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조현병환자는 타인에게 해를 끼칠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묻지마 살인사건 중 많은 사례가 조현병환자의 망상에서 시작되곤 합니다.
아즈매와 마음 건강
16
- 혹여나 마음 따뜻한 친구들이 공격적인 댓글에 대해 나를 대신해 변론해주느라 애쓸까봐 하는 말이지만 마음만 고맙게 받겠다. 세상에는 소수지만 자신의 언사에 받을 타인의 상처에 무감각하거나 즐기는 이도 있는것 같다. 우리가 반대 댓글로서 그들의 공감능력을 일깨워줄수는 없다. 안타깝지만 그의 인생 아니겠는가.
아즈매와 마음 건강
24
- 세상에 소름 끼치네.
이런 사람이랑 깉은 랩 쓸까 겁난다.
상태도 졸라 심각한거 같은데 그 예전 누구처럼 랩에 불지를지 누가 암?
전문직이라는 것도 망상 아님?
아니 예초부터 대학원은감?
아즈매와 마음 건강
23
- 오우 망상증환자가 쓴 글인줄 알았음 응원도 안 눌렀지.
다른 글은 이 글에 비해 점수도 안 올라 감. 다들 속은걸 아는거지.
서른 중반 석사 졸업 미혼 아즈매의 대학원 단상
16
- 일반적인 경우라면 말씀하신대로 학부생 글쓰기는 교수 첨삭 단계에서 95%가 바뀌는게 정상이고, 그래서 학부생이 SCI 1저자를 가저가는 일이 잘 없습니다. 몇년 간의 phd grind, 그 이후 몇 년간의 faculty grind를 따라잡기는 쉽지 않지요. 그래서 보통 학부생이 개발과 실험을 했더라도, 그 내용을 지시했던 석/박사과정 학생들이 1저자 역할을 하곤 합니다. academic reporting에 조금 더 훈련되어 있기도 하고, 결국 저자는 내용을 이해하고 그 내용을 글로 쓰는 사람이기 때문이죠.
그러나 글쓴이께서는 교수님과 둘이 연구를 하신 것 같네요. 교수님 입장에서는 1저자나 교신저자나 똑같은 main author이기에 개발과 실험에 수고한 학부생에게 1저자 role을 주시는 것 같습니다. 좋은 기회를 찾는 것, 그 기회를 잘 잡는 것, 지도 교수로 하여금 하나라도 더 챙겨주고 싶게 만드는 것, 모두 본인 실력입니다. 지도 교수님께 감사한 마음과 겸손한 태도를 가지시되, 그 자세를 바탕으로 다음 연구에서는 더 많은 역할을 하시길 바랍니다.
학부연구생 sci 논문 이게 맞나요
19
첫 논문 작성할 때 레퍼런스 정리 꿀팁 (+a)
2022.08.08
25
44408


결론부터 말하면 논문에 레퍼런스 추가할 때 EndNote와 word 조합이 꿀입니다.
1. 일단 각 학교에서 제공해주는 EndNote 소프트웨어 다운받아서 설치합니다. 대부분 학교에서 제공할 거에요.
2. 이제 워드 열면 위쪽에 "EndNote X9" 같은 새로운 탭이 생긴게 보입니다.
3. 다음에 google scholar 들어가서 논문 제목 검색하면 검색된 논문들 밑에 Cite라고 뜨는데, 그거 누르면 논문의 EndNote 파일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이미지 참고!)
4. 레퍼런스에 넣을 논문들의 endnote 파일들 다운받은 다음에 더블클릭하면 endnote 소프트웨어의 "Recently Added" 항목에 다 들어가있는게 보일 겁니다.
여기까지만 준비하면 사실 다 하신 겁니다.
5. 작성해둔 본문의 레퍼런스를 추가하고 싶은 부분에 "Recently Added" 항목에 들어가있는 논문 아이콘을 드래그 앤 드롭하면 레퍼런스가 그 부분에 추가됩니다.
만약 여러개를 추가하고 싶으면 논문 아이콘을 복수 선택한 다음 넣고 싶은 부분에 드래그 앤 드롭하면 됩니다.
이게 꿀팁인 이유가 워드 위쪽 "EndNote X9" 탭에 들어가면 "Style"도 제출하는 논문에 맡게 일괄 변환할 수도 있고, 레퍼런스 넣어둔 채로 텍스트를 수정하다가 레퍼런스 논문의 순서가 바뀌어도 알아서 자동으로 업데이트해 줘서 일을 진짜 많이 덜어줍니다.
(+a1) 읽을 논문들은 mendeley web에 저장해두면 추천도 뜨고 좋습니다. 근데 결국 읽을 때는 뽑아서 종이로 읽게 되긴 합니다...ㅎㅎㅎ
https://www.mendeley.com/
(+a2) 틀을 정해놓고 내용을 채워넣는 방식이 아니라 틀 없이 생각을 자유롭게 발전시켜나가면서 마인드맵 형태를 만들어가는 메모 방식이 미국 대학원생들 사이에서 유행한다고 해서 저도 해보는 중인데, 자료를 모으며 연구 아이디어를 발전시켜나가는데 확실히 도움이 됩니다. 미국 제품은 roam research이나 obsidian이 제일 유명한거 같고, 한국에도 flint라는 비슷한 컨셉의 제품도 있습니다. 요즘에는 AI 쪽도 그렇고 작은 블럭들을 조립해서 다양한 기능을 만들어내는게 시대정신인거 같기도 하네요.
https://roamresearch.com/
https://obsidian.md/
https://www.flint.so/
다들 원하는 저널에 좋은 내용의 논문 게재하시길 바랍니다!!!
김박사넷 추천 PICK! 김박사넷AI가 추천하는 게시글도 읽어보세요!
-
28
24
14697
명예의전당
우리 교수님 솔직히 너무 좋음190
40
57593
명예의전당
나는 포항살이 대만족86
65
31318
명예의전당
연구자로서 우여곡절 우울증/불안장애 경험담178
20
33233
명예의전당
우리 지도교수님..98
28
32112
명예의전당
저 미국 교수입니다171
75
51419
-
65
18
39484
고전인기
모든 것은 자신에게 달렸습니다.64
21
23115
-
77
9
42101
-
164
24
61258
-
152
78
62280
고전인기
좋았던 교수님이 변하셨다161
42
71209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김박사넷에서 드리는 유학준비 스타터팩 신청하기
533
kairi kaist ai 인턴 최종 결과
15
- 대학교순데 방학에 택배알바 할수 있을까요?
21
- 카이스트 반수 서울대
21
- S대 AI대학원 컨택됐는데 카이스트에도 지원하려고 합니다.
16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2.08.08
대댓글 3개
IF : 1
2022.08.08
대댓글 3개
2022.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