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인문] 박사는 탑스쿨이나 주립대나 크게 상관 없나요?

2025.05.15

2

93

회사 다니다 30대에 뒤늦게 이번 Fall 2025 박사를 출발하는 늦깎이입니다.
공부는 원래 하고 싶었지만 돈도 그렇고 여러 이유로 이제야 출발하게 됐습니다.
(그래도 여기 계신 분들께는 어리겠죠?)

사회에서는 비스카이 출신으로 서러운게 많았습니다.
그래서 저도 알아주는 미국박사는 T30위권 학교들로 가고 싶긴 했습니다.
그리고 막상 공부하며 좋은 글을 읽어보면 다 탑스쿨 '졸업자'들이더군요.

하지만 아쉽게도 지금은 붙은 학교들 중 분야 T50(+5년 TA)정도 학교를 선택했습니다.
지도교수님은 트럼프 때문에 그냥 올해 가라고 말씀하셨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좀 잠잠하기도 하고, 이 학교 출신으로 정말 살아남을 수 있을까 밤마다 뒤척이고 있습니다.

저의 최종적인 목표는 아시아권이나 영미권에서 academic 잡을 찾는 겁니다.
회사까지 그만뒀는데, 한번 사는 인생 하는 거 follower에 그치지 않고 제대로 해보고 싶습니다.
우연히 다른 분이 댓글에서 MIT출신이어도 주립대 논문실적 좋은게 100배 인정받는다는 말을 보고 위안, 희망, 의구심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여쭤보고 싶습니다.
1. 학교 reputation이 정말 그렇게 크게 작용하지 않나요? (임용, 포닥 등)
2. 탑스쿨과 T50정도 학교와 기회(network 등)의 차이가 많이 큰가요?
3. 학계는 정말 학벌보다 실적으로만 인정받나요? (사회에서는 참 좌절을 많이 느꼈습니다)

그럼 뒤늦은 우둔한 후배에게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개

2025.05.16

크게 작용하는데 인문계열은 아무리 탑스쿨이라도 50% 이상이 잡 못잡고 학계 떠난다는걸 명심하세요. 네트워크나 기회가 좋으니까 탑스쿨인거고 학계도 학벌 많이 봅니다.

2025.05.16

음.. 저는 랭킹 따지면서 학교 고민했던 시간이 아깝다고 느껴질 정도로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실력이 중요하다고 느껴지네요.

저는 UC 버클리 2년차 재학중인데, 내가 버클리니깐 코웍하는 다른 학교 박사과정들보다 스스로 더 잘한다고 자부심 느껴본 적이 전혀 없어요. 그냥 사람 by 사람이지요.

같은 연구실에서도 실력차가 하늘과 땅이고, 아웃풋도 누군 잘 찾아서 들어가고 누구는 방황하다 결국 어디 겨우 들어가잖아요.

유학 준비할때 학벌 따졌던게 민망해질 정도로 그냥 그 분야 잘하는 사람이 발언권 제일 많은 곳이 학계입니다.

다만 잘하는 학생일수록 좀 더 높은 학교에 진학하는 경향이 있어요. 근데 이것도 정규분포지 명문대에 폐급도 많습니다.

좋은 학교가도 1년차에나 자부심 잠깐이지, 학벌에 상관없이 좋은 스피치와 훌륭한 아이디어를 가진 사람들을 만나면서 계속 겸손해지는 것 같습니다.

그런 훌륭한 사람들은 내가 이 학교다, 해서 임용이 안되는 것도 아닙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