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미국 cs 석사 관련 질문

2024.12.29

15

2251

안녕하세요,
2026 fall 미국 석사 (cs or ml) 지원을 준비 중인 학생입니다.
지원 시점이 2025년 말이니, 앞으로 1년 동안 어떤 활동들을 해야 할지 고민 중에 있습니다.

현재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서성한 중 한 곳, GPA 3.83/4.0 (2025년 2월 졸업 예정)
- TOEFL 104점 (추후 점수 향상 목표), GRE 미응시 (1년 내 준비 예정)
- data science lab에서 추천 관련 국내 저널 논문 1편
- Sound AI 스타트업 백엔드 인턴 (모델 서빙, 인프라, CMS 백엔드, 오디오 데이터 실시간 처리 등), 올해 2학기 인턴 근무 후 연장 제안을 받아 현재 근무 중에 있습니다.

앞으로 1년간 대학원 준비를 위해 추가로 어떤 활동을 해야 할지 고민 중입니다.

현재 스타트업에서 계속 근무를 하는것이 대학원 입시에 도움이 될 수 있을지, 혹은 더 큰 글로벌 회사에서의 경력이 조금 더 도움이 될지,
혹은 대학원 하계 인턴을 지원해서 연구경험을 조금이나마 늘리는 것이 좋을지.. 고민이 큽니다.
현재 회사에서 하는 것들이 너무 재밌고, 관련해서 sop에 담을 수 있는 것들도 많을 것 같으나, 스타트업인 만큼 교수님들 입장에서 이게 얼마나 valid한 경험이 될 수 있을지 모르겠고, 시간이 있는 만큼 다른 경력을 조금 더 쌓아두는 것이 좋을 수 있을까 .. 생각이 듭니다.

주위에 cs 석사로 유학을 간 사람이 거의 없어 조언을 구할 곳도 마땅치 않아 이렇게 글을 올려봅니다.
관련해서 조금이라도 조언을 주신다면 저에게 정말 정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앗 그리고 혹시 공개적인 답변이 어렵다면, 오픈 채팅으로 답변 주셔도 괜찮습니다!

Start an Open Chat on KakaoTalk!
Tap the link to get started.

Csms
https://open.kakao.com/o/sOZh7R8g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4.12.30

사실 왜 굳이 석사입학을 원하시는지 모르겟네요.. 석사후 미국내 취업생각하시는거면 요즘 비자상태등을 잘 확인해보시고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최근에는 많은 사기업에서 H1B로 지원해도 영주권까지 10%정도로 로또당첨수준이다보니, 영주권있는사람 순서로 뽑는경향이 큰것같습니다. 그래서 미국에서 박사과정하거나 포닥하면서 EB1이나 NIW로 영주권신청하는 사람들 많은데 이것도 NIW는 요즘 1년반~2년 말하고있어요. 그렇다고 NIW기준이 낮은것도아니고요.

대댓글 4개

2024.12.30

주변에 교수한테 컨택해서 연구원신분으로 있으면서 박사과정 지원하는 친구들도 꽤있습니다. cs의 경우 교수가 괜찮아보이면 그 친구한테 코딩 프로젝트 같은걸 주고 그걸 잘수행해오면 뽑는경우도 왕왕 보입니다. 그렇게 미국먼저 넘어왔다가 1년정도 하다가 그연구실에 그대로 입학한 친구들도 좀 있습니다.

2024.12.30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저도 H1B이 결국 추첨이다보니 큰돈을 투자하는 것에 비해 너무 불확실하다고 생각하지만, 우선은 그래도 제 미래와 하고싶은 것들을 위해 지원해보자고 생각하고 있어요. 예전부터 미국에 너무너무 살고싶었고, 대학원도 큰 목적은 결국 취업인 것 같아요. 아직 박사는 연구에 대한 확신이 없고, 능력도 부족하다고 생각해서 석사 지원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교수님께 직접 컨택해서 연구원을 우선 하는 방법도 있군요.. 그럴 경우에 비자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한데 f1받아서 오게되는 걸까요?
그리고 이게 불가능 할 시에는 국내에서 석사를 위해 어떤 스펙들을 쌓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2024.12.30

저도 비자는 잘모르지만 J1으로 갈겁니다. 보통 포닥(대다수, 가끔 H1B로 해주는경우도있음)/교환학생/방문연구원 등등이 모두 J1으로 갈거에요.
국내 석사를 하고 미국 석사코스를 들어가는건 의미가 있을지 모르겠네요. 말씀드린것처럼 미국 상황을 보고 결정하세요. 졸업하고도 취업못하면 결과적으로 석사하면서 돈만 한참 날릴텐데요. 뭐.. 부모님께서 여유있으시면 그런걱정 할필요없으시겟죠

2024.12.30

그렇군요,, 좋은 조언 감사드립니다. 더 많이 알아보고 신중히 결정해야겠네요 감사합니다!

