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국대학교 기계공학 2학년 재학중이고, 2학년 1학기까지의 학점은 전체 3.95/4.5 전공 4.02/4.5 입니다. (기구학, 정역학, 재료역학1 -> A+ / 열역학1 -> B )
단국대 기계 학부 졸업 후 캐나다 로봇대학원에 입학하여 석박과정을 거쳐 캐나다 이민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석박과정 후에는 캐나다 로봇 기업에서 일하며 시민권을 따려고 합니다. 현재 로봇분야를 제대로 알진 못하지만 휴머노이드, 강화학습분야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학점은 전공 4.0/4.5이상을 목표로 영어는 토플 95점 이상을 목표로 공부하면 될 것 같은데 연구역량을 어떻게 채워나가야 될지 고민이 됩니다.
<고민해본 연구역량 채우는 방법> ------------------------------------------------------------------------------------------------ 1. 학부연구생 학부연구생을 지원한 연구실에서 석사를 희망하지 않기에 실속있는 연구역량보단 시간을 때우게 되는 일을 할 것 같아 고민입니다
-자대 학부연구생은 집(서울 강동 성내)에서 통학 왕복3시간이고 지원할만한 연구실이 없는 것 같아 안 될 것 같습니다. -타대 학부연구생은 고민중에 있습니다.
2. 혼자 프로젝트 해보기, 로봇 대회 참여 코딩 프로그램을 공부하고 로봇 키트들을 활용하여 작게라도 로봇들을 구현해보며 포트폴리오 쌓기 (깃허브등 이용)
-유튜브에 있는 로봇 구현 영상같이 관심있는 로봇들을 구현하며 포트폴리오를 쌓아보려고 합니다 예) 유튜브 영상제목 -> This Robot Glides Like an Ice Skater -로봇 대회는 구현해본 로봇에 대회 목표에 맞는 기능들을 추가하여 나가보려합니다. --------------------------------------------------------------------------------------------------
[[ 질문 ]]
1. 연구역량을 어떻게 채워 나가는게 좋을까요?
2. <단국대 기계, 전공학점 4.0/4.5, 토플 95점, 연구역량> 의 스펙으로 캐나다 로봇 석박대학원(펀딩) 합격이 현실적으로 가능할까요?
3. 캐나다 로봇대학원에 석박과정을 지원하면 펀딩이 어느정도로 가능한가요? (chat gpt 에게 물어본바로는 합격이 되면 펀딩이 생활비까지 지원이 된다고 하는데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펀딩이 안된다면 학부 졸업 후 호주워홀에서 일을하여 돈을벌고 제 돈으로 캐나다 대학원에 가고 싶습니다.)
4. 현실적으로 어느 캐나다 로봇대학원을 노려야할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5.08.07
기계과에서 로봇이면 제어쪽 생각하시는건가요?
대댓글 5개
2025.08.07
네
2025.08.07
제어쪽만 하면 산업쪽 목표인가요? 산업용로봇 하면 일본 / 독일이 2강인데 캐나다를 콕 찝은 이유가 있나요. 캐나다 이민이 목표인지 캐나다 학문을 배우는게 목표인지 확실히 해야할듯요
2025.08.07
학습기반, 모델기반 중 어느쪽 생각하시나요?
2025.08.07
답변 감사드립니다! 최근에 로봇진로를 생각하게 되어 아는게 많이 없는 상태입니다 chat gpt 에게 물어보고 인터넷 뒤적뒤적하며 위의 글처럼 생각이 진행되었습니다
캐나다를 생각하게 된것은 미국을 가고 싶었지만 스펙이 부족할까봐입니다 (부모님께 손을 벌릴 수 없을 것 같아 펀딩을 받아야해서)
학습기반에 더 관심이 있습니다
2025.08.08
석사의 경우 펀딩을 받아가는 경우를 잘 못봤어서요. 대부분 국내 석사 - 해외 박사 루틴을 밟는 듯 합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분야의 경우 AI 를 섞어서 요새 엄청 핫한 분야입니다. 로봇에도 모바일로봇, 소프트로봇, 매니퓰레이터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해당 로봇을 주제로 어떤 연구를 할 것인가에 따라서도 논문 내는 난이도와 펀딩 가능성, 경쟁자 풀이 달라질 것입니다. 만약 AI 섞어서 요새 엄청 핫한 embodied AI 쪽으로 하신다고 하면, 사실상 기계과 지식 보단 전전 및 컴퓨터공학쪽 지식이 더 중요할 것 같아요. 어떤 분야를 파는 것이 좋을지 한 번 고민해보시면 좋겠습니다. 더하여 항상 생각하는 것인데 로봇 자체가 매니아 층이 두터워 스펙이 좋은 분들이 많더라구요. 그래서 2년이라는 시간이 전 길게만은 느껴지지 않습니다. 기초 지식이 많다고 해도 연구실에 들어가 학부생의 신분으로 SCI 급 논문을 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보니(사실상 학부연구생 수준에서는 해외 논문 억셉조차도 어렵습니다), 학부 공부 + 로봇 분야 추가 공부 + 연구를 통한 논문 작성(SCI급 억셉) 을 2년만에 하기는 조금 힘들어보이긴 합니다. 석사까지는 한국에서 하고, 박사를 펀딩을 받는 형식도 있으니 잘 한 번 알아보시고 준비 잘하시길 바랍니다.
2025.08.07
무조건 연구경험 쌓아서 논문 내야됩니다. 유투브 정도로는 가능성이 없어요. 타대인턴이라도 꼭 하세요. 학점도 낮아서 연구경험으로 승부봐야됩니다. 아직 시간이 있으니 연구경험 꼭 쌓으세요.
