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는 일부 코어 ai 연구를 제외하면 툴 그 이상이 아님.
언젠가는 표준 기술이 등장하기 마련이고, 현재 AI에서 numpy, cuda toolkit 가져다 쓰듯이 다른 도메인의 전문가가 AI를 툴로 활용하는 날이 올거임. ai 진입장벽은 pytorch, tensorflow로 대표되는 머신러닝 프레임워크의 발달로 그다지 높지가 않고 OPENAI, 성킴 CEO의 업스테이지등의 기업은 이미 AI 트레이닝 플랫폼 구축을 하고 있음.
고도화가 일정 수준 이상 진행되면 기술 연구에 대한 수요는 줄어들기 마련이고, 제품 개발, 유지보수, 솔루션 제공 등에 서비스 대한 수요가 높아지게 됨. AI는 사업을 기업이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의 연구개발이 완료되면 수요가 줄어들어서 연구직 개수가 그에 맞춰 줄어들게 되어있음. FANG으로 대표되는 IT기업의 AI researcher 자리 뿐만 아니라 학계도 인더스트리의 영향을 받아 지금만큼의 예산 편성과 인원을 뽑아주지 않을것임.
도메인 분야를 가지고 AI를 하는 건 괜찮을 지 몰라도 아무 도메인 없이 AI 어플리케이션 연구만 하겠다는 건 피터지는 경쟁 후에 살아남은 한두명만 혜택을 보는 것이고, 개인으로 구글/페이스북/OPENAI의 AI툴과 경쟁하겠다는 의미일 수 있으니 방향 설정을 신중하게 해야함.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1개
2021.08.06
딥러닝 툴로 된다고 하시는데 툴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지금 컴퓨팅 성능상... 기업적으로 더 높은 성능의 모델을 얻고자 할텐데 open ai에서 제공하는 툴로는 아직 갈길이 멀다고 봅니다
대댓글 2개
칠칠맞은 프랜시스 베이컨작성자*
2021.08.06
pytorch, tensorflow도 딥러닝 툴인데요.. cuda toolkit으로 nvidia gpu 직접 병렬처리해서 C++로 머신러닝 하시나요?
애초에 ai 연구자가 아니라 연관분야 연구자네 그럼. 옆동네 와서 시비걸지 말고 할일이나 해
그리고 그 저널 tmech가 아니라 액세스인 거 잘 알고 있음.
칠칠맞은 프랜시스 베이컨작성자*
2021.08.06
저희 랩은 액세스 못쓰게 합니다. 본인 학교 실적 익명으로도 뭐 하나 밝히지 못하면서 남 평가만 하시네요. 남의 실적을 논문 한글자도 못보고 까내리는것도 참 웃긴 일입니다. CV 아니면 다 머신러닝 인접분야인가요? 저희 랩은 CV도 하는데다가 저도 CV 공저자 논문이 있는데요.
본문 내용도 여러 교수님들 의견을 종합해서 내린 결론인데 남을 참 쉽게 까내리시네요.
칠칠맞은 프랜시스 베이컨작성자*
2021.08.06
당신같은 사람 때문에 CV 레드오션 얘기가 나오는 겁니다. 실적은 안되면서 시장 분위기에 편승해서 꿀만 빨려고 하거든요.
2021.08.06
저도 로봇분야지만 TMECH이 좋은저널이긴 하지만 언급한 저널/학회랑 비교할정도는 아닌듯.. 차라리 러닝쪽이면 Nature Machine Intelligence 쪽이 나을수도.. TRO나 Science Robotics도 러닝쪽곁들인것들도 좀 나오긴한데 둘다 분야에서는 탑저널이죠.
IF : 1
2021.08.06
에휴 말을 맙시다 ㅋㅋㅋ 뭔 교수님들의 의견을 종합하기는 종합해. 진짜 서울대생 맞아요? 탑 티어를 제창하면서 국내 학회 몇 편이라는 소리 나온거 부터가 밑천 드러내셨어요.
씩씩한 박경리*
2021.08.06
참고로 저는 탑컨퍼 3개째 결과 기다리고 있는데, 절대로 AI가 지금의 열풍처럼 계속 핫할 거라고도 생각 안하고 언젠가 거품 꺼질거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근데 3개 정도 실적이면 저기서 말하는 플랫폼 기업에 가서 직접 플랫폼을 만드는 역할을 하는 핵심적인 일에 진입할 수 있는 보더라인은 뚫었다고 보는 편이더라고요.
근데 어차피 application 쪽으로 완전히 빠지는 박사들은 첨단에서는 떨어져나왔다고 보는 것이 맞고, 일반적으로 연구 계속 한다는 의미는 알고리즘 개발을 항상 포함하죠.
2021.08.06
와 이거 뭐 최소한 nips iclr icml 이정도는 나올줄알았는데, 뭐죠이거 갑자기 연고전에서 존나 싸우던사람들 말려놓고보니 원세대 조려대였다는 소리가 생각나네요.
2021.08.06
그와중에 아예 밝히지도 못하는분은 뭐 언급된거보다 더 후달리는듯 ㅋㅋㅋ
씩씩한 박경리*
2021.08.06
저는 강화학습이라길래 코어AI 아니라도 IROS ICRA일 줄 알았습니다.
씩씩한 박경리*
2021.08.06
그나마도 탑티어라 봐주기 힘들긴 한데 어쨌든.. 탑컨퍼 썼으면 그냥 해외 학회라고 안하거든요.
2021.08.06
IROS ICRA 솔직히 워크샵급인 컨퍼런스들인데... 근데 님들은 왜 안까시죠?
