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안녕하세요, 아무리 불경기라지만.. 저 그래도 많이 노력한 것 같거든요..곧 졸업인데, 이 정도면 서류면접 잘 준비해서 저도 연구실 탈출해서 회사원 할 수 있겠죠?
아래는 제 스팩입니다. 특정될까봐 러프하게 적습니다.
전자공학과, 반도체 소자 전공
-학부: 건동홍인아, 학점: 3.7/4.5, 실적: 국내 학술대회 포스터 1저자 1회
-대학원: ykssh, 학점: 4.0/4.5, 실적: sci 1저자 2편, 2저자 1편, 국내 학술대회 포스터 1저자 1회, 삼성 산학과제
특허x, 경력x, 자격증x
나이, 성별은 27, 남자, 군필입니다.
이 정도면 삼성하이닉스 가겠죠?
35 - 3600개가 억셉되는데 뭔 허수가 없어요 ㅋㅋㅋㅋㅋ 오럴에 뽑히는거 빼고는 거의 다 허수로 봐야죠… 1만개가 리뷰받아 30% 뽑히는 대형 피어 리뷰 시스템은 그냥 랜덤 뽑기랑 확률이 같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ICLR 25 acceptance rate 이 32.08% 임... ㅎㄷㄷ
16 - "5천개씩 4년을 각 학교 랩들 교수님들께 지원해주면 우리 나라 R&D가 건강해질 것 같다."
이건 절대로 반대인게, 내가 아직 기초과제도 못딴 신진이지만,
저렇게 소량 나눠먹기하면 이도저도 아니게됨. 북한도 아니고 능력되는 사람들이 더 가져가는게 맞긴함.
GPU 부족해서 연구 못한다? 그건 거짓말이고 이미 우리나라에 GPU 대여 사업이 5개 넘게 활성화 되어있는데 당신이 알 생각조차 없는 것 같음.
LLM 국산화 하겠다고 기업들이 세금 몽땅 가져가려는 속내가 너무 싫다
10 - 뭐..교수라는 직업이 원래 남 논문쓴거 읽고 트집잡아서 반박하는게 직업인지라 일상생활과 논문 읽고 크리틱 할때 사람이 180도 바뀌기도 합니다.
원래 성격이 대단히 유하신 편은 아닌것 같네요. (적어도 일할때는?) 그런데 그렇게 감당이 안될만큼 화를 내시는게, 다른 선배들에게도 그러시나요, 작성자분께만 그러시나요?
다른 선배들에게도 모두 그러시면 정신승리를 하는 수 밖에 없는데, 원래 과학자는 글을 읽고 이해하는게 직업이고 인생 목표라서, 글을 읽고 설명을 들었는데도 이해가 안되면 자기 인생이 부정당하는 느낌과 함께 자연스럽게 화가 납니다. 그런데 '이해하지 못하는 나' 에게 화내는게 아니라 '나를 이해시키지 못하는 저사람' 에게 화를 내는 타입이시군요. 어쩔수 없습니다. 발표 끝난날에 같이 욕먹은 사람끼리 술한잔 하면서 교수 뒷담을 까세요.
교수님 목소리만 들어도 눈물이 나요.. 어떡하면 좋죠
10 - 만약 다른 사람들도 한소리씩 듣기는 하는데 작성자분에게 유달리 심하시다면, 커뮤니티의 불문율을 체득하지 못하고 계실 확률이 높습니다. 불문율이라는게, 흔히 사용하는 비유나 기본 상식, 용어의 사용 방향 같은걸 말해요. 예를 들어 'fit 하다' 라는 말을 해도 전공과 분야에 따라 머릿속에 떠올리는 이미지가 다를텐데, 자기 분야의 다른 사람들과 동떨어진 이미지를 떠올리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을 이해시키기가 쉽지 않아요. 어떤 것은 그냥 블랙박스처럼 사용하고, 혹은 별다른 부연설명 없이 사실로 받아들이는지, 또는 자세한 수식을 눈으로 보고싶어할지 같은게 분야마다 어느정도 정해진 사회적 규칙이 있다고 할까요. 이걸 체득하지 못하면 설명이 뜬구름잡는 소리로 느껴지고 이해가 잘 되지 않고 답답해요. 말로 설명하기는 어렵고, 똑같은 논문을 교수님에게 상대적으로 덜 혼나는 고년차 선배에게 보여주고 작성자분과 별개로 발표준비를 한 다음, 서로 발표를 들어보면서 뭐가 다른지 왜 다른지 생각해보면 도움이 될수도 있겠습니다.
