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인생의 4~5년 선택, 도피일까요

2025.08.10

14

4357

학부는 서울 마지노선 수준의 자연계 대학에서 매우 낮은 학점으로 졸업했고, 이를 커버하기 위해 국립대 석사과정을 마쳤습니다. 현재는 전공과는 꽤 다른 분야에서 3년째 근무 중입니다.

업무 강도는 높지 않지만 전공과 거리가 있어 경력 지속성에 대한 불안이 있었고, 연봉도 높지 않아 부모님이 “석사까지 나와서 네 월급이 우리보다 적네”라는 말을 하실 정도입니다.

연구를 계속하고 싶은 목표가 있어 박사과정을 알아보았고, 여러 연구실을 찾아봤으나 나이나 연구 상이 등으로 거절을 당했습니다.
현재는 서성한 아래급 대학 연구실과 컨택을 마친 상태입니다. 해당 대학을 말씀드렸더니 “그 대학은 잘 모르겠다”는 반응이 돌아와, 제가 생각했던 인지도와 괴리가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이어서 부모님이 “박사과정 마치면 나이때문에, 결혼은 못하겠네”라고 하셨습니다. 결혼은 나이와 연봉 때문에 이미 일찌감치 포기했지만, 그 말을 들으니 제가 더 한심스레 느껴졌습니다.

또한, 해당 연구실은 제가 참고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연구실들과 비교했을 때 전문성이 다소 낮아 보였고, 박사과정을 밟아도 경쟁력이 생길지 우려가 됩니다...


고민하는 지점

1. 랩바랩 및 연구바이연구겠지만, 박사과정은 서성한급 이상이어야 이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까요?

2. 컨텍한 연구실에서 시작하는 것이 나을까요, 아니면 더 시간을 들여 다른 연구실·기업을 찾아야 할까요?

3. 30대 초반 시점에서 퇴사 후 박사 진학과 퇴사 후 중견기업·연구소로 이직 중 어느 쪽이 현실적인 선택일까요? 저는 그저 월급/직무/결혼에서 도피하려는 걸까요.

실제 취업, 늦은 박사진학 경험이 있으신 분들의 냉정한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특히 늦은 나이 박사 진학 이후 경력 전개 가능성에 대해 듣고 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5.08.10

그냥 취직하세요
빅사 마친다고 딱히 잘버는것도 아닙니다
차라리 경력쌓는게 낫죠
컨텍도 딱히 잘된거 없고 별로 연구에 큰 목표도 없으신거 같은데
5년 길에 내다 버리는 겁니다

2025.08.10

아니면 기업에서 자금대주는 학연박사를 노려보시던지요
솔직히 박사에 나이가 중요하지않다고 말씀하시는 분들도있지만
회사에서 경력쌓는걸 버릴만큼 풀타임 박사가 가져다 주는 이득이 큰진 모르겠습니다

대댓글 3개

2025.08.10

댓글 감사합니다.
전공과 연구 대상이 전혀 다른 회사 경력이 이후 연구직에 의미가 있을까요?
회사 분야를 배우려 했지만 신입보다 실무가 부족합니다.
다만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연구에는 강점이 있습니다.
학연박사 제도 없는 중소기업인데, 연구직을 잇기 위해 어떤 선택이 현실적일까요?

2025.08.10

그럼 자금을 대주는 기업에 이직을하신후에 박사를 노려보시는것도 좋을듯
그런곳이라면 직무랑 연구랑 어느정도 매칭이 될테니까요

지금 경력이 연구랑 상관이없다고 하셧기때문에
풀타임박사 하고 나오면 자칫 경력있지만 없는듯한 물박사 취급 당할까봐 그래요

2025.08.10

좋은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참고하여 좋은 방향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025.08.10

우선 부모님과의 관계가 건강해보이지 않습니다. 부모님의 인정을 받기 위해서 본인의 진로를 선택하거나 하지마시고 본인 스스로 마음속의 소리를 들어보시지요. 어떤 진로를 선택하시던 연봉이 불만족스럽고 처우가 안좋을 수 있습니다. 다만 본인 스스로의 선택을 하셔야 그 선택에 온전히 책임을 지실 수 있거 앞으로 더욱 나아가실 수 있습니다. 좀 더 본인을 믿어보시는게 어떨까요

대댓글 2개

2025.08.10

좋은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그런 방향으론 생각하지 못했네요... 스스로를 믿어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025.08.11

저도 20대 자녀에게 xxx이하잡 같은 말 하지만 진지하게 하는 소리가 아닙니다. 스스로 하고싶은 일 찾고 노력하는 자식을 보는게 가장 든든하고 행복하답니다.

2025.08.10

박사를 한다고해서 더 좋은곳은 거의 없습니다. 특히 자연계일경우 더 심합니다. 학벌을 높이고 싶다면 미박을 가시는게... 더 유리해보입니다. 국내에서는 현재 학벌로는 ssh 박사를 나온다고해서 더좋은 곳을 기대하는게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8.10

좋은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영어 성적은 괜찮아서, 미박쪽 이직쪽 모두 진지하게 고려하겠습니다.

2025.08.10

하고싶은 걸 하세요. 대신 열정적으로 죽을 각오를 다 해서

2025.08.12

부모님에 휘둘릴 시기는 지난 것 같아 보입니다.
지금 하는 일을 계속 하셔서 자리를 완고히 잡으셔도 문제 없다고 생각되구요, 부모님의 말에 너무 인생을 휘둘리지 마세요.

그리고 부모님의 말도 조금 그런게 "월급" 관련 이야기도.. 진지하게 한 이야기면.. 윗 덧글처럼 바람직한 관계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대학도 "모르겠네" 같은 이야기도 당시 시대와 지금의 대학 네임벨류도 많이 달라졌을꺼고요..

만약 박사를 하시고 싶으시면, 1순위로 학계에 있을 각오를 하고 오셔야 합니다. 그래야 학위 받고도 학계를 떠나서 사기업 등에 갈 수 있지만 학위를 받는 과정 동안은 학계에 있겠다는 각오가 있어야 받으실 수 있을겁니다. 4-5년이 짧은 기간은 아니거든요.
단순히 취업을 위한 진학이면.. 현 상황에서는 별로인 선택이구요.

본인이 하고 싶으신거 하시고, 결혼이나 그 외 것들도 본인 인생입니다. 아무도 살아주지 않고, 책임져주지 않습니다..

2025.08.13

박사 진학 늦는건 상관 없습니다. 중요한건 님이 하고 싶은걸 하고 있느냐입니다. 정말 하고 싶은거 하세요, 다른 사람 눈치 보지 말고

2025.08.14

그만큼 더 오래산다 생각하면 도전할 수도 있는것 아닐까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