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AI 고수들 노하우 공유좀 해줘..ㅠㅠ

2025.10.11

9

246

나는 ai 쪽 연구하는 중인데 (정확히는 딴거하다 좀 틀었음)

연구하는게 요즘 너무 치열하기도 하고 다른 사람들 어케 연구하는지도 궁굼해서 글 올려봐

특히 소타(SOTA) 찍기가 너무 힘들어서.. 다들 어케해..? 소타 거의 못찍겠던데

내가 들은 바로는 제일 좋은 모델 들고와서 테세우스의 배 갈듯이 모델 계속 갈면서 모델 성능 올리기 정도는 들어봤는데 다른 식으로는 없나?
해보니 너무 노가다라.. 이게 맞나 싶네 ㅠㅠ

https://phdkim.net/board/free/64794

이글도 보니 연구 시작할때 다들 고생하는거 같은데 다들 어케 하는지 궁굼함...


이렇게 소타 찍기 말고 다른 도메인에 적용한다거나 이론적 전개라던가 뭐 이런거 해도 되는데

뭔가 다른 사람들 머신러닝에 분야에서 연구 어케 하는지 아이디어는 어케 얻는지 (나는 지피티/최신 컨퍼 논문/내 분야 적용) 뭐 요즘 이런게 궁굼함.. 좀 고수나 교수님들 공유좀 해줘 ㅎㅎㅎ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5.10.11

1) SOTA는 그냥 단순하게 다른 코드들을 뜯어보면 됩니다.
2) 결국엔 많이 알수록 보이는 거라 그냥 논문을 많이 읽으면 됩니다.

대댓글 1개

2025.10.11

1) 나는 예를 들면 다른 논문에 이런 모델을 썻다 그럼 한번 적용해보고 이런 식인데 그런식으로 뜯어보는건가?

2) 음 내가 캐치를 못하는거 같은게 이러한 모델을 쓰는 이유나 뭐 이런 직관이런걸 논문에서 잘 못잡겠던데 어떻게 이해하는지? 가끔 보다보면 이게 실험 많이 해서 결과 내는거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2025.10.11

이미 레드오션인 도메인에서 SOTA찍는것보다
연구주제를 잘잡아서 novelty로 논문쓰는게 훨씬 좋음.

대댓글 3개

2025.10.11

그니까 연구주제를 잘잡는 노하우? 노벨티 이런건 어떻게 방향을 정해? 지도교수가 지정해줌?

2025.10.11

지도교수가 물어다 주는 교수도 있지만 결국은 본인이 잘 찾아봐야지.
노하우라고 할건 없고 평소에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발표되는 논문들이나 컨퍼런스 봐야지뭐
창의력이라는것도 결국 기존 지식을 바탕으로 조합해서 만들어내는거니까

2025.10.11

결국 논문 계속보는게 답이구만

2025.10.11

코어ai는 솔직히 선두그룹아니면 참신한 아이디어말곤 sota찍기 힘든상태아냐?
그래서 도메인ai로 트는거고..

대댓글 1개

2025.10.11

그렇게 생각이 되긴해.. 그리고 소타 찍기 위해서 필요한 지피유 자원도 턱없이 부족해서...

그래도 뭔가 부족한 자원으로라도 좋은 연구하고 싶은데 (딥시크 애들 보고 많이 반성함, 얘들은 어찌되었던 결과를 만들어 내니까)

지금 하던대로 해도 논문이야 나오겠지만 다른 연구자들은 어케하는지가 궁굼해서지

코어 ai그룹이라도 결국 비슷비슷하게 흘러가는게 아닐까 싶기도 하고 결국 자원 싸움일려나..

2025.10.11

SOTA를 찍는 분야가 아닌, ai 중에 niche한 분야를 하고 있는데요. 공부를 하고 실험을 하고, 생각을 하는 만큼 novelty 확보가 할만한 것 같습니다. 일반 비전, 생성 모델, 그래픽스, 모델 연구 같은거는 레드오션 같아서 성능 대결하는건 대학원생 입장에서 쉽지 않아 보이네요,,
논리적, 이론적 novelty를 추구하고 성능적 novelty는 추구하지 않습니다 저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