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우리 분야는 보면 버클리나 데이비스, 미시건 등 정교수들도 가끔 내던데.. 왜 내는지 궁금함 그냥 단순 궁금 미국에서도 반응 갈리는거같더라고요
대댓글 1개
2022.02.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Invited review 일지도 모름 아니면 태뉴어 받고 옮길 곳도 없어서 딱히 평판 신경 안 쓰던지 오히려 포닥이랑 박사생이 쓰는게 젤 안 좋을듯
IF : 2
2022.02.24
학계 취업 기준으로...
논문이 mdpi뿐이다 - 물박사라는 이미지 주기 때문에 최악
실적 중 대다수가 mdpi다 - 제대로된 연구를 할 역량이 안된다는 인상을 줌.
논문 실적 중 대다수가 평판 괜찮은 scie고 일부 1~2개가 mdpi다 - 좋은 논문도 쓸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작도 가능한 인상을 주기 때문에 괜찮은 선택. (한국학계에서 살아남으려면 정량적 실적도 중요해서 다작은 의외로 필요한 능력)
대댓글 2개
2022.02.24
이 분이 딱 맞게 설명해주신 것 같음
2022.02.24
이분말이 맞아요. 개인적으로 좋은논문도 충분히 있고, mdpi든 뭐든 저널2편정도 있는게 가장 베스트일수도 있어요. 출연연이든 학교로 가든지 플젝실적에 맞춰서 급하게 제출할 일도 많은데, 좋은논문 2편만 있는사람은 괜히 정량적실적관련 뒷말 나올수도있어서요.
2022.02.24
내지마ㅏㅏㅏㅏㅏㅏㅏㅏㅏ
2022.02.24
mdpi가 그렇게 안좋은 저널인가요??
지금 석차 1년차 지나고 있는 학생인데 교수님 도움을 받아서 mdpi 1저자 하나 투고한 상태입니다.
실력이 모자르다는건 알지만.. 그래도 sci 인데 라는 생각이 드네요 ㅠㅠ
대댓글 3개
2022.02.24
뒷말이 많을뿐 scie기는 합니다. mdpi에서도 특히 말많은 저널은 그래도 삼가하고 더욱 열심히 연구해서 괜찮은 저널에 내도록하는게 좋을거같습니다.
2022.02.24
요새 몇개 학교에서는 승진 평가에서 MDPI 제외하기 시작했어요. MDPI 저널들 따로 보면 정상적인 것처럼 보이는 곳도 있는데 출판사의 운영 정책이 약탈저널들하고 똑같아서요.
2022.02.24
2022.02.24
2022.02.24
2022.02.24
2022.02.24
대댓글 1개
2022.02.25
2022.02.24
대댓글 2개
2022.02.24
2022.02.24
2022.02.24
2022.02.24
대댓글 3개
2022.02.24
2022.02.24
2022.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