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전 학부인턴으로 있을때 사건이 하나 있었는데 실험이나 연구와는 관련된 것이 아니고 학교 행사 준비 관련이었습니다. 그때 그때 발생한 사건이 그 누구의 잘못도 아니지만(제가 잘못한 건 전혀 없었습니다) 굉장히 서러운 일이 하나 있었고 그 이후 교수님과 모든 사람들에게 정이 털렸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아직까지도 그 일을 떠올리기만 하면 혈압이 오르고 그 인간들 꼴도 보기 싫어집니다.
사회에 가면 이런일이 허다하니깐 그냥 혼자 삭히는게 맞는걸까요? 완전 한이 맺혀서 생각만 나면 울어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5.11.06
뭔 사건이 있었는지 말해야 판단하죠 걍 앞뒤 다 짜르고 한 맺혔다 하면 어떻게 알아요?
2025.11.06
덮고 가야 되겠죠... 아님 다시 안볼 생각으로 나가시든... 사회생활이 다 그렇죠
2025.11.06
그냥 일만 생각하는게 그나마 정신 건강에 좋습니다 가족이라면 또 다르겠지만 다른 사람들은 보통 자기연구 자기논문에 관심 높지 님의 마음 등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2025.11.06
졸업할 때 야차룰 뜨자고 제안했습니다
2025.11.07
사회에 나가면 더한 일도 덜한 일도 많습니다. 버틸 수 있다면 버티는 것이고 아니다 싶으면 그만두는거죠.
2025.11.07
과거의 문제로 남은 감정이라면 삭히고요. 현재에도 문제가 남아있다면 당사자랑 대화를 통해 해결합니다. 근데 그 문제가 내 문제라면 나 자신과 심도있는 대화를 해봐야 하구요. 타인의 문제가 확실하다면 타인과, 필요하다면 제삼자의 중재하에 협상합니다. 내 문제가 아닌 것 같은데 타인과의 협상이 결렬되면 그냥 삭히고요. 삭혀지지 않으면 그때부터 타인의 문제와 별개로 삭혀지지 않는게 내 문제가 됩니다. 그리고 그 “내 문제”가 나의 연구활동을 지속가능하지 않게 만든다면 그때는 진로를 다시 고민해봐야 합니다. 연구실이나 학교를 옮기든가, 때려치고 취직을 하든가, 아니면 귀농해서 농사를 짓든가. 내 문제가 없고 타인의 문제라면 계속 학업에 정진하시면 됩니다. 타인의 문제때문에 학업에 정진이 안된다고요? 그러면 그 타인의 문제 뒤편 어딘가에 “나의 문제”도 감춰져 있는 겁니다. 찾아서 해결하세요. 해결이 안된다고요? 진로를 다시 고민하시면 되겠습니다.
대댓글 1개
2025.11.07
한 가지 빠뜨렸는데, 협상 테이블에는 “잘못된 것”, “옳은 것“, ”잘못되었으나 옳게되어야 하는 것”을 올리시면 안되고 “내가 바라는 것”과 “상대가 원하는 것”을 올려놓고 그 가운데에 무엇이 있는지를 서로 논의하시면 되겠습니다.
2025.11.06
2025.11.06
2025.11.06
2025.11.06
2025.11.07
2025.11.07
대댓글 1개
2025.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