2024.12.30

미국 cs 석사는 캐시카우로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금 미국 cs 취업시장을 몸으로 느끼는 입장에선 석사도 영주권 없인 취직이 빡셀꺼라고 생각합니다.

스펙이 좋으신데 한국 석사후 미국 박사 진출이 가능하시다면 훨씬 좋을것같습니다. (경제적이든 가능성이든)

대댓글 2개

2024.12.30

그런가요..ㅠㅠ 저도 한국 석사-미국박사 를 생각해보긴 했으나, 아직 연구에 확신이 없고 긴 기간을 버틸 수 있을지 확신이 들지 않아서, 바로 미국에서 대학원을 시작하고픈 마음이 큰 것 같습니다.
(한국에서 석사 후 제가 더이상 연구에 뜻이 생기지 않는다면 그 뒤로 미국에 넘어갈때 박사 진학하는게 힘들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고, 우선 넘어가서 취업을 할지 연구를 할지에 대한 선택권을 두고 싶어요)

그치만 말씀해주신 것처럼 석사를 그냥 캐시카우로 보기도 하는 점과 사실상 비자가 추첨이니 석사를 한다고 해도 취업을 보장할 수 없는 점이,, 많이 힘들겠네요 ㅜㅜ

현재 미국에서 취업을 준비하고 계신걸까요?
그리고 만약 우선 석사를 준비한다고 가정한다면, 위에 글에 적힌 것처럼 어떤것들을 준비하면 좋을지도 궁금합니다.

답변은 너무 감사드립니다. 😶😶

2024.12.30

그 졸업후 나오는 비자는 OPT로 취직하는거라 이과시면 3년은 구직만 하시면 일 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미국 박사 제안받아서 아마 내년에 다이렉트 박사 풀펀딩으로 진학할 예정입니다. (미국 학부 졸업 예정이라서 한국서 준비하시는 경우를 잘 모를것같습니다 ㅠ 그래도 모르시는거 있으면 답해드리겠습니다!)

2024.12.31

2022년에 미국 cs 석사로 넘어와서 졸업하고 현재 미국 빅테크에서 ML쪽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도 비슷한 테크를 타면서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고 했던 입장이라 많이 공감이 가네요. 제가 작성자분의 상황을 완벽하게 알지는 못하지만 어디까지나 제 개인적인 경험으로 비추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1. 우선 윗분들이 미국 cs 석사는 캐시카우고 영주권 없이 미국에서 취업하는 건 힘들다 등등 그다지 희망적이지 못한 이야기들을 많이 해주셨는데요. 현재 미국 현지에서 일하면서 제가 느낀 바로는 어느정도 사실입니다. 물론 개인차 환경차가 당연히 존재하겠지만 미국 석사로 취업하는 건 확실히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특히 코로나 때 넘어온 엄청나게 많은 수의 유학생들이 지금까지도 영주권 프로세스 상에서 매우 적체되어 있는 상황이라 빅테크를 가더라도 영주권을 받을 수 있을지에 대해선 불확실한 상황입니다. 그에 따라 당연히 취업 자리 구하는 것도 쉽지 않구요. 저랑 같이 석사 했던 친구들 중에 풀타임 잡은 고사하고 2학기 끝나고 여름 인턴을 잡는 데에조차도 실패한 사람들도 정말 많습니다. 우선 각오를 단단히 하셔야 한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구요.

