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슬픈 국내 AI의 현실

IF : 1

2024.04.22

39

46784

요즘 한국 AI 사업들을 보면 답답하기만 합니다.

최근에 스탠포드측에서 서베이 논문으로 한국의 파운데이션 모델을 생략했다고 많은 사람들이 들고 일어났죠.

심지어 서베이 논문 저자에게 항의를 했다는 기사가 뜨는 것도 모자라 어제는 저자와 주고받은 메일까지 공개했더군요.

그런데 이게 맞는건가요?

“서베이에서까지 생략될 정도로 파급력이 미미했고, 이를 교훈삼아 더 좋은 연구로 혁신을 이루겠다”라는 자세는 전혀 보이지 않는게 갑갑합니다.

자칭 ‘한국형 AI’를 개발한다는 기사는 매일같이 쏟아져 나오지만 결국 투자금 한탕 노리기일뿐 실질적인 발전이 지난 수년간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챗gpt 이후에 Mistral, Inflection AI, Together AI, Anthropic 등 수많은 신생 기업들이 독자 기술, 오픈소스화, 프레임워크 구축 등으로 엄청난 성장세를 보였지만,

국내 기업들은 공개를 차일피일 미루거나 심지어 10B 넘는 모델 공개가 되더라도 한국인들끼리의 잔치일 뿐, 세계적으로는 관심을 받은 적이 없죠.

네, 그래도 논문 적지 않게 뽑아내죠. 탑티어 AI 컨퍼런스 몇편을 냈다고 홍보하는거 많이 보입니다.

그리고 한국어 평가 벤치마크에서 한국기업들끼리만의 피튀기는 혈투가 매일 기사로 업데이트 되죠.

덕분에 대기업들, 또는 정부에서 투자금도 몇 백, 천억씩 받는거 축하드립니다. 세금이 너무 아깝지만요.

하지만 정말로 한국 AI의 미래를 위해서라면, 지금이라도 홍보 위주의 결과물이 아니라 실질적인 기술을 쌓아야 할 때인 것 같습니다.

LLM 고급 박사 인력에 OpenAI 구글 메타가 600K넘게 주고 있는데, 이런 인력들이 저런 유수 기업들을 뒤로 하고 한국을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은 그나마 세상을 바꾸겠다는 비전이라도 보여줘야 된다고 생각하지만,
현실은 국내 신문사에 정정보도 요청으로 기사를 바꾸겠다는 모습인 것 같아 답답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9개

2024.04.22

어쩌겠습니까 그게 K-AI 인걸... ㅠ

대댓글 4개

2024.04.22

전에 Kaist AI가 세계 대학중 4위라나 누가 김학사넷에서 그러면서 한국에서 바이오하는 사람들은 죄다 바보취급하고 AI하는 사람들은 죄다 똑똑하다하더니 현실은 AI든 바이오든 미국에는 확실히 떨어지는게 맞는듯 하네요.

2025.02.07

안녕하세요 국내 AI 대학원생 처우/인프라 관련해서 취재하고 있는 기자입니다.
어떤 고충이 있는지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은데요 의향 있으시면 hyunki1029@naver.com으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2025.03.15

기자님~고충 없습니다. 실력에 비해 과도한 대우를 받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말씀드리자면...중국 축구 국가대표 같은 상황이라고 하면 확 와 닫으실겁니다.

2025.06.19

발로 취재좀 해라
갑자기 끼어드는 기자
개짜증

2024.04.22

미국과 남사벽의 차이가 있죠. 사실 그런데 전지구상에서 미국 서부만 기업들도 ai연구로 잘 나가고 기업 가치도 높고 연구원들의 연봉도 높고 나머진 한국일본유럽 다 마찬가지여서 더 좋으면 좋지만 어쩔 수 없는 것이 현실 같습니다. 미국 빅 테크에 취업하거나 해야죠 ㅠㅠ

2024.04.22

뉴스 듣고 경악했음;;; 반성이 아니라 가서 우리 잘났다고 따지고 있으니....

2024.04.22

우리나라 대학원 수준에서 AI 연구는 정말 잘하고 있고 중요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거대모델 연구를 할 인프라가 부족하고, 그래서 학생들도 의미있는 거대모델 관련 연구는 해외인턴쉽을 통해 경험해야하는 상태입니다.

지금 연구하고 있는 학생들이 나중에 한국에 다시 들어올 이유를 만들어주면 좋겠네요.

대댓글 1개

2024.11.13

솔직히 인프라가 문제죠. 엔비디아에서 생산하는 인공지능 칩 하나당 단가가 6천만원부터 시작하는데 국내 대기업이나 대학에서는 이걸 수만대씩 사들일만한 자금력이 없습니다.
인공지능 연구는 결국 자본싸움입니다.
수학이나 이론물리처럼 개개인의 머리가 똑똑한걸로는 한계가 있어요.