추가로 캐나다는 잘 모르겠는데 요즘 미국은 제어쪽 오프닝이 많이 없습니다. 제어만 하고싶다가 아니면 러닝을 추천드립니다. 그런데 캐나다가 로봇 기회가 많은것도 아닌데 왜 캐나다 가려고 하사는지 궁금하네요.
대댓글 5개
2025.08.07
답변 감사드립니다! 최근에 로봇진로를 생각하게 되어 아는게 많이 없는 상태입니다 chat gpt 에게 물어보고 인터넷 뒤적뒤적하며 위의 글처럼 생각이 진행되었습니다
캐나다를 생각하게 된것은 미국을 가고 싶었지만 스펙이 부족할까봐입니다 (부모님께 손을 벌릴 수 없을 것 같아 펀딩을 받아야해서)
다시 질문 드리고 싶은 것 입니다.
---------------------------------------------------------------------------------------------------------- 1. 석사 진학을 타대학원으로 갈 것을 교수님께 알려드리고 논문을 내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타대학원 석사 진학 의사를 밝히지 않고 논문을 내고 교수님께 양해를 부탁드리는것이 현실적인지도 궁금합니다.)
2. 제어만 하고 싶다가 아니면 러닝에서 러닝이 뭔지 궁금합니다
3. 타대인턴으로 논문을 내보며 스펙이 쌓이면 어느나라로 로봇대학원 유학을 가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저는 해외에서 석박을 졸업하고 해외에서 커리어를 이어가고 싶습니다) --------------------------------------------------------------------------------------------------------
답변대로 연구경험은 타대인턴을 해서 꼭 논문 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08.08
펀딩 이슈가 있으면 현실적으로 박사 밖에 옵션이 없네요. 그럼 한국에서 최대한 스펙을 쌓고 가야하는데, 한국에서 탑 로봇 러닝 랩에서 (몇개 없지만 점점 늘 거 같습니다) 석사하고 박사 지원하는게 가장 현실적이라고 생각됩니다.
1. 가능하겠지만 안 좋아할 가능성이 높아요. 이상적으로 석사 진학 할 랩에서 인턴하는게 좋겠죠? 2. 간단하게 생각해서 데이터로 뉴럴넷을 훈련해서 로봇을 컨트롤한다 -> 러닝, 수식을 짜서 로봇을 컨트롤한다 -> (전통적) 컨트롤 이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러닝 논문들은 대표적으로 https://openvla.github.io https://peract.github.io https://diffusion-policy.cs.columbia.edu 이런게 있습니다. 지금은 이해안가도 괜찮아요. 그래도 러닝쪽을 할꺼면 컴공/AI 수업은 많이 들어 놓으세요. 3. 무조건 미국입니다. 다른 나라는 비교도 안돼요. 미국 말고 다른 나라 갈 바에 한국에 있는게 나을 거에요.
2025.08.08
답변 감사합니다!
탑 로봇 러닝랩은 학교마다 홈페이지를 들어가 찾아보면 될까요?
어느정도 학교가 돼야 박사펀딩유학이 가능한 학교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2025.08.08
설카 + 연대 정도에만 제대로 로봇 러닝 하시는 분들이 있어요. 학교 홈페이지 가시면 금방 찾을거에요.
미국 공대 박사 유학은 붙기만 하면 왠만하면 풀펀딩 가능합니다. 그래도 최대한 상위권 가야 나중에 취업도 쉬워져요.
2025.08.08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5.08.08
안녕하세요 현재 캐나다에서 박사중인데, 미국갈 자신이 없어서 캐나다로 오면 후회하십니다.. 바이오 결합 로보틱스는 펀딩 잘 나오는것 같더라고요
대댓글 1개
2025.08.08
답변 감사합니다!
1. 캐나다 석박통합으로 바로 가기보단, 한국에서 석사를 진행하고 미국 박사를 가는것이 합리적일까요?
박사졸업 후 저는 해외에서 커리어를 이어가고 싶어 비자문제로 인하여 한국으로 돌아와야되는 경우 때문에 캐나다를 생각했었습니다
2. 타대인턴을 하며 연구경력을 쌓으면 캐나다 로봇대학원 석박통합 합격이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2025.08.09
안녕하세요 저도 캐나다에서 박사중인데 한국에서 석사 하시고 미국으로 박사 가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캐나다는 미국에비해 산업도 제한적이고 박사 이후 일자리 잡기 힘듭니다. 제가 있는 학교도 박사받고 캐나다내 포닥이나 인더스트리로 취업이 안되어서 자대 포닥후 미국으로 건너가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분들 실적도 좋으시고 박사 받고 영주권도 진행중이신데도 캐나다에서 자리 못잡으셨습니다. 그리고 캐나다는 박사시절 연구 경험을 일 경험으로 간주하지 않아서 인더스트리 경험 없이 다이렉트로 학석박 하시면 일 경험 없어서 캐나다 회사들이 채용을 꺼려합니다. 이건 해외 레딧에서도 볼 수 있는 내용이라서 잘 찾아보시고 결정하셨으면 합니다. 캐나다를 경험하고 싶으시면 한국에서 학부연구생 하셔서 논문 실적 만드신 다음에 캐나다에서 풀펀딩 석사 하신 다음에 미국으로 풀펀딩 박사를 가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2025.08.07
대댓글 5개
2025.08.07
2025.08.07
2025.08.07
2025.08.07
2025.08.08
2025.08.07
대댓글 5개
2025.08.07
2025.08.08
2025.08.08
2025.08.08
2025.08.08
2025.08.08
대댓글 1개
2025.08.08
2025.08.09
대댓글 1개
2025.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