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MDPI로 첫논문 내지마 엥간해선

2025.11.17

5

1558

평생토록
어쩌면 죽어서까지
꼬리표 붙는다...
농담 아님.

하지만 반박 시 님말이 맞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5.11.17

근거가 빈약하죠. 어떤 연구자가 주저자로 네이처도 있고 MDPI도 있는데 사람들이 색안경끼고 "MDPI연구자다!!" 라고 할까요? 전혀아닙니다.
특히나 국내에서 원하는 인재상은 심도깊은 연구도 해서 좋은저널에 낼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서는 빠른연구를 통해서 빠른 연구성과를 내는걸 기대하기도 합니다.
보통 문제가 되는건 본인의 연구실적의 대부분 혹은 주논문이 MDPI 혹은 비슷한 수준의 저널인 경우입니다.
또한 MDPI든 다른 어떤논문이든 평생 본인의 꼬리표가 됩니다. 하다못해 정치계로 빠지시면 석사논문 박사논문 하나하나 보면서 어떻게든 꼬투리 잡으려고 하는걸요.

2025.11.17

아니야 내 생각은 좀 달라. 어쨌든 논문을 낸다가 중요해. 논문을 낸다는 것은 연구를 마무리 짓는 능력이야. MDPI가 실적의 대부분이면 부정적으로 볼만 하지만 커리어 전반에서 중간중간 몇 개 섞여 있는 것은 괜찮다고 생각해. 여태까지 한 연구 버릴 수는 없잖아. 어떻게든 마무리를 지을 수 있는 능력을 중요시 생각하는 PI들도 많아.

대댓글 1개

2025.11.17

맞음 뭐가 되었건 결과를 마무리하는게 중요함.
그 다음은 어떤 수준의 결과로 마무리 지었냐를 따져야함.

2025.11.17

큰 연구가 성공 할 수도 있으나, 많은 경우 부분만 성공할 수도 있는데, 학생 논문 연습차원에서, 부분만 성공한 결과라도 그 성공한 부분을 잘 살려서 논문 작성하는 쪽으로 지도하는 것 나쁘진 않음.
탑저널과 MDPI(단 Q1급이상) 논문 두루두루 작성 중임.
CNS급>메인자매지>Nature comm, Sci.Adv, Adv.Sci, 10점이상 주요논문>4~10점 사이 일반저널> 4점 이상 MDPI논문(마지노선)순으로 작성하고 있네요.

2025.11.17

그래서 IEEE Access 냈습니다 ^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