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단순히 남에게 지식을 설명 잘하려고 대학원을 가는거면 애초에 마인드가 잘못된 듯 하네요. 결국 지금 chat gpt에 질문하는 주체는 우리잖아요. 현재 존재하는 지식으론 설명할 수 없는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려고 연구하는 건데요. 글쓴이는 chat gpt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려고 연구합니까? 그런거면 스스로가 연구하기에는 호기심이 많이 부족한거에요.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20 - 맞습니다 people에게 easy하고 happy하게 deliver하는 ability는 human이 더 잘할 수 있습니다.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2 - 다 본인 페이스가 있는거지 뭔 휴식없이 사람이 어떻게 굴러감. 굴러간다고 생각하면 그건 본인 착각임.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42 - 글을 읽을 줄은 아시나요?
대학원 오면 원래 이런건가요?
20 - 초안을 부탁하지말고 드래프트를 쓰고 피드백을 받아야죠 초안 달라는건 연구부정입니다
논문쓸때 챗지피티는 어느정도로 써야할까요?
18 - 저는 팍팍씁니다. AI가 개발되는데 우리가 못쓸 이유가 없습니다.
새 도구가 나왔으면 도구를 잘 쓸 생각을 해야지 왜 못쓰게 해야 하나요
논문쓸때 챗지피티는 어느정도로 써야할까요?
23 - 저년차 학생들은 왜 이렇게 출퇴근 시간에, 그것도 남의 출퇴근 시간에 집착하는지 모르겠네요. 밤늦게까지 일한다고 해서 연구 잘하는거 절대 아니고, 집가서 혼자 공부하는거 일수도 있는데 무슨 근거로 남의 능력을 판단하나요?
저희 연구실 답이 없네요 그냥...
65 - 깔게 출퇴근시간말곤 없나요?
저희 연구실 답이 없네요 그냥...
15 - 하지 마세요. 연구는 조직 문화라 튀는 것 싫어합니다.
회사하고는 달라요
대학원생 염색 많이 안 좋게 보실까요...?
9 - 뭐.. 부모의 교육수준과 자식의 교육수준이 아주 큰 상관관계가 있는거야 명확한 일이니.. 그래도 저는 아닌 케이스도 꽤 많이 압니다.
교수들은 금수저 출신이 많은가
13 - 1. 진짜 금수저는 부모님 사업 물려받는 일하거나 공직하거나 의사판사 하지 않을까요.
2. 오히려 대학부터 공부 열심히 해서 장학금 받고, 석박도 장학금으로 다니고 돈 하나도 안드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 말은 오히려 돈 안들이고 집안의 지위? 를 올릴수 있는게 공부만 죽어라해서 박사따고 교수되는거라고 생각함. 그래서 평범 집안~약간 흙수저 출신도 많더라구요. (특히 박사-교수 테크 많은 KAIST나 -ist 계열은 진짜 학비가 없으니)
3. 보통 부모가 선생이나 교수인 경우가 종종 있더라구요. 교육자 집안, 학자 집안을 이어 가는건데, 보통 부모가 선생님이나 교수라고 금수저인 경우는 드물긴 하죠.
4. 그래도 집에 빚이 있거나 찐 흙수저는 대학원 갈 생각 못하는건 사실. 최소 밥먹고 사는덴 지장없는 집안 출신은 되야 하는듯.
글쓴이가 말하는 경우가 특이한 케이슨거 같은데, 저는 생각보다 주위 교수님들 그냥 평범하게 잘 사는 중산층이 대부분이었음. 솔직히 돈 많은 사람들은 대부분 사업하거나 의사변호사가 돈은 더 많이 벌고 좋은데 삼
교수들은 금수저 출신이 많은가
14 - 여기서 더 무서운 것은 서울대 개 넓은 데도 법적으로 '도로'가 아니라는 거임 ㄷ ㄷ ㄷ 도로교통법상 '도로'가 아님 ㄷ ㄷ ㄷ 사고나면? ㄷ ㄷ ㄷ
서울대가 위험한 이유
10 - 금수저 맞음.
난 아닌데 자수성가인데 라고 하는 교수님 특- 흙이 뭔지 모름. 말할 때 맨날 단, 하지만, but, 이러면서 착한척 하면서 딴소리함. 나르시시스트, 위선자
교수들은 금수저 출신이 많은가
11
슬픈 국내 AI의 현실
2024.04.22

최근에 스탠포드측에서 서베이 논문으로 한국의 파운데이션 모델을 생략했다고 많은 사람들이 들고 일어났죠.
심지어 서베이 논문 저자에게 항의를 했다는 기사가 뜨는 것도 모자라 어제는 저자와 주고받은 메일까지 공개했더군요.
그런데 이게 맞는건가요?
“서베이에서까지 생략될 정도로 파급력이 미미했고, 이를 교훈삼아 더 좋은 연구로 혁신을 이루겠다”라는 자세는 전혀 보이지 않는게 갑갑합니다.
자칭 ‘한국형 AI’를 개발한다는 기사는 매일같이 쏟아져 나오지만 결국 투자금 한탕 노리기일뿐 실질적인 발전이 지난 수년간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챗gpt 이후에 Mistral, Inflection AI, Together AI, Anthropic 등 수많은 신생 기업들이 독자 기술, 오픈소스화, 프레임워크 구축 등으로 엄청난 성장세를 보였지만,
국내 기업들은 공개를 차일피일 미루거나 심지어 10B 넘는 모델 공개가 되더라도 한국인들끼리의 잔치일 뿐, 세계적으로는 관심을 받은 적이 없죠.