2024.12.31

2. 박사에 대해선 아직 확신이 없으시다고 말씀하셨으니 일단 미국 박사 진학은 제외한다는 전제 하에서 말씀드리면, 지금 현 시점에서 하실 수 있는 일은 위에서도 언급하셨지만 최대한 SOP와 추천서에 의미 있는 contribution을 많이 만드는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토플이나 GRE는 우선순위는 아니구요, 토플은 유효 기간 남았으면 그정도 점수면 발목을 잡힐 일은 없을 거라 유효기간 보고 재응시할지 말지를 결정하시면 되고 GRE는 요즘은 안 보는 학교들이 굉장히 많아서 먼저 학교 서치 해보시고 정말로 가고 싶은 학교에서 필수로 제출해야 한다고 하면 그때 응시를 결정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생각보다 GRE가 정말 귀찮고 시간도 꽤 잡아먹어서 그럴만한 가치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그리고 스타트업에서 계속 일할지 아니면 조금 더 큰 회사에서 일할지 고민이 된다고 하셨는데 물론 미국에서도 인지도가 있는 큰 회사에서 근무하시면 당연히 이득이 됩니다. 혹시나 나중에 미국 취업할 때 경력을 인정받아서 더 좋은 포지션으로 갈 수도 있고 꼭 그게 아니라 그냥 new grad로 간다고 해도 미국에서 알만한 기업이면 당연히 유리하겠죠. 다만 현 시점에서 이직을 위해 쓰게 될 시간과 에너지 vs 현 회사에서 최대한 프로젝트를 리드하면서 개인적인 contribution을 만들기 사이에선 본인 스스로 뭐가 더 좋을지 조금 고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큰 회사를 가면 그만큼 네임밸류는 있겠지만 사실 유학 전까지 1년 ~ 1년 반 정도 근무하게 될텐데 그 기간동안 과연 얼마나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지는 살짝 의문이 드네요. 반대로 스타트업에서 근무한다면 조금 더 개인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도 많을 것이고 잘만 하면 논문도 쓰고 개인 커리어 관점에서 이름을 남길 부분은 조금 더 있을 수도 있다는 생각도 들어서요. 물론 그만큼 쪽박 칠 가능성도 있지만요. 참고로 저도 유학 가기전에 스타트업에서 근무했고 사실상 대기업은 지금 회사가 처음입니다.

대댓글 4개

2024.12.31

(1->2 대댓글을 남겨야 하는데 실수로 새 댓글을 남겨버렸네요ㅠ 아무튼 이어서 작성하겠습니다.)

3. 그리고 마지막으로 반드시 석사가 미국 진출을 위한 유일한 옵션인지에 대해서도 고민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윗분들 말씀대로 한국에서 박사를 하고 NIW를 받는 방법도 있겠지만 박사는 아직 모르겠다고 하셨으니 논외로 두고, 개인적으로는 한국에 있는 미국 회사에 취업해서 나중에 미국 지사로 넘어오는 방법도 괜찮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렇게 하면 비록 당장 미국에 나오는 시간은 더 걸리겠지만 오히려 비자 관점에선 L1으로 오게 되니 괜히 석사하느라 경력도 안 끊기고 영주권 받기도 오히려 더 쉬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제 주변에서도 그런 케이스를 많진 않아도 꽤 종종 봐왔습니다. 만약 지금 일하는 스타트업에서 일하는게 아닌 조금 더 글로벌 한 회사에서 일하는 걸 정말 고민하고 계신다면 그냥 아예 이직하고 거기서 쭉 근무하시고 미국 지사로 전배를 고려하는것도 참고로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물론 우리나라에 있는 미국 기업이 많진 않아서 이것도 이것 나름대로 문이 좁습니다만 적어도 경력 단절을 막을 수 있다는 게 장점이겠네요.

2025.01.01

안녕하세요, 너무 정성스런 답변 감사드립니다. 해주신 조언들 모두 제게 너무 큰 도움이 됩니다 ..🥺

초기에 비슷한 생각을 가지시고 미국을 넘어가셔서 현재 백테크에서 근무중이시라니, 제가 하고싶은 것들을 그대로 하고 계신 것 같아 여쭤보고 싶은 것들이 너무너무 많네요 ...ㅎㅎ 대단하신 것 같습니다.

3번도 많이 고려해보아야 하겠네요 이전에 그 옵션을 생각했을 때 이전에는 내가 준비하고 바로 입사할 수 있을 것인가 + 미국에 가는 시기가 늦어지 수 있지 않을까 이런 생각들이 들었던 것 같아요. 그리고 석사를 도전할지 글로벌 기업 입사를 시도해볼지는 선택과 집중이 무조건 필요할 거 같아서 우선 석사를 고려했던 것 같네요 ..

