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MDPI 실적만으로 지거국 도전중...

덤덤한 박경리*

2022.06.03

29

4814

현실에서는 다들 인정해주는데

꼭 온라인에서만 보면 MDPI까더라.....
반드시 임용되서 후기글 쓰겠읍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9개

이기적인 존 필즈*

2022.06.03

mdpi 어디에 주로 내셨나요?

대댓글 1개

덤덤한 박경리작성자*

2022.06.03

빠른리뷰가 좋았기 때문에 낸거라서..
딱히 안가리고 냈습니다

sensors도 냈습니다
산만한 안톤 체호프*

2022.06.03

분야마다 다르지만 저희는 네이처 자매지 없으면 지거국 서류 통과도 힘든데.. 신기하네요

대댓글 2개

덤덤한 박경리작성자*

2022.06.03

네이쳐자매지나 MDPI나 결국 한편의 논문

분야마다 다르지요

2022.06.10

분야별로 다른것으로 치부하기에는 .... 후 그건 작성자 생각이고요... 네이쳐에 올릴 시 대부분의 학자들에게 무시 받지 못할 정도로 높은 수준의 논문을 뜻합니다. 반면에 MDPI는 논문 제출하면 그냥 붙는 낮은 수준의 논문지 입니다. 문제도 많고요. 다른 교수님들도 그 논문지는 돈벌려고 만든 거다 말이 많습니다.

2022.06.0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도전은 누구나 할 수 있다.

대댓글 1개

덤덤한 박경리작성자*

2022.06.03

ㅎㅎ

2022.06.0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운도 많이 작용하니 도전

대댓글 1개

덤덤한 박경리작성자*

2022.06.03

감사

2022.06.03

고생이 많으시네요.. 그러나 현실적으로 MDPI는 좀... 차라리 IEEE ACCESS가... 그외에 대논문을 도전해보세요

대댓글 3개

덤덤한 박경리작성자*

2022.06.03

국내학술지도 몇편 있고
학회에서 수상이력도 있습니다
그랜트도 프레쉬박사임에도 불구하고 있슴
못된 임마누엘 칸트*

2022.06.03

Access도 마찬가지임.

2022.06.03

작성자님... 그정도는 프레쉬 박사과정과 비슷한 수준이세요 박사는 SCI급논문 IF 6이상 논문이 몇개있어야해요ㅜㅜ 현실이 그래요.... 석사 애들 졸업논문이 MDPI급입니다...

IF : 2

2022.06.03

현실에서 mdpi인정해주는건 다른 저널도 있는데 mdpi가 추가로 있는거지 mdpi만 있으면 아무도 인정안해줘요...

대댓글 2개

못된 임마누엘 칸트*

2022.06.03

님처럼 온라인에서 인정하니마니 키보드질 하는것보단 훨씬 인정해주고싶음.

2022.06.03

이정은 거기 임용 관계자들이나 하는거지 님이 하는게 아님

2022.06.03

분야의 차이도 있고, 글쓴이분이 진심으로 잘되기를 기원합니다.
다만 MDPI와 네이처든 한편의 논문이라는 말은 좀 스스로를 위안삼는거 아닌가요..
저도 MDPI도 써봤고 사이언스 자매지(sci robotics)도 써봤고, Transaction도 써봤지만 난이도 차이가 극심한건 맞죠. MDPI는 데스크리젝자체가 없는듯하고 사실상 거의 내면 다붙는데요.. 본인이 인정받고싶으시면 다른사람의 좋은실적과의 격차를 인정하고, 그 안에서 본인만의 강점을갖고 노력하시는게 좋아보입니다.
학회 수상이력은 훌륭하지만 매한가지로 큰학회가 아니면 그냥 상나눠갖는건 대다수가 알고있기도하고요..
제가 너무 부정적으로 적은것같아서 죄송하네요. 진심으로 임용에 좋은결과있으시기를 기원합니다.

2022.06.03

병먹금

2022.06.04

좋은결과 있으시길. 임용 안되어도 후기글 부탁드려요~

2022.06.04

뭐지ㅋㅋㅋㅋㅋ
도도한 그레고어 멘델*

2022.06.04

기계공학은데, 교수님들 applied sciences나 sensors 많이 즐겨내시던데요. 인용도 많이되고 좋다고하면서, 현실과 인터넷의 괴리가 있는듯합니다. 임용 시에도 정량평가 통과하는데는 어느 논문이든 논문 한편인것 같구요. Mdpi 출판사 이름보다는 어떤 논문인가가 중요한 것 같아요

대댓글 2개

2022.06.04

저도 기계공학에 spk에서 학위받았지만 정말 고여서 논문내기 어려운분야 혹은 교수지도가 부족한연구실 아니면 applied science 나 센서스 거의 안내요. 학과/학교에서도 매번 지양하라고 왔고요.
그쪽에 내는곳은 솔직히 급하게 과제실적쓰거나 테뉴어 개수 채우는게 아닌이상 안내는게 더 나을때도 있습니다. 근데 저라면 좀더 다듬어서 ral이나 ieee access나 sms이런곳에 내겟네요. (저도 과제실적때뭉에 센서스에 써본경험이 있습니다)

2022.06.04

결과적으로 교수한테 정량적 실적으로는 유리하겠지만 박사과정학생의 실적용으로는 mdpi만 있는건 학계내에서도 전혀 안좋게봊니다.
5-6편썻는데 mdpi 한두편 같이 있으면 좋은논문도 쓰고 과제실적용으로 빠르게도 논문쓸수잇구나 라는 어필이 되서 좋겠지만요. 졸업해보시면 현실이 그렇습니다.

2022.06.04

타이슨의 명언이 생각나네요 누구나 그럴듯한 계획은 있다 졸라 처맞기 전까지는...
자신감있는 모습 좋습니다만 임용 세번만 떨어지시면 본인이 쓴글 보시고 밤마다 이불킥을 할겁니다

2022.06.05

현실에서 인정해준다니 드릴 말씀은 없지만, S/J대나 출연연은 아예 MDPI는 심사 때 제외대상으로 결정했는데요....
건전학술활동지원시스템이 왜 요즘 핫한지 고민해보셨음 좋겠네요...

2022.06.05

J대 교수님이 제 논문 심사위원이셔서 해주신 말씀은 서류 통과해도 면접선에서 MDPI 많으면 거르기로 본부차원에서 결정되었다고 합니다. K의 경우 대표실적이 MDPI의 경우 교수 회의 때 리젝된다고 들었습니다.

2024.03.24

후기 부탁드립니당

2024.04.01

센서를 냈다...
분야 대충 감 잡히는데 지거국 MDPI 실적으로 ㅋㅋ;
다 떠나서 최근 임용 교수들 저널조차 한 번도 안찾아보신 것 같은데 포닥 더 해서 불쏘시개 말고 정상적인 출판 과정 밟는 저널 써보세요.
애초에 논문 투고 경험도 임용에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데 MDPI나 국내저널만 있으면 농담이 아니라 정상적인 연구나 출판이 불가능한 반쪽짜리 박사 취급 받습니다. 임용 준비로 시간낭비 마시길 ㅠㅠ

2024.06.01

음.... 근데 제 주변에 MDPI sensors 3편으로 프레쉬 박사로 ETRI 임용된 분이 계시긴 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