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3 - 현명한 학생 아닐까요 아닌 랩 오래 다니다가 그만두는 것보다 훨씬 서로에게 좋음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21 - 1.인정. 서울대 학석박인데 실적없는 물박사들 너무 많음. 그냥 서울대 쩌리들이 갈 곳 없어서 대학원 가는 느낌. 실적좋은 비서울대 학부 선호.
2.인정. 테뉴어 받으시고 꾸준하게 연구지도 하는 교수님들은 그냥 무조건 리스펙. 보통일이 아닌데 열정이상의 노력이 필요.
3.다 인정하는데 마지막문장만 인정X. 과탑했으니 SKP에 가는것은 본인만의 특권입니다. SKP에서 만나는 인맥과 연구시스템은 매우 훌륭합니다. 교수님때문에 자퇴를 한다면 어쩔수 없지만 SKP는 충분히 도전할만한 학교이고 경험해볼만한 학교입니다.
4.인정. 한국학생들의 고질적인 병이 수동적인 태도입니다. 무조건 떠먹여주실 바라는건 대학원생이 아니죠. 실패하더라도 하나씩 부딪쳐보고 해결해나가고 배우는 과정의 연속이라 생각.
5.최근에 임용되신 조교수님들 찾아가서 상담을 받는것은 무조건 추천. 엄청난 실력자임과 동시에 제가 본 대부분의 분들도 매우 훌륭한 트레이닝을 받고 인성도 좋으신분들임 (물론 나중에 테뉴어를 받으면 착취형 교수로 돌변하겠지만 ㅋ)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7 - 대부분 맞는 이야기이긴 한데요.
조교수 랩에 대해 너무 긍정적인 이야기만 있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처음 셋업하는 랩에서 고생만 하고 졸업하거나 포닥 때는 좋은 논문 많이 낸 사람이 교수 임용 되고 본인 교신으로는 좋은 논문 못 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신생랩 선호하지 않는 거고요.
결론은 일단 최근 퍼블리케이션을 꼼꼼하게 봐야 합니다.
그 랩 멤버가 일저자, 교수가 교신저자인 논문만 봐야하고,
랩 멤버 수 대비 논문 양과 질이 괜찮은지,
좋은 논문들이 한 두 명에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쓰는지 보면 됩니다.
결국 대부분 멤버가 좋은 논문을 쓰고 졸업하는 랩에 가면 본인도 그렇게 되고요. 그 중에서 많이 가르쳐주고 챙겨주는지 자유방임인지는 면담 때 파악하고 본인에 맞춰 선택하면 됩니다.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3 - 안물안궁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1 - 학부를 봅니다.
석사졸업후 취업시 학부 학벌도 중요하나요?
10 - 이런 이야기는 본인 실적 까고 하는 겁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8 - 가끔은 제안서내용도 이해못하는 심사위원들보면 누가누굴평가한다고 하는 생각이 들죠. 그러다보면 실적순이 차라리 공정하게 느껴짐^^;;;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0 - 글이나 제대로 쓰세요ㅋㅋ실적 없어서 과제 떨어지고 추하게 커뮤에 글 쓰는 걸로 밖에 안 보여요. 실적만이 증명된 연구자인지 알 수 있는 유일한 척도인데요? 실적은 없이 제안서 글 싸지른걸로 뽑자는게 더 어이가 없네요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4 - 한국 평가 위원들 제안서 제대로 안 보는 사람들 많습니다. 실적 기준으로 평가하자는 말이 제일 많이 나옵니다. 평가 얼마나 다녀보셨나요 ? 제안서를 아주 엉망으로 쓰면 그건 당연히 안되지만, 어느 정도 평균 이상이면 실적 싸움입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2
MDPI로만 학교 임용되기 가능합니다.
2022.09.06

국립대를 기준으로 1차가 실적 서류 평가인데요. 심사 위원들 반이상이 mdpi가 뭔지도 잘 모릅니다.
커뮤니티하는 2030 정도만 관심있고 이슈가 되니 보지, 심사위원들 절반이상이 4050이고, 연구중심대학이 아닌 이상
연구에도 손 놓으신분들도 많고 해서 mdpi가 뭔지도 잘 모릅니다.
그래서 그냥 IF랑 주저자 수 계산해서 기계적으로 실적 점수 계산합니다.
그리고 2차가 이제 면접인데, 1차 점수 1위부터 5위정도까지 올라가고 발표합니다.
제작년부터인가, 작년부터인가 블라인드 심사한다고 면접에서 1차 지원 정보를 다 막아버립니다. 어떤 논문지를 썼는지 mdpi인지 ACM인지 알수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1차때 5등안에 들고 2차때 발표만 잘하고 인상만 좋으면 (중요) 임용 가능합니다.
저는 사립대에 있는데 국립대처럼 엄격하지는 않아서 암묵적으로 지원자 서류 뽑아가지고 나눠주고 그럽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어찌될지는 모르겠습니다. 보통 사립도 국립 따라가니까요.
그러니까 임용 지원자 분들도 앞으로 MDPI도 잘 챙겨서 실적점수 쌓으시는 것이 임용에 생각보다 도움이 많이 될 것입니다.
========================================================================================
+
여하튼 제가 글 쓴 이유는 학교마다 임용절차가 허접한것도 생각보다 많으니 여러가지 관점에서 임용 준비하시는게 좋을 것 같다는 말입니다. 너무 탑티어 저널에만 목메다가 1~2개 쓰고 졸업하는 것이 물론 연구자로써는 명예로운 일이지만 임용 준비 입장에서 왕도는 아니라는 것이지요. MDPI가 좋다 나쁘다. 이런걸 떠나서요.
물론 학교마다 임용 심사 절차가 조금씩 다릅니다. 저도 제가 직접 심사에 참여해본 것은 3건 정도이고, 자세하게 들은것도 3건정도 되고요. 이 중에 정성평가가 날카롭게 들어가는 학교도 있고요. 아닌 학교도 분명히 있습니다. "정성평가 = IF 보는 것" 이라고 단순화시킨 학교도 있고요. 그리고 최근들어 국공립 위주로 이런 추세가 있고요. (2021년 대학교원 채용절차 공정성 강화 방안에 따라서)
저는 말하면 고교입시나, 공기업 취업이나 블라인드 반대론자입니다. 상위스펙자보다 중하위 스펙자가 절대다수니 이들의 표를 얻기 위한 전시행정이라고 솔직히 생각합니다. 다만 임용 지원자들도 이러한 사실을 알아야 지원자 입장에서 공평해지는 것이니까 글 썼습니다.
어엌ㅋㅋㅋ mdpi 논문 내려는데 김GPT 4 9 52074
MDPI만으로 교수되기 실제로 가능 김GPT 6 14 2632
mdpi만 있는 교수 김GPT 12 18 6114
MDPI만 쓰시는 박사님들에게 김GPT 98 32 18804
MDPI 관련 질문글 김GPT 1 14 3738-
1 9 18202 -
23 29 4364
mdpi에 대한 인식 김GPT 20 19 7154
근데 mdpi 왜까는거임? 김GPT 9 28 13085-
302 33 82674 -
66 18 19438
우리 교수님 솔직히 너무 좋음 명예의전당 274 46 86724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2.09.06
2022.09.06
대댓글 10개
2022.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