만약 러셀님이 다시 돌아가신다면 둘중에 어떤 루트를 선택하셨을 것 같으신가요? 무엇이 더 미국 진출에 유리할지, 더 빠르게 가능할지 궁금합니다.

(실수로 밑에 댓글로 남겼네요 하핳..... 다시 대댓글로 남깁니다!)

2025.01.01

저야 작성자 분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모르니 확실하게 결정내리긴 어렵습니다만 저는 다시 돌아간다고 해도 석사를 할 것 같긴 합니다. 다만 다른 학교나 다른 연구실을 택했을 가능성은 있겠네요. 일단 한국에 있는 외국계 기업은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선택지가 많이 없는 편이고 저는 한 살이라도 어릴때 미국에 나오는게 어찌됐든 미국 생활에 적응하는 데에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서요. 언어든 문화든 인맥이든 여러 면에서요. 어느 정도 네임 밸류가 있는 학교였기 때문도 있을 수 있지만 미국 대학 생활 체험해보는 것 자체도 나름대로는 뜻 깊은 경험이었다는 생각도 들구요. 물론 석사를 할 경제적 시간적 여건이 안 된다면 추천할 만한 루트는 아닙니다. 위에서도 다른 분들이 언급하셨듯이 석사라는 위치가 상당히 애매모호하고 캐쉬카우라는 부분도 솔직히 말하면 아주 부정 할 수도 없구요.

그런데 사실 정말 다시 돌아갈 기회가 주어진다면 저는 석사도 외국계 기업 취업도 아닌, 국내에서 석사하고 미국 박사하는 길을 선택했을 것 같네요ㅎㅎㅎ 저는 사실 박사 진학에 관심이 있었으나 안타깝게도 박사도 이미 두번 떨어졌었고 어찌저찌 미국 석사 졸업 후 취업의 길로 들어서게 된 케이스여서요. 솔직히 ML쪽으로 일하면서 박사 학위 미소지자가 겪는 여러가지 기회 문제도 어느정도는 체험하고 있는지라... 어찌됐든 그렇습니다ㅎㅎ

2025.01.01

앗 그렇군요, 어떤 길이든 장단점과 기회비용이 있는 것 같네요 .. 처음 석사를 결심하게 된건 저도 최대한 빠르게 미국에 나가고 싶은 마음이 컸고, 계속 미국에서 산다면 학위가 있는게 경험이나 네트워킹 등 다양한 측면에서 더 유리하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어요. 아직 나이는 어려서 시간적 여유는 있고, 경제적 여건은 모아 놓은 돈(적음..) + 부모님 지원 + 최대한 일찍 준비하면서 받을 수 있는 장학금을 최대한 받기로 하면 되지 않을까,, 라고 라고 생각했네요. 하하..

제가 어떤 선택을 하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어떤 길이든 열심히 알아보고 고민하면서 준비해보아야 하겠네요.
말씀해주신 것들 모두 너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렇게 친절하게 답변 달아주셔서 감사해요. ㅎㅎ
앞으로 하시는 일 모두 화이팅 하시고, 새해 복 많이받으세요 ! !

2025.01.01

안녕하세요, 너무 정성스런 답변 감사드립니다. 해주신 조언들 모두 제게 너무 큰 도움이 됩니다 ..🥺

초기에 비슷한 생각을 가지시고 미국을 넘어가셔서 현재 백테크에서 근무중이시라니, 제가 하고싶은 것들을 그대로 하고 계신 것 같아 여쭤보고 싶은 것들이 너무너무 많네요 ...ㅎㅎ 대단하신 것 같습니다.

3번도 많이 고려해보아야 하겠네요 이전에 그 옵션을 생각했을 때 이전에는 내가 준비하고 바로 입사할 수 있을 것인가 + 미국에 가는 시기가 늦어지 수 있지 않을까 이런 생각들이 들었던 것 같아요. 그리고 석사를 도전할지 글로벌 기업 입사를 시도해볼지는 선택과 집중이 무조건 필요할 거 같아서 우선 석사를 고려했던 것 같네요 ..

만약 러셀님이 다시 돌아가신다면 둘중에 어떤 루트를 선택하셨을 것 같으신가요? 무엇이 더 미국 진출에 유리할지, 더 빠르게 가능할지 궁금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