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보다 논문 처음 쓰는 사람들이 모르고 고생하는 경우가 많길래 공유합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논문에 레퍼런스 추가할 때 EndNote와 word 조합이 꿀입니다.
1. 일단 각 학교에서 제공해주는 EndNote 소프트웨어 다운받아서 설치합니다. 대부분 학교에서 제공할 거에요.
2. 이제 워드 열면 위쪽에 "EndNote X9" 같은 새로운 탭이 생긴게 보입니다.
3. 다음에 google scholar 들어가서 논문 제목 검색하면 검색된 논문들 밑에 Cite라고 뜨는데, 그거 누르면 논문의 EndNote 파일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이미지 참고!)
4. 레퍼런스에 넣을 논문들의 endnote 파일들 다운받은 다음에 더블클릭하면 endnote 소프트웨어의 "Recently Added" 항목에 다 들어가있는게 보일 겁니다.
여기까지만 준비하면 사실 다 하신 겁니다.
5. 작성해둔 본문의 레퍼런스를 추가하고 싶은 부분에 "Recently Added" 항목에 들어가있는 논문 아이콘을 드래그 앤 드롭하면 레퍼런스가 그 부분에 추가됩니다.
만약 여러개를 추가하고 싶으면 논문 아이콘을 복수 선택한 다음 넣고 싶은 부분에 드래그 앤 드롭하면 됩니다.
이게 꿀팁인 이유가 워드 위쪽 "EndNote X9" 탭에 들어가면 "Style"도 제출하는 논문에 맡게 일괄 변환할 수도 있고, 레퍼런스 넣어둔 채로 텍스트를 수정하다가 레퍼런스 논문의 순서가 바뀌어도 알아서 자동으로 업데이트해 줘서 일을 진짜 많이 덜어줍니다.
(+a1) 읽을 논문들은 mendeley web에 저장해두면 추천도 뜨고 좋습니다. 근데 결국 읽을 때는 뽑아서 종이로 읽게 되긴 합니다...ㅎㅎㅎ
https://www.mendeley.com/
(+a2) 틀을 정해놓고 내용을 채워넣는 방식이 아니라 틀 없이 생각을 자유롭게 발전시켜나가면서 마인드맵 형태를 만들어가는 메모 방식이 미국 대학원생들 사이에서 유행한다고 해서 저도 해보는 중인데, 자료를 모으며 연구 아이디어를 발전시켜나가는데 확실히 도움이 됩니다. 미국 제품은 roam research이나 obsidian이 제일 유명한거 같고, 한국에도 flint라는 비슷한 컨셉의 제품도 있습니다. 요즘에는 AI 쪽도 그렇고 작은 블럭들을 조립해서 다양한 기능을 만들어내는게 시대정신인거 같기도 하네요.
https://roamresearch.com/
https://obsidian.md/
https://www.flint.so/
다들 원하는 저널에 좋은 내용의 논문 게재하시길 바랍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0개
2022.08.0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Tex이랑 bibtex쓰면 그냥 자동으로 되는 건데..
대댓글 3개
IF : 1
2022.08.08
오 그 방법이 더 쉽나요?? 그 방법도 글로 공유해주실 수 있나요???
2022.08.0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방법이랄 것도 없어서요.. 저널에 맞게 형식 바꾸는 건 좀 난이도가 있을 수 있지만 저널에 가서 bibtex 복사하고 tex에 넣고 bibliography만 넣고 cite만 위치에 맞게 해주면 자동으로 됩니다 물론 tex을 쓸 줄 알아야겠죠
2022.08.09
밑에 paperpile 추천한 사람입니다. 이 댓글은 조금 핀트가 어긋난거 같네요. LaTeX 유저들도 논문 관리를 위해 EndNote나 다른 reference manager를 사용하면 논문 작성할 때 도움받을 수 있어요.
EndNote같은 프로그램들이 해주는 건 논문 데이터베이스 관리가 주기능이고,
논문작성시에는 인용할 논문들을 골라서 원하는 style(Word나 bibtex 등)로 논문정보들을 export할 수 있는거에요.
