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생리학연구실 소개 (지도교수: 이현직)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생리학 연구실에서 의생명과학 연구에 참여할 열정적인 대학원생 (2026년 1학기 석사/박사/석박사통합과정)을 모집합니다. *입학 전 인턴 연구원 근무 가능하며, 금번 모집에서는 내국인 지원만 받고 있습니다. -수의생리학 실험실은 현재까지 세포생리학을 기반으로 다양한 난치성 질환과 세포치료제 개발 연구를 수행해오고 있으며, 다양한 이상영양환경, 산소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생리학적 변화를 확인하고 이를 타겟으로 한 다양한 치료전략(엑소좀 치료제, 줄기세포 치료제, 신약후보물질)을 연구합니다. 뿐만 아니라 우수한 연구노하우와 인프라를 바탕으로 Cell Death & Differentiation, Autophagy, Nature Communications와 같은 최상위 저널지에 꾸준히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위치 세종특별자치시 집현북로109 대학동4 세종공동캠퍼스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3층 공동실험실1
*학생 지도 및 연구 지원 (인프라 포함) -세포기능 평가, 분자세포생물학적 평가, 대사 평가, 유전자 편집 및 조절, NGS 등 세포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범위의 연구방법과 동물모델 실험을 직접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에 필요한 학문적 지식, 실험방법, 논문작성법에 대해서 젊고 의욕 넘치는 교수가 직접 지도합니다. -수의생리학 연구실은 현재 한국연구재단, 지역혁신사업 등 다양한 연구과제에서 연구비 지원을 받고 있으며 최소 3년이상의 연구비를 확보하고 있어 안정적으로 연구활동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수의생리학 연구실에는 연구원들이 효율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첨단고가기자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LEICA 공초점 형광현미경, Andor SRRF 초고해상도 형광현미경, 초원심분리기, Fluorometry, Cryotome, 웨스턴블롯 분석기자재, Real-time qPCR 등) -수의생리학 연구실에는 세종공동캠퍼스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충북대학교 유일의 첨단공동연구실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다른 첨단 연구실과 인프라 공유가 자유롭고 주변 연구원들과 상호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수의과대학 BK21PLUS 사업단 참여연구팀으로서 인건비 및 학회 참여 등 다양한 연구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연구실 차원에서도 학회 참석, 논문 발표, 특허 등록까지 전부 지원합니다. -연구실 소속 대학원생은 등록금 전액과 생활비를 일부 지급할 예정이며 연구성과에 따른 인센티브도 지원합니다.
*선발 절차 -선발절차는 서류평가 후 면접으로 이루어집니다. -저희와 함께할 우수한 연구인재를 기다리고 있사오니 관심있으신분은 leehyunjik@chungbuk.ac.kr로 지원부탁드리겠습니다.
*주요 연구분야 1. 당뇨성 뇌병증 또는 산발성 알츠하이머병 치료용 엑소좀 신약물질 개발 연구 2. 세포대사조절 기전 규명과 조절기술을 개발을 통한 당뇨성뇌병증 예방 및 치료 연구 3. 미토콘드리아 및 칼슘대사 조절을 활용한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연구
* 연구책임자의 대표업적 https://vetmed.chungbuk.ac.kr/content/professors -> 교수소개 -> 이현직 1. Urolithin A suppresses high glucose-induced neuronal amyloidogenesis by modulating TGM2-dependent ER-mitochondria contacts and calcium homeostasis, CELL DEATH AND DIFFERENTIATION, 28(1): 184-202, 2021. (IF: 15.4) 2. BICD1 mediates HIF1 alpha nuclear translocation in mesenchymal stem cells during hypoxia adaptation, CELL DEATH AND DIFFERENTIATION, 26(9): 1716-1734, 2019. (IF: 15.4) 3. Enhancing the therapeutic efficacy of mesenchymal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diabetes: Amelioration of mitochondrial dysfunction-induced senescence, BIOMEDICINE & PHARMACOTHERAPY, 168, 2023. (IF: 7.5) 4. Tacrolimus Improves Therapeutic Efficacy of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in Diabetic Retinopathy by Suppressing DRP1-Mediated Mitochondrial Fission, ANTIOXIDANTS, 12(9), 2023. (IF: 6.6) 5. Exosome-Mediated Mitochondrial Regulation: A Promising Therapeutic Tool for Alzheimer's Disease and Parkinson's Disease, INTERNATIONAL JOURNAL OF NANOMEDICINE, 20: 4903-4917, 2025. (IF: 6.5)
* 학위과정 지원의사가 있는 분은 leehyunjik@chungbuk.ac.kr로 아래 지원서류와 함께 메일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