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부생 SCIE급 논문 솔직한 질문

2025.11.14

6

656

안녕하세요, 졸업 앞두고 있는 공대 학부 4학년입니다.

R&D 대기업 취업을 꿈꾸지만 학벌도 서성한 이하이고 학점 마저도 3.5만 지켜낸 수준이라서 대기업 취업이 현실적으로 어렵겠다 생각했습니다.

대외활동이나 수상경력은 남부럽지 않게 쌓아왔고 외국계 회사 R&D 인턴 경력도 있지만, 그냥 스스로가 너무 모르는 게 많고 부족한 것 같아서 와일드카드 한 장이 필요하다 생각해서 논문에 집중했습니다.

현재까지의 성과는 SCIE 1저자 한 편과 국내학회 1저자 한 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SCIE가 정말 정말 많이 힘들었습니다. 반년이 조금 넘는 시간 동안 정말 이게 맞나 싶을만큼 힘들게 노력했고, 이런 연구와 논문을 계속 투고하시는 연구원 분들과 석 박사 분들이 진심으로 존경스럽고 저는 도저히 못 하겠다 생각했습니다. 메이저 리비전 후에 최종 억셉을 받아냈을 때, 이 정도면 정말 충분한 스펙이겠다라고 스스로 생각했지만 주변에서는 그냥 Not bad 정도로만 생각하시는 것 같아서 제가 방향을 잘 못 잡은 건가 싶어서 여기 계신 선배님들께 조언을 구합니다. 차라리 그 시간에 조금 더 직무 역량을 쌓거나 학점 높이기에 집중했어야했나 싶기도 하고요...

제가 논문을 낸 저널은 탑티어는 물론 아니고 Q2에 IF 2점대 후반인 저널입니다. 학부생 중에서도 탑티어 논문 내는 연구생들 종종 봤는데, 이 정도의 성과가 대기업 R&D 취업에 유의미한 스펙이 될 수 있을 지, 현실적으로 어느 정도의 성과인 지 피드백 해주시면 감사히 경청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5.11.14

뽑는 대기업의 인재상에 따라 달라지지 않을까요? 대다수의 대기업에서 학부졸업생에게 연구수준을 기대하지는 않을듯 합니다.
그냥 저냥 말잘듣는 성실하고 똑똑한 사람을 선호할경우, 학부/학점을 보겠죠.
그게 아니라 연구할만한 사람을 뽑을거면, 연구실적을 보겠고요. 저는 학계에만 있다보니 대기업에 종사해본적이 없고, 더더욱 인사팀에 대해서는 아는게 없지만 사기업으로 간 선후배들 말 들어보면 성실하고 똑똑한 사람을 선호하는듯 합니다.

2025.11.14

대기업 R&D는 석박 위주 채용이고
학사는 아웃라이어가 아닌 이상 안뽑음

2025.11.14

저널의 수준과 상관 없이 학부생이 논문 한편을 마무리 지어봤다는 부분은 개인적으로 높이 평가합니다. 다만 대기업 취업 시 유의미한 스펙이 될 가능성은 매우 적습니다. 애초에 논문은 권리 주장이 안되기 때문에 생각보다 기업 입장에선 중요도가 높지 않습니다. 그리고 박사도 아닌데 논문을 써오는 것 자체도 좀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만 연구를 수행했던 경험을 자소서 등에 잘 녹여낸다면 어필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2025.11.14

취업에는 그닥. 대학원 진학이라면 충분히 아웃라이어가 될 수도 있죠. 해외 박사도 노려볼만 할지도.

2025.11.14

학사출신에게 기업은 딱히 그다지 논문 바라지 않습니다 뭐 해외 대학원 가고 싶다면 괜찮겠지만 나머지는 그다지
논문 썼다고 해서 그걸 진짜 그 학생의 역량이라고 보지도 않을테고요
그냥 딱 조금은 해봤겠구나 정도지 엄청 중요한 펙터로는 보지마세요
이게 너무 스펙스펙하니깐 이젠 논문 실적까지 쌓으려 하는데...
R&D에 학부생을 진짜 연구시키려고 채용할까요? 널린게 석사들이고 박사들인데

2025.11.14

실적으로 인정받는가 X
자소서에 녹여낼수 있는가 O

잘 쓰면 스펙, 못 쓰면 꽝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