Word 같은 경우에는 export 할 때 citation style (APA, Chicago 등)을 미리 골라야 하는거고, LaTeX 같은 경우에는 bibtex이라는 style-agnostic file format이 있어서 원하는 citation style을 TeX header에서 지정하면 되는거고요.
작성자님께서 궁금해하시는 것 같아 보충 댓글 답니다.
IF : 1
2022.08.08
흠...저널에 맞게 형식을 바꾼다는게 어느 정도의 변형을 의미하는 잘 모르겠지만 난이도가 있을 수 있고, tex도 쓸 줄 알아야하는군요...진입장벽이 있어보이네요...ㅎ
대댓글 4개
2022.08.0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모든 저널에서 형식 bst 파일 제공합니다.. tex이 기본이고 word는 tex 못 쓰는 사람이 쓰는거에요
2022.08.09
레이택을 안써보고 궁금해서 여쭤보는데
굳이 수식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레이텍을 배워야하는 이유가 있나요?
2022.09.07
(1) 수식이 없어도 레이텍 쓰면 편집자가 원하는 포맷에 디테일까지 잘 채워줍니다. 포맷이 안맞거나 하면 컴파일 자체가 안되고요. 원고를 받는 편집자의 편의성을 중요시한 툴이니까 아직도 많은 논문에서 템플릿으로 제공하는 거라 할 수 있습니다.
(2) 그렇기에 편집하는 입장에서 보기 좋습니다. 또한 한 번 완성되면 약간의 수정에도 상당히 안정적인(Robust) 서식이 유지되기에 깔끔합니다.
(3) 처음에는 진입장벽이 있지만, 나중에 전문적으로 되면 여러 가지 코드도 쉽게 이용 가능해서 좋습니다. 예를 들어서 저는 학술지 제출할 때 Before/After 비교버전을 만들기 위해 전문적인 코드를 사용합니다. 편집자 용이기 때문에 한번 잘만 만들어 놓으면 한두줄 주석처리만 하면 다시 찍어내면 되서 편합니다.
2023.07.08
워드는 뭐 조금 고치면 뒤에 다 뒤틀려서 불편하지 않나요 고쳐야 할것도 많고 시스템마다 조금씩 차이도 나고
못된 존 폰 노이만*
2022.08.08
다 좋은데 논문을 word로 안써요.. Latex 씁니다 ㅠ
2022.08.08
저흰 word 씁니다~
2022.08.08
저희도 word쓰는데.. 구글 스칼라에서 엔드노트로 연동이 안되는데 이건 무슨 문제일까요 ㅠㅠ 학교컴퓨터도 그렇고 제 노트북도 그렇고.. 어차피 펍메드에 뜨는것만 쓰는지라 구글 스칼라 검색된 논문들 전부를 레퍼런스 첨부용으로는 잘 이용하진 않지만.. 간혹 바로 연동해서 저장해두고 싶은데 안되네요..
허탈한 코페르니쿠스*
2022.08.08
좋은 게시물이네요. 모든 분야가 LaTex 쓰는건 아니에요. 저도 CS 페이퍼 쓸때는 LaTex으로 논문 쓰지만, MD 분들이랑 논문 쓸때나, Medical 저널에 논문 쓸때는 종종 Word로 쓰는 경우가 있어요.
2022.08.09
김박사넷에 댓글 처음 남깁니다.
저는 EECS 전공이고 LaTeX으로만 논문 쓰는 사람인데, 박사 졸업때까지 마음에 드는 reference 관리 프로그램을 찾지 못해 bibtex으로 살았는데요.
최근에 paperpile을 만나고 신세계를 경험했습니다. (endnote, zotero 대체 프로그램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크롬 베이스 앱이라 가볍고, 직관적이고, 논문 데이터베이스 관리 엄청 쉽고 간편합니다.