교수님 목소리만 들어도 눈물이 나요.. 어떡하면 좋죠
9 - 교신저자라면 당연히 가능하고요.
1저자로서 3년간 70편이면 한 달에 두 편씩 쓴다는 건데요. 그게 논문이겠어요? 그냥 보고서 수준이겠죠.
3년간 논문 70편쓰는게 가능한거임?
23 - 한빛사에만 10편이던데 그것만 해도 엄청난거 아님?
나는 최근3년동안 한빛사에 꼴랑 2편있는데..
참고로 한빛사=IF 10이상, 주저자, 바이오계열 만 실린다고 보면됨
3년간 논문 70편쓰는게 가능한거임?
13 - 3년동안 1저자 12편정도 if는 3-4점짜리임. 걍 노가다형 연구. 당연하게 3-4점짜리 10편은 교수같은 논문좀 쓴사람 입장서 대충써도됨 (본인 서울 중위권 현직). 서카포만해도 네이쳐 사이언스쓰고 졸업해도 27나이에 고대교수못함. 언론버프 + 여성과학자 띄워주기.
열심히한건맞지만 높게쳐도 지방국립대임. 절대 고대급 안나옴. 분야를 감안하더라도 거품오진다 생각. 주변에 저런애들보다 나은 포닥도 교수안된애많응. 과제도 과제지만 여성할당제 개토나옴. (여성교수한테 과제 15% 할당하라고 지시옴)
3년간 논문 70편쓰는게 가능한거임?
23 - IF 106짜리 메디컬 계의 네이처에 주저자로 논문 썻더만... 엥간치 다 이유가 있겠지.
3년간 논문 70편쓰는게 가능한거임?
13 - 비하하기 전에 존중부터.
1년에 한 편도 못쓰는 분들이 대다수인데.
3년간 논문 70편쓰는게 가능한거임?
21 - 다들 깎아내리기 바쁘구나
3년간 논문 70편쓰는게 가능한거임?
11 - 뭔 여성할당이야… 70편중 직접 쓴 것만 추려도 또래, 동급 년차 포닥들보다 넘사수치더만. 3-4점짜리라도 몇 달에 한개씩 투고하고 리뷰해서 어셉 시키는 게 성별로 되겠냐..
3년간 논문 70편쓰는게 가능한거임?
20 - 다시 찾아보니 if 100점짜리 논문 있으심. 그걸로된거같은데 못봤습니다.
논문많이쓰는게 이분야에서 좋은게아닌데 홍보를 저런식으로해대니 정말 질좋은논문쓰시고 낙방하시는분들보면 임용세계가 공정하지 않다라는건 매번 느끼구요.
다만 저 많은 70편보다 100점짜리로 되신거면 납득이 간다는겁니다.
3년간 논문 70편쓰는게 가능한거임?
12
박사 취업 (특히 학교) 시 실제 학벌이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020.06.01

- 저는 현재 국립대 교수로 재직중인 사람입니다.
- 박사 잡마켓 정출연 + 학교 다 경험 (합격) 해봤습니다.
- 취업 이후에는 김박사넷 잘 안들어왔는데 간만에 들어오니까 재밌는 글들이 많아서 제 개인적인 경험을 토대로 한 몇가지 내용을 언급해봅니다. 회사는 안 가봐서 잘은 모르겠고 학교 취업 기준으로 설명 합니다.
- 서성한 vs DGU 누가 더 위인가?
