굳이 신입으로 가야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학위 인정해주는게 연봉이랑 직급차이가 크게 작용해요 대기업에서 신입박사는 보통 경력직으로 채용합니다 필드가 희소해서 국내 기업이 많지 않은 경우라면 대기업 경력직 위주에 정출연 계약직도 함께 준비하시는게 좋을것 같아요 경력채용 결과가 안좋으면 정출연에서 커리어 이어가시다가 또 도전해도 좋을것 같네요
대댓글 2개
2024.06.09
박사학위를 딴다고 해서 제가 그만큼의 능력이 될꺼라고 현재 생각이 안들어서요 ㅠ
박사 수료만 한상태로 아니면 석사 졸업 타이틀만 가지고 취업을 하는게 맞나 고민중입니다.
솔찍히 현재 상태에서는 연봉이랑 직급이 중요하지 않게 느껴져요
오히려 낮은 직급으로 들어가게되면 그만큼 더 가늘고 길게 가는게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들어서요.
2024.06.10
저도 졸업할때 학위에 걸맞는 실력을 갖춘건가 고민 많이 했지만 그래도 지금까지 버틴 끈기로 앞으로도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믿음으로 버틴것 같네요 낮은 직급으로 들어간다고 해서 회사생활이 길어진다는 보장도 없습니다 오히려 대졸 신입보다 나이도 많아서 정년에 가까운걸요 그점에서 박사수료 혹은 석사로 들어가는게 큰 메리트가 있는것도 아닙니다 그리고 제가 다니는 회사 기준으로 대졸초봉하고 신입박사하고 연봉 1.5배 이상 차이나고 사원 vs 과장 직급으로 차이납니다 감사하게도 저에게 당장 과장 직급의 퍼포먼스를 바라지도 않아요 다들 기다려주시는 분위기니깐 너무 걱정 안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졸업 얼마 안남았는데 조금만 참아보시죠 나중에 엄청 후회하실것 같아서요... 나중에 후회돼서 돌아오려면 그때는 지금보다 포기할게 많습니다
2024.06.09
대기업은 힘들듯
2024.06.09
무슨말씀이신지.. 당연히 전일재 학생이시면 겸임이 안될테고요. 자퇴후 박사수료해서 취업하겠다는건지, 졸업후 취업하겠다는건지, 아니면 박사졸업전에 취업하고 박사디팬스를 나중에 하겠다는건지(이건 원칙적으로 당연히 불가능할거라 생각되는것+채용시 박사예정자/박사학위자로 지원하실거가 아닌지요) 이해가 잘안되네요.
대댓글 1개
2024.06.09
현재 박사 수료 상태이고 6개월 뒤에 디펜스가 예정되어 있는데
그냥 박사 수료 또는 석사 졸업으로 취업을 해서 취업이 되면 가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어볼려구 했어요
채용시 박사 예정자/박사 학위자로 현재 지원이 안되는 상태죠 아직 2분기니깐요
2024.06.09
졸업부터 하시죠
대댓글 1개
2024.06.09
졸업부터하는게 아니라 미리 진로설정안하면 큰일나요ㅋㅋㅋ
2024.06.09
논문 실적이란건 전부 SCI를 말씀하시는 거겠죠?
대댓글 1개
2024.06.09
넵 맞습니다
2024.06.10
보통 디펜스 끝나고 취업 준비하지 않나요? 왜 졸업 확정 전에 취업하려고 하는 건가요? 기업에서는 박사 수료를 박사라고 인정해 주지 않습니다.
2024.06.11
본인 하고싶은대로 하는거지 능력이 안된다고 생각해서 박사학위 안받고싶으면 안받는거지뭐 ㅋㅋㅋㅋ 주저자 3편을 쉽게 썼나.. 남이 써줬나..? 힘들었으면 억울해서라도 학위 받지 않겟니 ㅋㅋ 면접예상질문: 어우 논문도 이렇게 썼는데 왜 박사 수료만 하셨나요? 답변 뭐라고 할래? 능력이 안된다고 생각해서요.. 그럼 왜 우리회사 지원하셨나요? 뭘잘하세요? 하겟짘ㅋㅋㅋㅋㅋ 시도해봐 취직 되는지 안되는지는 안해보고는 아무도 모르지 논문수 전공 분야 학교 학점 다 사바사니까 지원할때 박사 수료/ 졸업/ 예정 구분해서 클릭할수있음
2024.06.09
대댓글 2개
2024.06.09
2024.06.10
2024.06.09
2024.06.09
대댓글 1개
2024.06.09
2024.06.09
대댓글 1개
2024.06.09
2024.06.09
대댓글 1개
2024.06.09
2024.06.10
2024.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