저는 아이패드 쓰는데 데스크톱에서 저장한 논문 아이패드 앱에서 연동도 아주 잘 됩니다.
정리광이시거나 읽은 논문들, 읽고 싶은 논문들 관리가 어려우신 분들은 꼭!!! 한번 써보세요.
2022.08.09
저는 워드에서 endnote 들어가서
지구본같이 생긴거ㅋㅋㅋ(온라인서치모드) 클릭 -> 펍메드 클릭 -> 저자명,타이틀 검색
논문 선택 -> 우클릭 -> 카피 레퍼런스 투 -> 마이 엔드노트라이브러리
워드(엔드노트탭) -> 인서트 사이테이션
이렇게 사용하는데 구글에서도 바로 추가도 되나보네요
관심 논문이면 바로 모으기 좋겠어요 감사합니다
2022.08.09
바이오계열인데 endnote 랑 word 조합으로 논문 씁니다
2022.08.09
컴공인데 저는 Overleaf + Zotero + Researchrabbit 으로 씁니다.
researchrabbit.ai 이 사이트가 보면 누가 누구를 citation 했는지 비슷한 논문은 무엇이 있는 지 보기에 아주 좋습니다.
Zotero는 개인적으로 아쉬웠는데 윗분이 추천하신 paperpile한 번 써봐야 겠네요.
IF : 1
2022.08.10
와..저는 의료계열-바이오인데, 주변 타 실험실들도 그렇고 word-endnote조합으로만 씁니다.
2022.09.09
더 중요한건 엔드노트 라이브러리 파일의 관리입니다
내가 보기 위한 파일과, 특정 논문을 작성하기 위한 라이브러리 파일을 따로 생성하는게 좋아요.
2022.09.14
레이텍 너무 조 아 ♡
2022.09.19
LaTex이 진리죠. 내용이 추가도든 빼든 편집을 알아서 다해주니까요.
그리고 어차피 수식이 많이 필요한 분야에서는 워드보다 tex이 더 빠르니까요
구글 스칼라로 라이브러리 정리하면 방법은 간단하긴 한데 문제가 저널명 저자가 제대로 정렬이 안되서 나중에 재작업해야 됐었음 (나중에 원고 마지막에 정리된거 보면 엉망으로 정리됨) 이제 그런 문제가 안생기는지 궁금하네요? 저는 바이오쪽인데 pmid로 서치해서 정리하면 그런 문제가 안생겨서 그 방법으로 하고 있습니다. 결론은 이 포스팅이 그닥 꿀팁은 아닌듯해요…
2022.09.22
멘델레이 쓰다가 지도교수님이 엔드노트 쓰라고 권유하셔서 엔드노트로 넘어왔는데, 원래 엔트노트가 이렇게 느린가요..? 엔드노트를 켜는 순간 컴퓨터가 바로 느려지네요 ㅠㅠ (메모리 절반도 안쓴 상황, cpu도 거의 안 쓴상황) 오토 싱크도 껐는데도 엔드노트만 켜면 (특히 워드랑 같이 켜면 더) 느려져서 작업하기가 너무 힘듭니다... 엔드노트20입니다 ㅜ
2022.09.30
papers.com인가? 이것도 좋아요
대댓글 1개
2022.10.03
맥 쓰면 papers가 제일 좋음. IBM 계열이면 엔드노트랑 비슷. 일단 papers는 잡다한 기능이 많은데 저는 그런거 좋아해서..
2022.08.08
대댓글 3개
2022.08.08
2022.08.08
2022.08.09
2022.08.08
대댓글 4개
2022.08.08
2022.08.09
2022.09.07
2023.07.08
2022.08.08
2022.08.08
2022.08.08
2022.08.08
2022.08.09
2022.08.09
2022.08.09
2022.08.09
2022.08.10
2022.09.09
2022.09.14
2022.09.19
2022.09.19
2022.09.21
2022.09.22
2022.09.30
대댓글 1개
2022.10.03
2023.07.08
2024.08.23
2024.10.12
2024.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