> 수능 입결 이딴거 말고, 취업 시장에서 봤을때 학부만 생각해 봤을때 이 둘의 차이는 미비합니다. (롤로 치면 다이아 3 이랑 다이아 4 서로 누가 낫냐 싸우는 꼴)
> 공대 대학원의 경우에는 DGU 가 연구 여건이 더 좋습니다. 그리고 박사 취업 시장에서도 좀 더 유리합니다.
- 학부가 나쁘면 대학원 학벌은 별 의미 없는가? or 학부만 중요한가?
> 개인적으로 봤을때는 틀린 말입니다.
> 학부가 별로여도, 대학원 간판이 좋은 경우 어필을 할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모든 곳에서 어필이 된다는 소리는 아님)
> 반대로 학부가 좋아도 대학원 간판이 나쁘면 손해를 봅니다.
(적어도 박사 취업 시장에서는 평균적으로 그러함, 단 모든곳에서 손해를 본다는 소리는 아님)
> 제 말을 믿으세요. 제가 학부가 안 좋고 대학원으로 커버를 약간 친 케이스인데 박사 학위 후 정출연 지원했을때 서류에서 떨어진적은 한번도 없습니다 (면접 준비 대충했다가 물먹은 적은 있어도). 물론 결국은 학교로 옴.
- 대학원 진학시 교수가 중요한가? 대학원 간판이 중요한가?
> 둘다 중요합니다. 교수가 중요한 이유는 교수를 그지 같이 만나면 박사 취득 자체를 못할테니까요.
제가 교수가 중요하다고 하는 것은 인성적인 측면에서 이야기하는겁니다. 제 경험상 그리고 주변 박사 친구들을 봤을때 교수의 연구능력이니 실적이니 이딴건 1 도 중요하지 않습니다.
> 대학원 간판 중요하지 않다고 말하는 사람들 거르세요. 저는 신임 교수 임용 심사에도 참여합니다. 대학원 간판 안 볼것 같나요?
- 박사 취업시 젤 중요한것은 무엇인가?
> 밑에 댓글에서도 누가 그랬는데 "전공적합도" 이게 젤 중요합니다. 이건 점수를 더 받고 말고의 문제가 아니라
success / fail 의 문제입니다. 전공적합도가 안 맞으면 학벌이 좋건 논문실적이 좋건 상관없이 채용이 잘 안됩니다. (회사, 정출연, 학교 다 마찬가지)
자기가 취업 시장에 나간 타이밍에 박사 학위 받은 주제가 떡상하는게 최고 시나리오입니다. 물론 그걸 미리 예측하는건 불가능하지요.
> 그 다음에 중요한건 논문 실적입니다. 논문 3대장 (NCS), SCI IF 높은거 있는 사람, 편수 많은 사람이 최고입니다.
> 그리고 나서 중요한게 학부 학벌 / 대학원 학벌입니다. 학벌과 연구 실적중 뭐가 더 중요한가 하는 것은 케이스 바이 케이스입니다. 학교 기준으로 봤을땐 인서울 애매한 학교들이 학벌을 많이 보고 최상위권에 들어가는 학교 (SPK) 들은 연구 실적을 더 따집니다.
여기서 매우 중요한 사실을 하나 더 언급할게요. 어느 학교건 "모교 학부" 출신을 선호합니다.
연고서성한 홈페이지 가서 공대 교수님들 학부 출신이 어디인지 확인해보세요.
> 그 외에 해외 포닥 경력 / 해외 연구소 경력등이 있습니다.
- 결론
> 물론 제가 모든 정출연, 학교를 다 가본것도 아니고 모든 케이스를 다 알수도 없죠. 개인적인 경험에 의해서 나온 것이니 일반화의 오류도 있을수는 있습니다.
> 서성한 DGU 출신분들 그만 싸우세요. 다 좋은 학부고 열심히 하면 졸업 후 어디든 갈수 있는 분들입니다.
물론 학계 취업 인사 담당하시는 교수님들은 서성한이니 DGU 니 별 관심도 없습니다. 학계에서 학벌로 인정받으시려면 서울대 가세요.
