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단독저자로 낸다. 2. 박사때 지도교수 이름을 넣고 낸다. 3. 같은 연구소 동기와 낸다?
제가 고민하는 이유는 논문 제출시 학교 네임벨류가 있냐는 점입니다. 저는 spk 중 한 곳을 졸업했습니다. 박사 지도교수님은 외국 리뷰어들 spk 전부 알고 학교 네임벨류 덕분에 논문이 억셉되었다고 언제나 주장합니다. (박사 지도교수님 학계에서의 인지도는 전무합니다.)
아마 리뷰어는 대부분 중국인이나 유럽, 미국 사람들인데 한국 spk를 알까? 알더라도 그게 리뷰에 영향을 줄까?가 고민입니다.
물론 지도교수님에게 피드백을 받아 논문을 발전시킬 수 있으면 훨씬 서로에게 이익이 되지만, 박사부터 이후 연구소에 와서도 단 한번도 연구 피드백을 받은 적이 없습니다. 늘 요청하면 본인이 얼마나 바쁜지 아느냐는 말 뿐이었습니다.
위의 네임벨류 이외에 저자를 넣었을 때 다른 이득 (향후 학계 진출 등)은 전혀 없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5.06.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지도 교수님 실적 올려주셔야죠. 그게 중요한 것입니다.
대댓글 1개
2025.06.02
역시 김박사넷 분들의 insight는 상당하시네요
2025.06.01
독립해서 자리잡으셨으면 그런 판단 및 책임 일체를 스스로 감당하시는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모교의 교수님을 교신으로 넣고 그 후광을 받을지에 대한 고민인 것 같은데, 오늘이든 훗날이든 언젠가는 본인이 지도교수님보다 더 전문가로 인정을 받는 편이 좋을 것 같아요.
대댓글 1개
2025.06.02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국제 사회에서 한국이라는 나라의 모교의 후광이란 것 자체가 있는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 드렸습니다 ㅠㅠ 저는 혼자 내고 싶습니다 ㅎㅎ 말씀하신 독립적인 연구자가 되어야죠
2025.06.01
그런 태도를 보이는 지도교수님이라면 별로 넣고 싶지 않은데요
대댓글 1개
2025.06.02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2025.06.01
교수님이 그 연구에 contribution 하고 발전에 도움이 될 수있다면 넣으시고 아니라면 굳이..? 이제 independent 한 연구자시잖아요 추후 코웍 등 도모할 게 있다면 공유 하고 insight 를 구하시면 좋겠지만 막연히 지도교수였으니 해야하나? 는 굳이..?입니다
대댓글 1개
2025.06.02
애초에 연구를 거의 안하고 실적도 거의 안나오는 연구실이라 추후 코웍이랄게.... ㅎㅎ.... 아주 좋은 말씀이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06.01
아무런 도움이 안됐으면 안넣는게 맞죠... 처음부터 잘못된 관계로 가면 나중에 돌이키기 어렵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6.02
이렇게는 생각 못했네요... 나중에 계속 뭔가를 요구할 수도 있겠네요! 의견 감사합니다!
2025.06.02
애초에 indenpendent researcher이신데 교수 넣을 생각을 왜하시죠? 앞으로 연구인생 긴데 이제부터라도 혼자 일어서시길 자랍니다.
대댓글 1개
2025.06.02
그렇죠...?? 큰 고민은 되지 않았는데 확실히 해결되었습니다 ㅎㅎ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2025.06.03
취업에 성공하여 근무중이라면 현재 부서장급이 아닐테니 해당 부서장에게 논문 출판 가능여부부터 확인 받아야 할거고. 회사내 이름들어갈 사람부터 파악하는게 맞습니다. 기업에서는 일부러 논문 내는 것을 금지하기도 합니다.
2025.06.06
저자 윤리 규정에 따르면 됩니다. 같이 데이터를 얻거나 토의나 스토리를 이야기해보거나 등 어떤 형태든 기여가 있고 그게 중요했다면 저자가 될 수 있죠. 그와 별도로 주요 대학들 연구실적이 좋아서 이공계에서 국제적으로 연구 좀 하면 꽤 알아요.
2025.06.01
대댓글 1개
2025.06.02
2025.06.01
대댓글 1개
2025.06.02
2025.06.01
대댓글 1개
2025.06.02
2025.06.01
대댓글 1개
2025.06.02
2025.06.01
대댓글 1개
2025.06.02
2025.06.02
대댓글 1개
2025.06.02
2025.06.03
2025.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