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박사 취업 (특히 학교) 시 실제 학벌이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IF : 1

2020.06.01

18

26411


- 저는 현재 국립대 교수로 재직중인 사람입니다.

- 박사 잡마켓 정출연 + 학교 다 경험 (합격) 해봤습니다.

- 취업 이후에는 김박사넷 잘 안들어왔는데 간만에 들어오니까 재밌는 글들이 많아서 제 개인적인 경험을 토대로 한 몇가지 내용을 언급해봅니다. 회사는 안 가봐서 잘은 모르겠고 학교 취업 기준으로 설명 합니다.



- 서성한 vs DGU 누가 더 위인가?

> 수능 입결 이딴거 말고, 취업 시장에서 봤을때 학부만 생각해 봤을때 이 둘의 차이는 미비합니다. (롤로 치면 다이아 3 이랑 다이아 4 서로 누가 낫냐 싸우는 꼴)

> 공대 대학원의 경우에는 DGU 가 연구 여건이 더 좋습니다. 그리고 박사 취업 시장에서도 좀 더 유리합니다.



- 학부가 나쁘면 대학원 학벌은 별 의미 없는가? or 학부만 중요한가?

> 개인적으로 봤을때는 틀린 말입니다.

> 학부가 별로여도, 대학원 간판이 좋은 경우 어필을 할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모든 곳에서 어필이 된다는 소리는 아님)

> 반대로 학부가 좋아도 대학원 간판이 나쁘면 손해를 봅니다. 

(적어도 박사 취업 시장에서는 평균적으로 그러함, 단 모든곳에서 손해를 본다는 소리는 아님)

> 제 말을 믿으세요. 제가 학부가 안 좋고 대학원으로 커버를 약간 친 케이스인데 박사 학위 후 정출연 지원했을때 서류에서 떨어진적은 한번도 없습니다 (면접 준비 대충했다가 물먹은 적은 있어도). 물론 결국은 학교로 옴.



- 대학원 진학시 교수가 중요한가? 대학원 간판이 중요한가?

> 둘다 중요합니다. 교수가 중요한 이유는 교수를 그지 같이 만나면 박사 취득 자체를 못할테니까요.

   제가 교수가 중요하다고 하는 것은 인성적인 측면에서 이야기하는겁니다. 제 경험상 그리고 주변 박사 친구들을 봤을때 교수의 연구능력이니 실적이니 이딴건 1 도 중요하지 않습니다.

> 대학원 간판 중요하지 않다고 말하는 사람들 거르세요. 저는 신임 교수 임용 심사에도 참여합니다. 대학원 간판 안 볼것 같나요?



- 박사 취업시 젤 중요한것은 무엇인가?

> 밑에 댓글에서도 누가 그랬는데 "전공적합도" 이게 젤 중요합니다. 이건 점수를 더 받고 말고의 문제가 아니라

success / fail 의 문제입니다. 전공적합도가 안 맞으면 학벌이 좋건 논문실적이 좋건 상관없이 채용이 잘 안됩니다. (회사, 정출연, 학교 다 마찬가지)

자기가 취업 시장에 나간 타이밍에 박사 학위 받은 주제가 떡상하는게 최고 시나리오입니다. 물론 그걸 미리 예측하는건 불가능하지요.

> 그 다음에 중요한건 논문 실적입니다. 논문 3대장 (NCS), SCI IF 높은거 있는 사람, 편수 많은 사람이 최고입니다.

> 그리고 나서 중요한게 학부 학벌 / 대학원 학벌입니다. 학벌과 연구 실적중 뭐가 더 중요한가 하는 것은 케이스 바이 케이스입니다. 학교 기준으로 봤을땐 인서울 애매한 학교들이 학벌을 많이 보고 최상위권에 들어가는 학교 (SPK) 들은 연구 실적을 더 따집니다.

여기서 매우 중요한 사실을 하나 더 언급할게요. 어느 학교건 "모교 학부" 출신을 선호합니다.

연고서성한 홈페이지 가서 공대 교수님들 학부 출신이 어디인지 확인해보세요.

> 그 외에 해외 포닥 경력 / 해외 연구소 경력등이 있습니다.



- 결론

> 물론 제가 모든 정출연, 학교를 다 가본것도 아니고 모든 케이스를 다 알수도 없죠. 개인적인 경험에 의해서 나온 것이니 일반화의 오류도 있을수는 있습니다.

> 서성한 DGU 출신분들 그만 싸우세요. 다 좋은 학부고 열심히 하면 졸업 후 어디든 갈수 있는 분들입니다.

   물론 학계 취업 인사 담당하시는 교수님들은 서성한이니 DGU 니 별 관심도 없습니다. 학계에서 학벌로 인정받으시려면 서울대 가세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0.06.01

마지막 문장에 학계에서 학벌로 인정받으려면 서울대 대학원으로 가라고 하셨는데....공대의 경우 타대생도 카이스트 대학원 보다 서울대 대학원이 더 낫나요? 타대생의 경우 카이스트 대학원이 더 생활하기 편하다고 들어서...
Trofim Lysenko*

2020.06.01

학부 서울대 나오란 말이자나요 ㅠㅠ
여긴 학생들이 왜케... 쫌 그래

2020.06.01

전공적합도 ㅠㅠ 학부생 시선으로 석박통합 지원할 때 제일 힘든게 분야 정하는 것 같아요.. 정말 몇달을 고민하는지 모르겟어요... 취직도 잘되는 분야를 하고싶은데ㅠㅠ 말씀 감사합니당
Carl Sandburg*

2020.06.01

서류는 실적보고 거르는거니 당연히 학교랑 상관없지
모교출신 교수들 박사는 어디서 했을까? 모교 아니면 뽑아줄까?

