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박사 학위 받는 곳에 따라 그렇게 차이나나요?

2025.08.15

5

2225

진짜 아무것도 모르는 학생입니다.

제가 주워 듣기로는

박사기준으로 학위받은 학교가
서포카 쪽을 가면 나중에 대기업 취업시 과장부터? 시작하고
연고포함 그 이하는 더 낮은 직급부터 시작하다 하더라구요..?

그럼 연고 이하부터는 취업에 불리한건가요...?

어디서 듣기로는 연구실이 중요하다 들었는데
연고이하에 좋은 연구실 나와도 취업시 서포카만큼
대우를 못받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취업시장뿐만 아니라
교수임용에도 크리티컬 하나요?

제가 나온 학교는 최상위 학교는 아니지만,
대부분 교수님들이 미박+ 서포카 출신 박사이긴했습니다.
근데 또 10~20퍼는 연고서성한, 혹은 그 이하 인서울 or 지거국 박사이신데도
교수가 되신분들이 존재했는데
이분들은 학위 받는곳의 불리함을 뛰어넘을 정도로 잘하시는 분들인가요?
아니면 그냥 학위차이는 거의없고, 성과만보고 뽑다보니 그냥 자연스래
뽑히신 분들일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5.08.15

요즘은 사기업에서 직급이나 대우를 다르게 하는 일은 많이 없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래도 취업할 때 좋은 학교면 유리하긴 하겠죠? 교수임용에는 솔직히 영향이 아예 없다고는 말씀못드리겠지만, 이공계열에서는 성과 좋으면 학벌 인식은 극복 가능합니다. 그런데 그냥 학벌 가산점때문에 뽑힌다기 보다는, 좀 재귀적인 대답이긴 하지만, 실적을 잘 낼만큼 능력이 좋은 사람은 애초에 좋은 대학에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는 방향으로도 생각해보세요.

2025.08.15

연고 이상 나오면 그렇게 대단한 차별 느끼시진 않을 것 같네요. 연고 이상 학부 나와서 박사하시면 연고 이상 대학 교수 다 할 수 있는데 서카포 임용에서는 서카포 출신 학부 비율을 보면 서카포 출신에 비해서 가능성이 낮죠. 단 자대 즉 연고 임용에선 좀 더 유리하겠지만요. 물론 실적이 뛰어나게 좋아야 하는 건 당연한 거고요. 대기업도 비슷합니다.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8.15

교수임용은 완벽한 케바케입니다. 인하대 학석박이 중앙대 교수하시는분도 계시고 서울대 학석박이 지방대에 계시는분도 있습니다. 본인 연구분야, 개인실적, 사회적인 관심분야, 각 학교 은퇴하시는분들 분야 등등, 여러가지 요소가 많이 작용하기 때문에 단순히 '실적이 월등히 좋아서' 또는 '학벌이 메리트가 있어서' 등으로 표현이 안됩니다.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