김박사넷에 자연과학 연구하시는분들도 많아서 그런지 AI연구에 인재들이 없어서 발전이 안된다 생각하는분들도 많이 계시는데, 결국 가장 큰 문제는 자본입니다. AI 연구는 자연과학처럼 소수의 천재들만으로는 발전이 불가능해요.

2024.04.22

인력풀이 그정도인데 어쩌겠습니까. 그럼 국내기업에서 실리콘밸리에 있는 연봉 10억 이상받는 ai 연구원들을 데려와서 인력풀의 수준을 끌어올릴수 있나요. 아님 국내대학원에서 전세계 인재들이 몰려드는 미국 주요 대학원 수준의 인재들을 데려올수 있나요? 안되는건 안되는겁니다

대댓글 3개

2024.04.22

AI만 아니라 국내 모든 분야가 다 이렇습니다. 세계적으로 최고수준의 연구는 아주아주 가끔 나오고 아직 미국의 주요대학에 비할바 못됩니다. 인재의 수준이나 대학예산 부분에서 n분의 1 수준인데 애초에 그들만큼 하는걸 기대하기가 어려운겁니다.

2024.04.22

이런분들 보면 한국형 우물안 개구라인게 딱 느껴지네요. 세상이 미국과 한국만 있나요? 한국보다 인구도 적고 인력풀 떨어지는 싱가폴, 아랍에미레이트, 대만, 스위스, 스웨덴의 파운데이션 모델이 올라갔는데요?

2024.04.23

싱가폴, 아랍에미레이트, 대만, 스위스, 스웨덴, 한국 모두 도토리 키재기일 뿐이죠.

2024.04.22

라마 7B도 겨우 돌리는데 어떻게 파운데이션 모델 연구를 하나요 ㅠㅠ 서베이 페이퍼가 잘 판단했네요. 리소스도 제대로 없는 상태서 만든 파운데이션 모델들이 뭐 큰 파급력이라도 있겠습니까.
튼튼한 찰스 배비지*

2024.04.22

AI대학원 신격화하더니 ㅋㅋ

2024.04.22

한국에 장인이 없을 수 밖에 없는 이유인듯함
뭐 하나 괜찮다하면 우후죽순 기술없이 달려들고있으니 원... 지난주에 오랜만에 학교 찾아갔다가 랩 소개 포스터 보니 재료과인데 ai안하는 곳이 없더라구요.

대댓글 2개

2024.04.22

그건 좀 다른듯. ai는 받아들여야 할 기술임. 과거엔 코딩이 컴퓨터 관련된 과만 쓰는 기술이었다면, 이젠 코딩 안하는 연구실에 없는 것과 비슷함. 지금 당장 랩의 모든 인원이 ai를 다룰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랩당 한명정도는 알아두고 랩 연구분야에 적용해보는 시도정도는 해볼만 하다고 봄.

2024.04.30

내 말은 실험하던 랩이 자기의 색깔을 버리고 다들 ai에 전념하게 바꿔놨단게 문제란거지

2024.04.22

이것만 아니죠..혁신생태계가 국내OK목장의 투자받기 혈투지요. 이해는 되지만 도전적인 과제가 더욱 설 자리가 없어 지는게 문제죠

2024.04.22

연구비 체급이 다른데, 요즘엔 더 줄어들었으니 힘들죠

대댓글 1개

2024.04.25

ㄹㅇ인 돈 먹는 하마마냥 GPU 요구량이 계속 늘어나는데, GPU가격은 계속 오르고 연구비는 줄어들고...

2024.04.22

빅테크랑 비교하면 어쩔 수 없이 많이 뒤쳐져 있죠. 투입하는 자본의 규모가 다르니까요. 그리고 탑티어 컨퍼런스 논문 n편은 나름대로 열심히 하고 있다는걸 홍보하고 싶어서 하는 것일 거에요

2024.04.22

본인은?

2024.04.22

한국사람이 못하는게 아니라 잘하는사람은 한국에 남지 않는다는게 문제 아닐까요?

2024.04.22

문외한이라 조심스럽지만, LLM이 언어기반이 외국어 기반의 LLM을 한국어로 사용하려면 더 많은 리소스와 비용이 들어간다고 알고 있는데요. 실질적인 AI개발 진척이 유의미하지 않다는 현실이 암담하게 느껴지네요. 그리고 그것을 부정하려는 태도는 더더욱 암담하고요.

2024.04.22

하정우 같은 애들이 책임자를 하고 있으니

대댓글 1개

2024.04.23

왜요??

2024.04.23

퍼블리시 된 서베이에 자기 모델이 없다고 항의를 해요? ㅋㅋㅋㅋㅋ 대박이네 ㅋㅋㅋㅋ

2024.04.23

미국이 넘사인것뿐

2024.04.23

1. 무슨 대단한 서베이라고 거기 못 뽑혔다고 분할 필요도 없고, 무슨 우리들끼리 잔치라느니 할 필요도 없음.