결론은 그냥 좋은 학교 가면 구성뤈도 똑똑하고 연구형 과제(노가다 아닌) 기회도 많고 취업기회도 많음

2020.06.01

지방사립대출신 지거국석박인데 포닥 미국 탑10에서하면서 NS 2편 잭스4편 JCR 상위 10프로 5개면 설대 교수 각 나오나여?
Sergei Prokofiev*

2020.06.01

교수님 좋은글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0.06.01

감사합니다. 여기서 skp라는 말을 너무 들어서 원하는 연구를 하는 ky를 버리고 분야가 좀 달라도 s로 가야하나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이미 학부에서 큰 메리트가 없는 상황이니... 원하는 하고싶은 연구를 하러 가야겠네요
Piet Mondrian*

2020.06.01

이게 석사취업에도 같은 글인가요? 박사만 해당되나요 석사도 해당되나요?
Trofim Lysenko*

2020.06.01

교수직이니 박사겠죠

2020.06.01

첫댓은 그 독해력으로 대학원 오지마라
너와 타인 모두를 위해서
Thomas Sowell*

2020.06.02

별로 교수같지도 않고 뻔한 얘기에 msg 좀 쳐서 쓴 느낌인데 추천수 보면 확실히 여긴 멋모르는 학부생들이 많은듯. 하이브레인 임용의길 30분만 눈팅해도 이정도는 글은 쓰는데. 학생들 익명 커뮤니티 글은 잘 걸러서 들으세요. 본인도 실험삼아 교수인척 진중한 말투로 학부생들이 잘 모를만한 내용 쓰니까 추천 따박따박 박혔음. 진짜 교수거나 임용 준비해본 사람이면 '제 말을 믿으세요' 이런 약장수같은 소리는 안합니다. 대기업 공채도 아니고 표본이 적어서 일반화의 오류가 생기는게 아니라 일반화 자체가 불가능한 분야거든요. 교수가 쓴 글이란걸 특히나 의심하는 이유는
- 실적 좋아야 교수된다, 모교출신 우대 -> 수능 잘보면 좋은대학 간다는 식의 누구나 할 수 있는 얘기
- 대학원 간판이 좋은 경우 어필 -> 미국 탑스쿨 말하는거면 동의함. 한국 탑인 spk 대학원조차 알겠지만 학부때 전공 적당히 열심히 하면 다들 가는건데 이게 간판이 된다는거 자체가 넌센스
- 논문 3대장 (NCS) -> 여기서 의심이 매우 커졌음. 대학원생 정도만 돼도 NCS가 아니라 자기 분야에서 알아주는 저널이 뭔지 알기에 NCS 3대장 이란 의식 자체가 없음. NCS가 최고다 이건 학부3학년 정도가 하는 생각임. 특히 셀은 완전히 생물쪽 한정 저널 아닌가.
- 물론 학계 취업 인사 담당하시는 교수님들은 ... -> 교수님들 얘기하는거 보면 교수 임용 말하는것 같고 임용은 보통 학과 전체 교수회의로 정할텐데. 대기업처럼 인사팀 있는 대학도 있나?

IF : 1

2020.06.02

토마스 소웰님. 님이야말로 지금 아무것도 모르고 이상한 댓글 쓰시는것 같습니다. 토마스 소웰님도 지금 교수나 연구원 정도는 되시니까 자신있게 말씀하시는 거겠죠? 어떻습니까. 서로 인증한번 가보실래요?
Trofim Lysenko*

2020.06.02

토마스 어쩌구~
학교에 인사팀 비슷한거 다 있다 에효
심지어 성대서 여전에는 교수 스카웃할때
인사팀이라고 연락하고 그랬다
여기 글쓴사람 교수 맞는거 같다
Bernhard Riemann*

2020.06.02

본인 지도교수랑 좀만 친하게 지내도 교수임용될때 어떻게 되는지 썰풀어주실텐데, 그런것도 모르고 원글자한테 시비거는거보니 지도교수한테 그런얘기도 못듣는 찐따 원생이거나 좃도 모르는 학부생인듯
William Henry Perkin*

2020.06.02

제가 하는 분야는 NCS 삼대장 맞던데..
Hieronymus Bosch*

2020.06.02

Thomas // 니가 등신인 이유
- 대학원 간판은 평생 따라 다님.
- NCS 3대장으로 부르는 거 맞음. 상대가 무슨 분야인지도 모를 뿐더러 NCS라고 하면 대충 전분야를 일컫는 대표 용어라고 보는거다.
- 교수 임용을 무슨 다수결로 그냥 뽑는건 줄 아네 ㅋㅋㅋ 인사팀 있고 정식 프로세스 다 거칩니다. 띨빡씨

2020.06.02

국내학회 소식지나 게시판에 특정학교 교수채용한다고 공고뜨면 보통 달려있는 이메일이 채용담당 맡는 교수 연락처입니다. 1-2차로 거르는건 보통 채용담당 교수들이 한다고 들었어요.

2020.06.02

글 너무 감사합니다.
그런데, 한 가지 궁금한 것이
학부를 대학원으로 커버치셨다.....라고 해주셨는데
도대체 그게 어느정도 학부를 어느정도 대학원으로 커버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물론, 정량적인 수치는 없겠지만 범위정도는 존재 할 수 있는데, 어느정도인지 궁금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