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그냥 넘어가도 될일같은데 굳이싶음.
교수의 포옹 흔한가요?
13 - 외국살다온 교수인가보지;; 여긴 무슨 씹선비들만 있음?
교수의 포옹 흔한가요?
11 - 동성이면 넘어가도 될듯하나 이성이라면 교수가 문제 있는거지. 원래 문제 많은 애들 집단이긴 한데
교수의 포옹 흔한가요?
9 - 에휴 졸업식 끝나고 한번했다고 ㅋㅋ 사회생활 참~ 잘할듯
교수의 포옹 흔한가요?
14 - 사회생활은 저걸 그냥 넘긴다고 잘하는게 아냐
터진 입이라고 진짜
교수의 포옹 흔한가요?
11 - 내 학생 졸업하는 졸업식때 포옹 한번 하는게 그렇게 문제임????
저걸 불쾌하다고 받아들이는것도 난 이해를 못하겠다 ㅋㅋ
교수의 포옹 흔한가요?
10 - ㄴㄴ 많이보구요 실제 영향도있습니다
최근 임용된 케이스를 보니. 논문실적이 전부는 아닌 듯
11 - ㅋㅋㅋ 약간 고딩때 공부시간 자랑하는사람 같네
만약 저렇게 진심으로 하고 실적 못뽑으면 자괴감올듯ㅋㅋ
평일 9 to 11, 주말 쉬면 너무 적나요?
15 - 석사 신입생이 뭘 알겠습니까. 불편하셨으면 정말 죄송합니다..
평일 9 to 11, 주말 쉬면 너무 적나요?
9 - 아무것도 모르면서 헛소리하네ㅋㅋ
최근 임용된 케이스를 보니. 논문실적이 전부는 아닌 듯
9 - 진짜 꼬였다. 그리고 실적 당장 못내면 어때요.
포텐셜 키웠다고 생각하면 되고 그것도 아니면 진짜 내길이 아니구나 생각할 기회가 되죠.
열심히 하는게 무조건 이득인데 참...
평일 9 to 11, 주말 쉬면 너무 적나요?
14 - 공감합니다. 제가 포텐셜이랑 핏으로 임용된 케이스라서요. 논문실적은 질>양이고, 양은 생각보다 덜 중요한 느낌. 공저자의 리스트가 다양하고 해외공저자들 있는것 어필이 되었구나 + 주제핏이 잘 맞아서 뽑혔구나가 임용되고 느껴지더군요.
최근 임용된 케이스를 보니. 논문실적이 전부는 아닌 듯
9 - 교수님이 corresponding author로 모든 책임을 지시니 우선 교수님이 선택하는 것이고요.
교수님들의 경험에 의해서 내린 판단이라고 생각합니다.
먼저,
1. 글에서부터 풍기는 석사 졸업 예정자의 논문 내고 도망가는 경험
"저는 석사 졸업을 하기 전 빨리 논문 투고를 하고싶은데 "
"저도 어느정도 동의합니다만 석사 졸업을 하기 전에 논문 투고를 빨리 하고 싶은 것도 사실입니다."
이럴 경우, 부족한 수준으로 제출한 논문 리부탈은 나중에 본인이 하실 생각이 있으신가요?
2. 정말로 수준이 부족하다.
추가하고 내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3. 교수님의 완벽주의성
보통 논문은 장점이 많은 논문보다 단점이 없는 논문이 억셉이 됩니다. 부족한 부분이 보이는 순간 태클이 걸리기 때문이죠. 교수님도 이를 알기 때문에 완벽하게 대처를 하고 싶은 겁니다.
제가 경험한 수십명의 석사과정들이 논문 던지고 취업하고는 하기 싫어하는 사람이 너무 많아 정말 스트레스 많이 받습니다.
자 대안이 있습니다. 공동1저자 또는 1저자를 다른 학생한테 주고 나가세요.
하지만 아깝죠? 나중에 불평불만 내가 다했는데 어쩌고저쩌고 하겠죠?
지금 완벽히 끝내고 제출하세요.
논문 투고는 전적으로 교수님 재량인가요?
14
박사하며 느낀 한국 학계의 가장 큰 암덩어리
2022.07.05

박사 3년차 나부랭이의 편협한 시선일 수 있으나,
적어도 나름 다년간 연구실 생활하며 우리나라 학계를 좀 먹는 큰 원인이라고 느낌.
학생을 노예처럼 보고 기본적 인권이나 인건비를 챙겨주지 않는 것은 다반사요,
본인은 강남8학군 출신의 금수저로 경제적으로 걱정없는 생활을 누렸으면서
가난한 학생들에게 입에 담지도 못 할 말을 문제의식없이 하는 "높은 분들"
그러면서 학생과 대중을 무시하고 하찮다고 보시는 분들.
한번은 과기부에서 한림원과 IBS 등 여러 교수님들께 그들의 연구과정을
무료로 홍보해줄 기회를 주었음.
50만이 넘는 유명 유튜버들이 와서 대중적인 언어로 대중들과 소통할 기회였음.
하지만 '일부' 교수님들께선 대중과의 소통기회를 "그깟 일"로 치부하며 무시했고
그 기회는 다른 젊은 교수님들이 가져가시게 됨.
