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조현병환자는 타인에게 해를 끼칠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묻지마 살인사건 중 많은 사례가 조현병환자의 망상에서 시작되곤 합니다.
아즈매와 마음 건강
16
- 혹여나 마음 따뜻한 친구들이 공격적인 댓글에 대해 나를 대신해 변론해주느라 애쓸까봐 하는 말이지만 마음만 고맙게 받겠다. 세상에는 소수지만 자신의 언사에 받을 타인의 상처에 무감각하거나 즐기는 이도 있는것 같다. 우리가 반대 댓글로서 그들의 공감능력을 일깨워줄수는 없다. 안타깝지만 그의 인생 아니겠는가.
아즈매와 마음 건강
24
- 세상에 소름 끼치네.
이런 사람이랑 깉은 랩 쓸까 겁난다.
상태도 졸라 심각한거 같은데 그 예전 누구처럼 랩에 불지를지 누가 암?
전문직이라는 것도 망상 아님?
아니 예초부터 대학원은감?
아즈매와 마음 건강
23
- 오우 망상증환자가 쓴 글인줄 알았음 응원도 안 눌렀지.
다른 글은 이 글에 비해 점수도 안 올라 감. 다들 속은걸 아는거지.
서른 중반 석사 졸업 미혼 아즈매의 대학원 단상
16
- 일반적인 경우라면 말씀하신대로 학부생 글쓰기는 교수 첨삭 단계에서 95%가 바뀌는게 정상이고, 그래서 학부생이 SCI 1저자를 가저가는 일이 잘 없습니다. 몇년 간의 phd grind, 그 이후 몇 년간의 faculty grind를 따라잡기는 쉽지 않지요. 그래서 보통 학부생이 개발과 실험을 했더라도, 그 내용을 지시했던 석/박사과정 학생들이 1저자 역할을 하곤 합니다. academic reporting에 조금 더 훈련되어 있기도 하고, 결국 저자는 내용을 이해하고 그 내용을 글로 쓰는 사람이기 때문이죠.
그러나 글쓴이께서는 교수님과 둘이 연구를 하신 것 같네요. 교수님 입장에서는 1저자나 교신저자나 똑같은 main author이기에 개발과 실험에 수고한 학부생에게 1저자 role을 주시는 것 같습니다. 좋은 기회를 찾는 것, 그 기회를 잘 잡는 것, 지도 교수로 하여금 하나라도 더 챙겨주고 싶게 만드는 것, 모두 본인 실력입니다. 지도 교수님께 감사한 마음과 겸손한 태도를 가지시되, 그 자세를 바탕으로 다음 연구에서는 더 많은 역할을 하시길 바랍니다.
학부연구생 sci 논문 이게 맞나요
19
대학원 생활이 힘든 이유들
2022.01.18
26
64038

당연히 랩바랩이라 다들 경험이 다르겠지만, 대충 아래의 이유들이 스트레스를 유발한다고 생각될듯
사람사는 세상이니 어쩔수 없는 면도 있지만, 대학원생도 인간인만큼 제도적으로 조금씩 개선해 나갈 필요는 있음
1. 교수의 절대권력
지도교수의 말한마디에 의해 대학원생의 상황이 좌지우지됨.
교수에게 찍히면 연구실 생활이 지옥이 될 수 있음.
2. 원생의 능력보다는 교수 주관
지도교수도 사람이다 보니 편애하는 학생이 있고 이유없이 미운 학생이 있음.
그리고 모든 평가는 교수 한명에 의해 이뤄지므로 억울한 경우가 있을 수 있음.
그러다보니 교수한테 알랑방구껴서 정치질하는 한심한 친구들이 생김.
3. 내가 결정할 수 없는 졸업시기
공대에서 석사 2년, 박사 5년 정도로 보통 생각하고 있는데 그것보다 늦어질 경우 마음이 급해지고 자괴감이 올 수 있음
특히 학위 따는건 지도교수의 승인이 필수인만큼, 외적인 요소로 미뤄질수도 있는데 여기서 오는 스트레스가 매우 큼
거기다 1년 이상 학위기간을 보내면 그만뒀을 때 시간적 손해가 아까워서 그만두지도 못함...
4. 긴 근무시간
대학원생들은 하루 12시간은 보통이고 밤샘작업도 허다한 경우가 많음. 주말이나 밤늦은 시간에 호출받아 개인 생활을 침범받는일도 많음
5. 성과 상관없이 균등하고 적은 임금
근무는 길게 하는데 월급은 적음. 그런데 출근해서 놀기만 하고 아무 성과없는 동료와 빡세게 프로젝트 일 하는 내 월급이 다 똑같음.
몸이 힘들어도 성과를 인정받고 월급을 조금이라도 더 받으면 기분이 나아지는데 그런거 없음.
6. 몰리는 일
연구실에 사람이 많아도 결국 일 잘하는 소수에게 다 몰림
좀 더 잘한다는 이유로 못하는 사람 뒤치닥거리를 해야되고, 심지어 성과 안나오는 동료의 연구도 도와줘야됨
일만하고 남 돕다보면 내 논문이 안나와서 내 졸업이 늦춰지는 억울한 경우도 있음
7. 한국식 선후배 관계
단지 선배라는 이유로 후배에게 막대해도 된다고 착각하는 꼰대들이 여전히 많음
사람도 얼마 없는데 편갈라서 사람 괴롭히고 정치질하는 경우도 허다함...
또 학부 선배가 대학원 후배로 들어오기도해서 족보도 엄청 꼬임.
8. 생산성이 낮은 연구주제
세상에 하등 필요없는 논문만을 위한 연구, 프로젝트만을 위한 연구 등을 많이 함.
원생 입장에서는 그 연구에 대한 동기부여도 안되고, 하찮아 보이는 일을 하는 내가 한심해짐
9. 미래의 불투명성
학력 인플레로 대학원 졸업해도 원하는 곳에 취업하기는 점점 어려워짐.
김박사넷 추천 PICK! 김박사넷AI가 추천하는 게시글도 읽어보세요!
-
82
19
37104
-
88
19
20827
-
69
30
30688
-
33
36
65748
-
102
28
20903
명예의전당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129
26
25522
-
183
18
57994
-
145
16
150237
고전인기
지방대 교수의 단상151
49
77906
-
258
14
109693
-
124
35
53396
고전인기
초심자들을 위한 논문 쓰는 팁541
72
88445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김박사넷에서 드리는 유학준비 스타터팩 신청하기
533
kairi kaist ai 인턴 최종 결과
15
- 한양대 대학원도 서울캠 에리카 캠퍼스 다르게 생각하나요??
14
- 카이스트 반수 서울대
21
- S대 AI대학원 컨택됐는데 카이스트에도 지원하려고 합니다.
16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2.01.18
2022.01.18
대댓글 4개
2022.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