네, 그래도 논문 적지 않게 뽑아내죠. 탑티어 AI 컨퍼런스 몇편을 냈다고 홍보하는거 많이 보입니다.
그리고 한국어 평가 벤치마크에서 한국기업들끼리만의 피튀기는 혈투가 매일 기사로 업데이트 되죠.
덕분에 대기업들, 또는 정부에서 투자금도 몇 백, 천억씩 받는거 축하드립니다. 세금이 너무 아깝지만요.
하지만 정말로 한국 AI의 미래를 위해서라면, 지금이라도 홍보 위주의 결과물이 아니라 실질적인 기술을 쌓아야 할 때인 것 같습니다.
LLM 고급 박사 인력에 OpenAI 구글 메타가 600K넘게 주고 있는데, 이런 인력들이 저런 유수 기업들을 뒤로 하고 한국을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은 그나마 세상을 바꾸겠다는 비전이라도 보여줘야 된다고 생각하지만,
현실은 국내 신문사에 정정보도 요청으로 기사를 바꾸겠다는 모습인 것 같아 답답합니다.
-
25 40 10522 -
58 50 27918 -
19 13 3285
AI 분야가 어느 정도냐면... 김GPT 18 17 15686
Ai 미래는 어떨까? 김GPT 3 2 1424
ai 전공은 고민 해보셔야 합니다. 김GPT 12 10 3710-
35 42 5408
옛날 AI/ML 이야기 썰 김GPT 16 8 4824
AI 기술의 성숙도 김GPT 8 19 4032-
207 36 71836 -
98 32 61349
소주가 지껄이는 김박사넷에 대한 감상 명예의전당 84 10 6123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심리학계 재현위기의 근황, 시사점 및 대응방법 (심리학계 재현위기 3편)
171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51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45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69 - 어.떻.게. 해서든 나를 죽이려는 교수
27 - MBTI 와 연구의 상관관계
38 - 대학원에서 연구주제는 원래 내게 가장 바보같나요
21 - nlp 최고 논문은 acl에 안 나옴 ㅋㅋ
17 - 야근하고 주말에 나오는게 내가 성실해서가 아니라
19 - 서울대가 하버드보다 명문인 이유
16 - 서울대가 위험한 이유
16 - 진짜 여름 피크 캠퍼스 바퀴벌레, 곱등이 걱정됨
4 - 워싱턴대가 하버드보다 명문인 이유
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저희 연구실 답이 없네요 그냥...
24 - 대학원생 염색 많이 안 좋게 보실까요...?
18 - 지방에서 대학원다니고 있습니다. 연구실에 노동력 필요하신 분 있으신가요
14 - 교수들은 금수저 출신이 많은가
20 -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에 가고 싶은데 현실적인 조언 부탁드립니다ㅠㅠ
8 - 대학원 석사생 자차
11 - 지금 학부생인데요,돈 많이 벌고 싶으면 대학원 오지말고 바로 취업하라고 하던데
23 - 진학 관련 조언이 절실합니다
8 - 카이스트 면탈?
11 - 저에게 계속 놀아달라고(?) 하는 PI 도망가야하나요
10 - 현 고3 양자 컴퓨팅 대학 정보 도음주세요..
12 - 안녕하세요 질문드립니다
8 - 석사 입학했는데 너무 잘못된 선택을 한것같아 도망치고싶습니다
11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심리학계 재현위기의 근황, 시사점 및 대응방법 (심리학계 재현위기 3편)
171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51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45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69 - 어.떻.게. 해서든 나를 죽이려는 교수
27 - MBTI 와 연구의 상관관계
38 - 대학원에서 연구주제는 원래 내게 가장 바보같나요
21 - nlp 최고 논문은 acl에 안 나옴 ㅋㅋ
17 - 야근하고 주말에 나오는게 내가 성실해서가 아니라
19 - 서울대가 하버드보다 명문인 이유
16 - 서울대가 위험한 이유
16 - 진짜 여름 피크 캠퍼스 바퀴벌레, 곱등이 걱정됨
4 - 워싱턴대가 하버드보다 명문인 이유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석사 나 다박 가능할까요
16 - SNU vs 미국 TOP20-30 direct PhD
13 - 저희 연구실 답이 없네요 그냥...
24 - 대학원생 염색 많이 안 좋게 보실까요...?
18 - 지방에서 대학원다니고 있습니다. 연구실에 노동력 필요하신 분 있으신가요
14 - 교수들은 금수저 출신이 많은가
20 - 대학원 석사생 자차
11 - 지금 학부생인데요,돈 많이 벌고 싶으면 대학원 오지말고 바로 취업하라고 하던데
23 - 카이스트 면탈?
11 - 저에게 계속 놀아달라고(?) 하는 PI 도망가야하나요
10 - 현 고3 양자 컴퓨팅 대학 정보 도음주세요..
12 - 안녕하세요 질문드립니다
8 - 석사 입학했는데 너무 잘못된 선택을 한것같아 도망치고싶습니다
11
2024.04.22
대댓글 3개
2024.04.22
2024.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