너진 판국에
대학들도 통합하고 교원수도 감축되고 전임교수 자체를 잘 안 뽑는 실정이라서, 대학들도 몇년전부터는 겸임교수랑 초빙교수 인원수를 늘려서 인건비 세이브 하려고 하는 판국임~

2025.08.12

공채로 임용되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뇨;; 진짜 밑도끝도없이 감떨어지는 분 같아서 한숨만 나오네요..

2025.08.12

정확히는 명목상 공채로 임용되지만 그 안을 들여다보면 인맥싸움이죠. 이미 내정자가 있는경우가 대부분이구요.

2025.08.10

윗분들 말씀대로 연구교수 하다가 > 교수, 아니면 회사 박사 책임급으로 갔다가 > 교수 하는 케이스도 많아용

2025.08.10

독립연구자들 있죠.
궁리 나 몇몇 네트워크도 있던데 현실적을 쉽지 않은.

2025.08.10

출연연이 잘 골라가시면 됩니다. 출연연은 본인 연구를 선임때부터 충분히 할수 있는곳 많아요.

2025.08.11

분야에 따라서 (예. AI) 회사에서도 논문 출판 장려하는 경우도 많아요

2025.08.11

교수나 출연연 중에 하나가면 독립적인 연구자로 일하는거임.
보통 둘 다 학계로 묶음. 출연연이나 학교나 잘 골라가야되긴 하는데.
출연연은 분야별로 1-2개 대표하는 곳으로.. 학교는 지거국 이상은 가야 그래도 연구 가능.

2025.08.11

요즘은 과제상황이 안좋아졌지만 ㅇ작년만해도 fresh postdoc에게주는 과제가 많았어요. 신진연구자에게 베네핏을 주는 과제 수주해서 독립연구하며 연구 환경을 바꿔보시는것도 좋습니다. 그리고 올해부터 한국도 호라이즌 eu펀딩 신청할 수 있으니 그것도 도전해보시구요. 연구 열심히하시면서 자리 알아보시면 길이 생길 수 있습니다. 전 과제는 땄지만 자리알아보는건 못하고 있는건 비밀이지만..

2025.08.19

일반 기업 연구실이 열려 있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