-
31 20 17615
교수님 학부출신 김GPT 25 17 13864-
10 8 9179
대학원도 학벌이 중요할까요? 김GPT 3 15 5313-
6 10 7214
머신러닝 대학원 학벌 김GPT 2 10 13091
김박사가 학계에 끼친 영향은? 김GPT 10 6 2960-
0 16 2707
박사 취업시 학부 역할? 김GPT 0 11 2945
내가 생각하는 학생들의 역할 명예의전당 165 27 16195-
306 34 84132 -
306 31 90151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1078 - 교수대신 미국 빅테크에서 일하는 이유
138 - 요즘 논문 실적이 의미없는이유
55 - 뭐가 잘못인지 인지 못하는 멍청한 인간을 어떻게 해야하나(푸념)
7 - 갑자기 빡쳐서
14 - 하 제발 좀 석사든 박사든 하겠다고
39 - 연구실/교신 저자 입장에서 내기 쪽팔린 학회 초록
20 - 기업들은 그냥 SPK 돈 뿌리면 탑티어 학회 갯수 부풀리는거 쉬운거 아님???
16 - LLM 국산화 하겠다고 기업들이 세금 몽땅 가져가려는 속내가 너무 싫다
31 - 요즘 과기원(카이스트 제외) 박사출신도
11 - 현직 교수님들께 여쭙습니다
5 - 연구실 물 흐리는 여학생..
16 - 연고 vs 건동홍
5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ICLR 25 acceptance rate 이 32.08% 임... ㅎㄷㄷ
23 - 지금 자대에서 석사 만족 중인데 박사는 카이스트로 가고싶어요
16 - 교수님 목소리만 들어도 눈물이 나요.. 어떡하면 좋죠
14 - 3년간 논문 70편쓰는게 가능한거임?
36 - spk 자대생 안가는 랩
15 - 연구실에 cctv 다 있는 거지?
17 - 국내 산업계나 학계는 글러먹었음
13 - 대학원 세 곳 컨택 중 TO 없음 답변, 합격 후 연락 달라는 답변
10 - BK21 선정된 랩실이면
12 - 조교수도 논문지도교수를 할 수있나요?
13 - 진짜 우리나라 교수님들 기본 마인드가 진짜.. (주관적 견해임)
11 - 대학원 대통령 장학금 석사신입 쓰신 분들
11 - 여성분들이라면 어디 선택하실건가요?
13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박사 입시를 준비하시는 분들께
20 - 박사 오퍼 펀딩 잘 확인해보세요
23 -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1078 - 교수대신 미국 빅테크에서 일하는 이유
138 - 요즘 논문 실적이 의미없는이유
55 - 뭐가 잘못인지 인지 못하는 멍청한 인간을 어떻게 해야하나(푸념)
7 - 갑자기 빡쳐서
14 - 하 제발 좀 석사든 박사든 하겠다고
39 - 연구실/교신 저자 입장에서 내기 쪽팔린 학회 초록
20 - 기업들은 그냥 SPK 돈 뿌리면 탑티어 학회 갯수 부풀리는거 쉬운거 아님???
16 - LLM 국산화 하겠다고 기업들이 세금 몽땅 가져가려는 속내가 너무 싫다
31 - 요즘 과기원(카이스트 제외) 박사출신도
11 - 연구실 물 흐리는 여학생..
1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스펙 확인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미국 탑스쿨 박사 희망중입니다.
22 - Uiuc Purdue 중 고민이 많이 됩니다.
18 - ICLR 25 acceptance rate 이 32.08% 임... ㅎㄷㄷ
23 - 교수님 목소리만 들어도 눈물이 나요.. 어떡하면 좋죠
14 - 3년간 논문 70편쓰는게 가능한거임?
36 - spk 자대생 안가는 랩
15 - 연구실에 cctv 다 있는 거지?
17 - 국내 산업계나 학계는 글러먹었음
13 - BK21 선정된 랩실이면
12 - 조교수도 논문지도교수를 할 수있나요?
13 - 진짜 우리나라 교수님들 기본 마인드가 진짜.. (주관적 견해임)
11 - 대학원 대통령 장학금 석사신입 쓰신 분들
11 - 여성분들이라면 어디 선택하실건가요?
13
2020.06.01
2020.06.01
2020.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