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3학년 카이스트 대학원 준비

2024.09.18

14

1646

학교: 충남충북
전공 학부: 기계공학부
GPA: 4.14

그 외
학회 우수 논문상 1회 수상(학부생 section, 단독 저자)
로봇 관련 공모전 다수 수상(6회, 팀/개인 활동 등 다양)
정출연 인턴(로봇 연구실, 약 8개월 진행)

현재 위의 활동에서 ROS2, Yolo, Matlab 등 배울 수 있었습니다.

카이스트 로봇 분야 대학원을 희망하고 있는데 학점이 낮은 편이라서 자신이 없습니다.
혹시 남은 학부 기간 동안 무엇을 하면 좋을지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아직 어떤 랩실도 컨택 시도 해보지 않았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4.09.18

학점을 올리세요

대댓글 1개

2024.09.18

조언 감사합니다!!!
현재 이수 학점 중 대부분을 이수(기존에 많이 이수해서 조기 졸업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해서 큰 차이는 없겠지만, 최대한 끌어올리도록 하겠습니다!!

2024.09.18

카이 로봇랩 엄청 빡셉니다.. 계절학기 카이 인턴이 1순위로 보입니다.

대댓글 1개

2024.09.18

조언 감사합니다!!!
현재 카이스트 김재철 ai 대학원에서 매 계절학기 마다 인턴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해당 인턴 공고 중 로봇 관련된 랩실은 학기 별로 매 1~2 곳 정도 보이고 있습니다.

해당 랩실 인턴 도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09.18

카이스트가 타대 인턴 프로그램이 있는지 모르겠지만(안전과 보안 이슈로 대부분 학과에선 없습니다.) 포스텍의 경우 기계과에서 타대 인턴을 방학 때 마다 합니다.
포스텍도 같이 컨택해서 인턴도 해보시길... 포스텍은 합격권이실 것 같네요.

대댓글 1개

2024.09.18

조언 감사합니다!!!
포스텍 대학원 인턴 프로그램을 찾아보다가 답변이 늦었습니다 ㅠㅠㅠ
포스텍 기계과 계절학기 인턴쉽 프로그램 중에서 로봇 관련 랩실 2곳 정도로 확인되어, 해당 랩실 컨택 및 인턴 도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09.19

사실 국내 공모전 같은거 더 나가는 건 큰 의미는 없을 것 같고...
학점을 높이는게 1순위, 해외 그래도 한번 쯤 이름 들어본 학회에 주/공저자로 논문 내는거, 또는 (진짜) 유명 챌린지 참여해서 순위권 드는 거 정도 이야기 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위에 언급된 곳들에서 인턴 하면서 그런 기회를 찾아보시거나, 아니면 자대에도 보면 논문 기계 교수님들 종종 있을 겁니다. 그런 곳 인턴으로 들어가서 진짜 빡공해서 좋은 논문 쓰고 상위 대학원 가세요.

대댓글 1개

2024.09.19

조언 감사합니다!!!
최근에 교수님들과 상담해봤는데 비슷한 조언을 해주셨어요.
공모전은 생각하지 말고 학회 활동이랑 학점(무조건 1순위) 높이는 것만 생각해보라고 해주셨어요.

자대 대학원 중에서 논문 기계 분들 계시긴 했는데 제가 하던 분야랑은 완전히 달랐어서 아쉽지만, 노력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09.23

학점 4.14가 낮은편이다.... 뭔 소리지. 겸손인가?
아님.. 그 학교는 학점을 퍼주나?
4.14면 자격이 충분하고도 남습니다.
Kaist와 명문대에 대한 이상한 환상이 있는 듯.....
님은 다른 것 보다 영어능력만 갖추면 됩니다.
영어 능력을 키우세요. 타학교 학생니 이를 증명항 수 있는 점수를 획득하시고 특히 Kaist는 토플 준비하시면 됩니다.
다른 명문대 SKY도 고려하세요.

대댓글 1개

2024.09.26

조언 감사합니다!!!
학생 지원 센터나 학부 교수님들 면담에서 대부분 학점에 대해 언급을 하시다 보니, 저도 모르게 강박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격려의 말씀 정말 감사드립니다.

앞으로 연구 활동이나 전공 활동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어학으로도 관심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2024.09.24

학점은 이미 충분히 좋고요, 남은 기간동안 좋은 학점 유지하는게 좋을거 같고요

그 외에 추천할만한건 없네요.

대댓글 1개

2024.09.26

조언 감사합니다!!!
남은 학기 동안 수강 학점 신경 쓰면서 여유있는 부분까지 인턴/어학 등의 활동을 진행하며 노력하도록 하겠습니다!!

2024.09.24

학점은 학기마다 잘 관리하시면 될 듯 합니다. 랩실 컨텍은 지금 당장 하지 마시고, 학부연구생이나 인턴을 통해 연구 경험을 더 쌓으신 뒤에 하시면 좋겠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9.26

조언 감사합니다!!!

학기마다 전공 공부에 힘 쓰면서 계절 학기 중 대학원 인턴 및 학부 연구생 활동을 목표하겠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