씩씩한 박경리*
2021.08.06
탑컨퍼 흔히말하는 iclr neurips icml 얘넨데 2개 쓰고 3개째 이번에 리뷰 나와서 리버털 중이라고 위에 말씀드렸는데요.
씩씩한 박경리*
2021.08.06
이걸 익명사이트에서 깐다고 뭔 신빙성이 있는지도 모르겠고 님같은 사람이 까라고 해서 까야 되는지도 모르겠는데, 적어도 국내학회 내는 게 시간 아까운 수준은 됩니다. venue 4달 기한 맞추기도 빡세요.
씩씩한 박경리*
2021.08.06
아 위에 보니까 그래서 님들은 논문있냐고 하던 사람이네요. 있는데 어쩔래요?
2021.08.07
있으면 인정이라구요 ㅋㅋㅋ 근데 미리 말을 하지 나중에 말하는건 본일 말마따가 간보다가 까는거라 신빙성은 별로 없네요.
씩씩한 박경리*
2021.08.07
있으면 인정은 무슨, 제가 여기서 있다고 하든 없다고 하든 그 말에 무슨 신빙성이 있다고. 근데 적어도 국내학회를 자랑스럽게 들먹이는 수준은 아니다 이거고, 님 같은 사람 인정 받는 거 하나도 의미 없으니까 그만 가세요.
국내학회를 언급했다는 거는 "나는 굇수랩에 있다" 아니면 "나는 국내학회 쓸만큼 시간이 남아돌고 아이디어가 빈곤한 사람이다" 둘 중 하난데 후자 같거든요. 국내학회 쓰는 걸 왜 교수들이 싫어하는지 알기는 아는 건가?
2021.08.07
본인 말마따나 하등 쓸모없는데, 그런 이야기를 하고싶었으면, 나는 뭐 어떤 사람인데, 이건안좋은거같다 이러지 그래서 논문 몇개냐고 대뜸묻는게 싸가지 없어서 그랬습니다.
전 테뉴어 심사 곧 지나가는 교순데 참, 학생이라 뭐 본인이 오지게 잘하는 줄 아는거 같은데, 주위좀 둘러보고 눈치도 좀 보고 사세요.
2021.08.07
그리고 솔직히 말해 그랩 사정은 아무도 모릅니다. 그런 괴수랩 교수 옹호할 생각은 없는데, 혹시라도 학계에 남을거면, 그런 괴수랩 교수들이, 교수들 사이에서도 괴수라서 잘못찍히면 좆되니, 조심하세요.
2021.08.07
ㅋㅋ 로봇분야면 엄청 실적이 좋은건아니지만, 평균이상정도는 되는 실적일텐데 굳이 여기서 "너"등의 반말하시고 분야 전문가인것처럼 말하셔서 가루처럼 까이네요 ㅋㅋ 국내학회 말한것도 사실 굳이 언급할필요가 없는데 괜히 말해서 무시만 당하네요. 국내학회는 KROS이런곳일것같은데, 사실 국내학회는 교수가 체어맨이라서 써야될때만쓰고, 풀페이퍼라해도 굳이 실적에 언급하진 않죠. 하지만 저도 해외포닥지원할때 CV에는 국내학회 best paper award이런것도 쓰긴했네요.
그 외에도 국외학회는 IROS/ICRA일것 같은데, 충분히 좋은학회고 웬만한 저널들보다 accept률도 낮지만, 컴싸쪽의 메이저 학회랑은 비교하려면 로봇분야 메이저 저널이랑 비교하는게 맞는것같아요.
혹시 TMECH이 아닌, TRO에 publish한거면 웬만한 사람들한테 꿀릴 실적은 아닐텐데 안타깝네요. 저도 컴싸쪽 메이저 컨퍼런스가 어느정도인지 모르지만, TRO는 박사과정때 쓴거면 정말 잘한거에요. 많은사람이 IF 같은것만 보겠지만, 개인적으로 Sci. Robotics보다 좋은저널이라고 봅니다. 제가 Sci. Robotics에는 냈는데 TRO 좋은아이템있으면 써보려고 해서 그렇게 느낀것일수도. 여튼 서로 다른분야끼리 실적비교하는게 어려울뿐더러, 여기에서 허언증있을수도 있는데 너무 실적으로 남 까지는 맙시다. 안타깝네요.
2021.08.06
저도 AI 쪽으로 진학 예정인데, 그래서 우리 같은 학생에게 말하고자 하는게 뭔지 모르겠어요.. 당연히 AI를 연구하고 나면, 구글 같은 AI 툴에 투자를 많이하는 몇 안되는 큰 기업이나 특정 도메인을 가진 회사에서 AI를 응용하는 기업에서 그에 맞게 연구하지 않나요? 왜 포인트를 못잡겠지?
대댓글 1개
2021.08.06
ai 코어를 하거나, ai 를 적용하는 도메인의 고수가 되라는 말입니다. 둘다안되는 어정쩡한 포지션이면 망한다는 소리입니다.
2021.08.06
대댓글 2개
2021.08.06
2021.08.06
2021.08.06
대댓글 1개
2021.08.06
2021.08.06
대댓글 28개
2021.08.06
2021.08.06
2021.08.06
2021.08.06
2021.08.06
2021.08.06
2021.08.06
2021.08.06
2021.08.06
2021.08.06
2021.08.06
2021.08.06
2021.08.06
2021.08.06
2021.08.06
2021.08.06
2021.08.06
2021.08.06
2021.08.06
2021.08.06
2021.08.06
2021.08.06
2021.08.06
2021.08.07
2021.08.07
2021.08.07
2021.08.07
2021.08.07
2021.08.06
대댓글 1개
2021.08.06
2021.08.06
대댓글 1개
2021.08.07
2021.08.21
2024.01.17
2025.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