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가분이라고 하셨는데 해외 큰 학회에서 invited talk 자주 초정 될 정도로 대가 + 미국 교수님들과 네트워크 좋으신 교수님 이신지 궁금하네요. 그렇다는 가정하에 추천서가 강력하면 가능성이 없진 않은것 같습니다.
2. 해외학회 참석하는게 생각보다 중요합니다. 실적으로도 중요하지만 컨택의 장소로써 기능하기도 하고, 현재 분야 트렌드를 체감할 수 있어서 sop 및 컨택메일 작성하는데 아주 큰 도움이 됩니다.
3. 논문이 나오기 힘든 분야라고 하긴 하나, Top 4 or 10 안쪽 연구실 뒤져보면서 순수 international 박사 학생중에 정말로 대부분 학부생때 주저자 논문이 없었는지 한번 확인해 보세요. + 그분들 보면 본인이 어느정도 스펙이어야 할지 감이 잡히실 수 있을겁니다.
4. 다이렉트 박사 같은 경우는 보통 논문과 같이 본인이 어필 할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가 부족하기 때문에 외부장학금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 펀딩 이슈가 있기 때문에 외부장학금이 꽤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네요.
5. 좀 늦은 감이 있지만 (가능하다면) 교환학생제도 등을 이용해서 미국에서 연구실 인턴 생활을 좀 해보세요. 해당 교수님 추천서를 받을 수 있다면 입시에서 엄청 강력하게 작용합니다.
대댓글 2개
2025.04.02
먼저 귀한 시간 내주셔서 상세한 답변해주신 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1. 해외 큰 학회에 매년 출장가시며 분야 내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대가분들과 네트워크도 잘 형성되어 있고, 코웍도 꽤 하신 편입니다. 분야 내 탑저널에도 매년 한편씩은 꼭 투고하셔서 강한 추천서를 받을 수 있으리라 기대합니다.
2. 해외학회 참석이라면 굳이 발표를 하지 않아도 자비로 참석해보고 네트워크를 형성해보라는 말씀이신건가요??
3. 네 그렇습니다. 확인해보니 석사를 마치고 들어가신 분들이 많았고 T4 내에서조차 SCI 주저자 논문이 단 한편도 없으신 분들이 상당수였습니다. 있는 분들이라 해도 분야 핏과는 좀 다른 연구들로 논문을 낸 경우가 많았습니다.
4. 꾸준히 알아보고 있는 중입니다. 감사합니다.
5. 교환을 가려 했으나 그 조금의 확률을 높이기 위해 졸업을 1~2년 미루고 가는건 리스크가 큰거 같아 포기하고 빨리 졸업하는 것을 택했습니다.
+ 추가적으로 자비 석사 지원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합격 가능성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시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경제적으로 지원이 충분히 가능한 상황이라 탑스쿨 석사를 자비로 다니면서 RA를 병행해 박사 재지원까지 고려하고 있습니다.
정성스러운 답변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2025.04.02
1. 좋네요. 그렇다면 교수님 명성에 기대? 컨택해보세요. 저같은 경우도 제 지도 교수님이랑 개인적으로 아는 분과 컨택했을때 답장 확률이 확실히 높았습니다. 메일에는 교수님 이름 당연히 언급했구요.
2. 당연히 본인이 발표하는걸 목표로 말씀드린겁니다.
3. 학 and 석 비영미권 출신 (한중일)을 말씀하신거겠죠? 논문이 잘 안나오는 분야라면 컨택시 연구 스킬 및 포텐셜을 좀 더 어필 할 수 있는 수단을 생각하셔야겠네요.
확률은 솔직히 의미 없습니다. 어차피 확률 낮다고 지원안하실거 아니잖아요? 제 생각에는 어차피 확률은 반반이라고 생각하시고 (제 생각에도 확률은 반반 입니다.) 미국 박사 or 자비석사 가신다고 마음 먹으셨다면 본인이 좀 더 설득력 있는 candidate 가 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할 것 같네요. 자신감 가지시고요!
2025.04.02
거의 완벽한 학점이고 국내 학회 발표랑 포스터면 학부로는 이미 충분해 보이는데 연구 경험 부족하다고 걱정하는 거 보니 욕심 많네 SOP에서 연구경험 구체적으로 잘 풀어내고 추천서 잘 챙기면 T10 다이렉트 박사 충분히 가능하다고 봄 지금부터 애매한 n저자 논문 보태는 것보다 SOP랑 추천서 퀄리티 높이는 게 훨씬 효율적임 그리고 자비 석사 생각 있으면 T3도 찔러보는 거지 뭐 어차피 돈 쓰겠다는데 뭐가 걱정임
2025.04.02
와 스펙 진짜 좋으시네요 저도 논문 없이 비슷한 상황에서 지원했었는데 SOP랑 추천서에 연구 경험 최대한 구체적으로 강조해서 잘 풀어쓰면 충분히 가능성 있으실 것 같아요 응원합니다
2025.04.03
레인지를 t20까진 넓히시는걸 추천 하나는 될거같긴한데 솔직히 장담못함
2025.04.06
NIH NSF 자금 제한 영향으로 레인지를 많이 넓히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2025.04.06
T30까지도 몇개 쓰는거 추천함. 펀딩컷때문에 올해부터 합격자 이미 대폭 감소함.
2025.04.07
미국 학부 다니고 있는 기준으로 말씀드림. T10 다이렉트 박사은 솔직히 힘들어 보이긴함. 저도 님보단 학점 조금 낮은데 비슷한 스펙 가지고 다박 스펙 딸려서 지원안함 ㅋㅋ.. Publication 최소 1개는 필요할듯 t20~30은 가능성 있어보임.
대댓글 1개
2025.04.07
참고로 연구핏이 아주 잘맞거나 가는 프로그램 교수님과의 strong connection이 있으면 가능. ECE는 석사도 T10은 합격률 20미만임
2025.04.02
대댓글 2개
2025.04.02
2025.04.02
2025.04.02
2025.04.02
2025.04.03
2025.04.06
2025.04.06
2025.04.07
대댓글 1개
2025.04.07
2025.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