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대학원은 돈을 보고 가는 곳이 아닙니다.

2025.08.11

8

1788

안녕하세요.
지방국립대에서 평범하게 공부하고 있는 박사과정생입니다.
가끔 김박사넷에서 눈팅하는데, 최근 연구실 진학을 고려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제 경험담을 간단히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제 분야는 대기업 취업처는 없지만, 정부기관이나 공공기관 등의 연구분야가 있는 다소 좁은 전문분야입니다.

1. 학부연구생 시절 (4학년)
- 월 50~70만원 (학과 지원금 + 교수님 용돈)
- 밤 늦게 퇴근, 주말 출근 (물론 대부분 놀긴 했지만요)

2. 석사과정
- 1~2학기: 월 100만원 정도
- 3학기부터: 월 150~200만원 (석사 풀펀딩)
단, 과제 기반이라 12~3월은 거의 받지 못함

3. 박사과정(1학기 마침)
- 월급 300만원 이상
- SCI 논문 게재 (1저자, *저희 연구실은 반드시 학생이 1저자, 교수님은 교신저자)
- 전일제 박사장학금 수혜(250만원)
- 지거국 특성상 상대적으로 저렴한 등록금(300만원)

마무리
결국 핵심은 이것입니다. 열심히 하면 돈은 자연스럽게 따라옵니다. 좋은 연구환경에서 본인의 학업에 충실하고 과제에 성실히 참여하다 보면, 교수님의 신뢰도 얻게 되고 자연스럽게 처우도 개선됩니다.
대학원은 투자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당장의 수입보다는 미래의 전문성과 역량을 기르는 곳입니다. 물론 생활비는 중요하지만, 그것만을 기준으로 연구실을 선택한다면 결국 본인도, 연구실도 모두 불행해질 수 있습니다.
진정한 관심과 열정이 있는 분야에서 성실하게 연구하세요. 돈은 실력과 성과를 따라 자연스럽게 오게 되어 있습니다.
예비 대학원생 여러분의 현명한 선택을 응원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08.12

대학원 처우는 아쉽게도 나혼자 열심히한다고 개선되진않습니다
장학금 풀은 학바학 과바과 랩바랩 차이가 심하고

지거국 과는 다른 사립대환경
학생수가 과제수비해 많은 랩실환경
과제비 타먹기 좋지않은 연구주제 풀 등
현실적으로 교수역량에 좌지우지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더 치열하게 고민하고 도전해야하는 것이 박사과정입니다
박사과정나온다고 무조건 돈을 버는 시대도 아니고 기회비용이 들어가는 것이니까요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8.12

[열심히 하면 돈은 자연스럽게 따라옵니다.] 빼고 다 맞는 말이네요.

2025.08.12

저는 돈 없이 끝까지 온 사람(학계)으로써, 공감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일단, 긍정적인 마인드가 매우 좋아보이네요.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