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문이 바로 서기 위해서는 결국 돈이 필요하군요.

2025.11.15

6

1062

대학에서는 말을 못하지만, 솔직히 계약학과나 융합학과 만드는 것보면,

대학이, 후세까지 변하지 않은 학문을 가르치는 기관이 아닌, 그냥 그때 유행하는 기술을 가르치는 전문대 혹은 학원화가 되어간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네요.


대학이 재정이 충분하고 스스로 좋은 연구 성과를 낼 수 있으면, 이런 정책들을 거절해도 괜찮을텐데, 그러지 못한거 같아 씁쓸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5.11.15

서로 니즈가 맞아서 된 비즈니스겠지만,
진짜 선견지명을 갖고 사회를 이끌어갈 양심적 지식인들
양성 및 연구보다는 대학랭킹이나 규모확장 등에 여념이
없어보여 안타깝긴 합니다

2025.11.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문도 시간이 지나면서 변하지 말라는 법이 있음? 마치 인생은 무조건 행복해야한다는 착각처럼 들리네요.
경쟁력을 갖추려면 대학의 자율성과 유연성을 줘야 사회변화에 대처를 하죠. 직장인 재교육도 대학의 역할 중 하나이구요.

대댓글 1개

2025.11.15

하버드나 스탠포드 같은 미국의 탑 대학에서 왜 그런 학과를 만들지 않을까요?

학문은 시간이 지나도 안바뀌어야 학문이기 때문입니다. 그때는 맞지만 지금은 아니다가 되려면, 그건 기술이지 학문이 아니라 저는 생각합니다.

예를들어서 인지심리학에서 증명된 것들은 100년전이나 지금이나 인간의 인지과정은 다르지 않기에 학문적으로 배울 수 있는거죠. 근데 그걸 미디어랑 합쳐서 유튜브 학과를 만든다면 그게 50년이나 가겠습니까?

2025.11.16

배가 부르면 잠만 오죠. 돈 넣응 만큼 정비례해서 글로벌 경쟁력 갖췄다면… 후세대는 피해만 보네요

2025.11.16

그 후세에까지 전해지는 변치않는 학문도 초기엔 융합학문 취급이었을텐데요 뭘

2025.11.16

학문은 혼자서 할 수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사람들을 필요로 하고 사람들이 모이려면 돈이 필요하기 마련입니다. 물론 돈이 수단이 아니라 목적이 되어 수강생 상대로 장사를 하는 학원이 된 듯한 대학도 있겠지만, 그런 대학은 형편과 사정에 맞는 선택을 했을 뿐입니다. 모든 대학이 하버드나 스탠포드처럼 명망이 높지 않으며 그에 걸맞은 경제적인 여유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모든 대학이 하버드나 스탠포드처럼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게다가 반드시 그래야만 하는 것도 아니구요. 시대와 사정에 맞게 각자가 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것이지 그게 무작정 비난받을 일은 아니라고 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