수십 만명의 사람들에게 본인의 연구를 홍보하고 대중들에게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것을 두고 "논문 안 쓰는 폴리페서나 텔레페서나 하는 일"이라고 생각하시니...
대중들이나 학생들과 동등한 눈 높이에서 바라보고 이야기하기보다
"나보다 아랫 것들"로 인지하는 이 나라의 일부 교수님들이 너무나 안타깝고 환멸감이 듦.
그 대중들이 본인에게 올 연구비의 타당성과 명분을 주고
본인이 가르치는 학생들이 나중에 본인이 못다한 일을 이어갈 후학들인데
왜 이토록 권위적인지 모르겠네요.
퇴근하며 안타까움과 아쉬움에 철 없는 소리 하소연해봤습니다.
국내 박사 무시받는 이유와 비애 김GPT 55 65 26386
한국교수의 단상 김GPT 74 56 15542
박사를 가면 안되는 사람 김GPT 24 16 28676
하이브레인넷 보면 되게 한숨나옴.. 김GPT 9 19 41476
한국 지방대 교수들 보면 드는 생각 김GPT 71 20 27894
요즘 교수 이상한 인간 많다 김GPT 65 14 13573
'한국교수의 단상' 글에 대한 아쉬움 김GPT 17 31 7552-
12 1 5878
교수의 폭언 김GPT 30 19 8455-
364 68 46181 -
158 29 45961
지도교수와 잘 맞는다는것 명예의전당 125 20 51372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연구-교육에 열정을 잃은 공대 교수님들께 드리는 시니컬한 메세지...(ㅂㄷㅂㄷ)
399 - 학연생들 아무 생각 없이 인턴 지망 안했으면 좋겠네요
19 - 교수님에게 들이박기
23 - 고용노동부에 본인 회사 일 시키는 교수님 신고 가능한가요?
25 - 박사 4년차 자퇴
9 - 나도 논문에 이런 그림 넣어보고 싶다
36 - 교수들은 연구할 시간이 없나요?
18 - 나는 진지하게 CVPR 오랄은 NCS 본지급 난이도라고 생각함.
21 - 대학원 신입생의 각오
9 - 대학원 전용 인트라넷 같은 것은 없나요?
7 - 논문 투고는 전적으로 교수님 재량인가요?
8 - Ncs본지 = cvpr 2편?
11 - 나쁜 교수 비율 vs 나쁜 학생 비율
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교수의 포옹 흔한가요?
23 - 랩 인원 및 교수님 인용수 봐주실 수 있을까요?
13 - 한양대는 교수 처우 어때요??(급여, 재임용승진 등)
10 - 최근 임용된 케이스를 보니. 논문실적이 전부는 아닌 듯
18 - 평일 9 to 11, 주말 쉬면 너무 적나요?
24 - 교수님한테 관심이 가는데 어떡하나요
9 - CVPR 포스터 1저자 써봤다면 어느정도 실력인가요?
10 - 아주대 ai 대학원 vs 중앙대 ai 대학원
10 - 멋진 실험장치 figure…
8 - 벌금 걷는 연구실
12 - 이런 경우 공동1저자
9 -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석박통합 기간이 어떻게 되시나요?
18 - 한국 대학원생 서열
10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연구-교육에 열정을 잃은 공대 교수님들께 드리는 시니컬한 메세지...(ㅂㄷㅂㄷ)
399 - 학연생들 아무 생각 없이 인턴 지망 안했으면 좋겠네요
19 - 교수님에게 들이박기
23 - 고용노동부에 본인 회사 일 시키는 교수님 신고 가능한가요?
25 - 박사 4년차 자퇴
9 - 나도 논문에 이런 그림 넣어보고 싶다
36 - 대학원 신입생의 각오
9 - 대학원 전용 인트라넷 같은 것은 없나요?
7 - 논문 투고는 전적으로 교수님 재량인가요?
8 - Ncs본지 = cvpr 2편?
11 - 나쁜 교수 비율 vs 나쁜 학생 비율
6 - 하향 지원했어... R1이면 다 좋을 줄 알았는데, 후회됩니다.
8 - 미국 유학 준비하시는 분들 장학금 정보 공유합니다.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유학 준비 중인 자연계열 학부 4학년 조언 부탁드립니다.
24 - 석사 학교 고민…
15 - 미박 학교 선택
16 - Y대 3.67/4.0 미국 박사 가능성
14 - 교수의 포옹 흔한가요?
23 - 랩 인원 및 교수님 인용수 봐주실 수 있을까요?
13 - 최근 임용된 케이스를 보니. 논문실적이 전부는 아닌 듯
18 - 평일 9 to 11, 주말 쉬면 너무 적나요?
24 - CVPR 포스터 1저자 써봤다면 어느정도 실력인가요?
10 - 아주대 ai 대학원 vs 중앙대 ai 대학원
10 - 벌금 걷는 연구실
12 -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석박통합 기간이 어떻게 되시나요?
18 - 한국 대학원생 서열
10
2022.07.05
대댓글 1개
2022.07.05
2022.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