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MDPI 논란 정리해볼게요 NEW

2025.11.17

2

330

1. MDPI 저널들 수준
1-1) 정량 평가: IF는 1점대 ~ 6점대이지만 Sustainability 등 몇몇 저널 제외하면 대부분 SCI급이 아닌 ESCI, SCOPUS급입니다.
1-2) 정성 평가: 리뷰 기간이 짧고 Acceptance Rate가 높은 편입니다. ESCI급에서 SCI급으로 올라가면 관리 빡세질지는 모르겠습니다.
1-3) Frontiers와의 비교: Frontiers랑 비교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Frontiers는 Beall's List에 약탈적 Publisher로 등재됐지만, MDPI 등재되어 있지 않고 그 이유가 기술되어 있습니다. 이쪽에도 분명 급 차이는 있습니다.

2. 대학원생 첫 실적?
당장 교수 임용 심사 볼 것도 아닌 대학원생의 첫 실적 MDPI인 것은 그다지 득 볼 것도 없지만 깎일 것도 없습니다.
MDPI든 뭐든 일단 일을 마무리 짓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더 좋은 저널로 마무리 지으면 당연히 좋겠지만
여의치 않으면 MDPI라도 있는 게 없는 것 보다는 낫습니다.
여태까지 한 연구를 마무리 짓지 못하고 폐기해야 하는 것을 더 안타깝게 생각하는 PI들도 많다는 점을 염두에 두셨으면 합니다.

3. MDPI 실적이 중간중간 섞인 박사에 대한 평가
큰 문제 없습니다. 2번하고 같은 맥락입니다. 대표실적이 MDPI라거나 실적 대부분이 MDPI면 부정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중간중간 섞여 있으면 중간중간 어려운 시기가 있었지만 마무리하려고 노력한 것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4. MDPI 실적이 대부분인 박사에 대한 평가
4-1) 대부분 1저자인 경우: 이 경우가 실제로 정성평가에서 부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경우입니다. 1저자는 실제로 논문의 대부분을 쓴 사람인데, 실적 대부분이 MDPI면 쉬운 저널에 반복적으로 투고해 양치기만 노렸을 뿐 실력에 대한 의구심을 가질 수 있습니다.
4-2) 대부분 et al.인 경우: 이 경우는 앞 경우랑 완전히 다르게 봐야 합니다. 동료에게 단순 도움을 주고 2저자~ 자리를 받았거나 교수님이 교신저자인 경우입니다. 1저자로 들어간 학생들에 따라 실적 대부분이 MDPI로 채워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을 해당 박사의 능력이랑 동치시키는 것은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맥락에서 이 부분은 3번에 대한 상호보완적인 평가 요소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개

2025.11.17

개추

IF : 1

2025.11.17

mdpi 제일 큰 문제는 IF 뻥튀기라고 생각합니다. mdpi의 if 3,4점 대 저널에 출판된 논문 퀄리티가 타 저널 if1,2 수준인 경우가 허다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