2. 지금 국내 AI 산업 리딩하는 회사들의 전략을 개인적으로 좋아하진 않지만, 그럼에도 전체 산업 분위기를 띄울 사람들은 필요함. Fast follower 전략이라도 전체 파이를 지키고 키울려는 노력이 중요하고, 그런 관점에서는 체급 대비, 투자금 대비 우리나라 회사들도 잘하고 있음. 하지만 너무 본인들이 어느 정도 따라가고 있는 것 자체에도 너무 도취되어서 자뻑에 빠져있다고 해야하나 좀 그런 부분은 있음. 갠적으로 존나 싫음.

3. 근데 외국 회사라고 뭐 다른 거 아님. 홍보 존나 하고, 주가 관리 하려고 주딩이 개털고 다님. 샘 알트만이라고 다를 것 같음? 그리고 외국 회사들이라고 무슨 fast follower 안하고 전혀 새로운 거 해야지 하는 회사 별로 없음. 뜯어보면 근본적으로 다른 거 별로 없고 체급, 규모에 따라 그냥 많이 주목 받고 덜 받고 할 뿐임. 이 판에서 underdog이 쩔었던 적이 있나? 2010년 초중반부터 계속 봐왔지만 별로 못 봤음.

4. 연구자 관점에서 그런 서베이에 메일 보내는 건 뻘짓임. 그냥 무시해도 될 일임. 근데 그런 리스트 가지고 쓰잘데기 없이 뉴스 쓰는 언론들이 있잖아? 그런 애들 때문에 어느 정도 대응은 필요함.

5. 아 물론 그렇다고 메일 공개하는 건 잘하는 짓은 아님ㅋㅋ

2024.04.23

꼰대들이 컴터를 이해못함 그것도 그거지만 신입들어온 ai개발자한테 컴퓨터 고치고 콘센트 봐달라고 하는데 할말다함

2024.04.25

맞는말이기는 한데, 그냥 AI 연구가 돈을 너무 많이 잡아먹는다는 점이 크죠. 당장 미국 대학들도 머신러닝 연구초기에 비해서 기업이랑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는데, 그보다 훨씬 가난한 한국에서 연구를 하려니 당장 인프라적인 부분에서도 부족함이 느껴지네요.

대댓글 1개

2024.12.17

그냥 AI연구는 대학이 아니라 네이버, 카카오같은 기업체위주로 투자해야됩니디. 돈이 너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대학연구실에서 할수가 없어요.

2024.04.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기 다른 글에서처럼 CVPR 포스터 갯수 세고 있는게 게 우리 AI 현실이죠

2024.10.09

한국형 ai는 무슨 그래봐야 미국이 개발한 텐서플로, 파이토치 조합하고 허깅페이스 트랜스포머 쓰는건데. 한국독자적인 알고리즘 있나? 솔직히 없잖어. 라마로 튜닝한거아닌가? 국내 교수에게 배울게 아니라 미국 빅테크 엔지니어에게 배우는게 나을지도

2024.12.17

한국은 AI가 아니라 반도체같은 하드웨어 위주로 굴려야됩니다. 그리고 AI연구는 대학이 아니라 네이버, 카카오같은 기업체위주로 투자해야됩니디. 돈이 너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대학연구실에서 할수가 없습니다.

2025.02.17

그냥 까놓고 말해서,,,

1. 기업이 돈이 없고 AI는 회수가 오래걸리는 사업 (회수가 될지도 모르는 사업) > 인적/인프라 투자 안함,,
2. ~20/21까지 졸업한 젊은 박사들이 기업가서 AI제품은 제대로 안만들고 자기들 입맛에 맞는 한국형 연구하고 논문씀 > 논문못쓰게 하면 못쓰게한다고 찡찡 > 그리고 이렇게 만든 실적들을 바탕으로 교수 임용한다고 튐
(이름 나열할 수 있을 정도로 너무 많음;; 개인적으로 18/19부터 연구 시작하는 학부학생들 입장에서 최대 적폐라고 생각)
3. 임원진들이 자기들 연임에 따라 사업부 개편
4. 1.&2.&3.의 환상의 콜라보지

대댓글 1개

2025.02.20

ㄹㅇ 앞길 다막음
Ai 돈만잡아먹고 돈못번다고.
씹새들이 지들은 ai 초창기에 ai이기만하면 여기저기서 불러주는 1세대 였으면 후배들 생각해서 좀 적당히 해야지 ...

2025.03.18

한국 인공지능 현실이 이 정도면 미국 중국을 제외한 모든나라들은 연구는 전무후무한 수준. 아예 진행도 못함. 그나마 기술력 좋은 기업가들 미국으로 탈출함. 미스트랄은 원래 프랑스 회사라던데. 그 아래는 한국인데 그나마 조금 선전하는거임. 애국자들이여서 미국으로 안감. 그것만으로도 감사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