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은 모르지만 단순히 미국 중국을 능가하는 자국 LLM 가지겠다 이런 의미는 아닌 것 같던데요. 자국 데이터쪽과 산업에 AI 이식에도 의미 두고 이야기 하던 것 같던데 문제점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해 주세요.
대댓글 2개
2025.07.14
이분도 자기 도메인ai 말고는 잘 모르니까 이런 애매한 글을 쓰신거죠 ㅋㅋ
2025.07.14
그러니깐 짧게라도 설명 좀?
2025.07.14
설계도 다 나와있다 -> 이거 사실이 아니에요. 그럼 메타가 왜 라마4 죽쓰고 있겠습니까 ㅋㅋㅋ
LLM이 요즘은 AI분야의 원천기술인데 이거부터 시작해야죠.
대댓글 3개
2025.07.14
최상위 경쟁은 그렇죠. 3년지난 구형 모델은 이미 소스코드 다풀림
2025.07.14
철지난 모델 만들어놓고 k LLM 홍보하며 돈빨거 생각하면 앞날이 어두움. 그게 업계 기술력 수준 높이는거도 아니라서
2025.07.14
철지난 모델 만들고 돈빨아 갈 생각이라고요? 그 업체 고발해야 하는 거 아님? 청원이라도 해 보세요.
2025.07.14
근데 LLM 이 미래 기술 경쟁에 엄청난 역할을 할 것은 당연한 거고, 거기에 한국어 파이를 조금이라도 넓혀야 한다는 것도 맞는거같은데요. 그리고 '외부로 데이터가 빠져나가지 않는다는 보장이 있는 확실한 LLM' 의 필요성도 명확한 거 같고. 요즘 그냥 변수늘려서 무식하게 큰 LLM 만들기 보다 최소비용 최대효율을 내는 task specific LLM의 중요성도 대두되는 거 같고. 나랏돈이 눈먼돈같아 보이기는 하는데 막상 또 열심히 하는 사람들은 또 열심히 합니다. 아직 시작도 안했는데 벌써부터 돈주면 적당히 소스 풀린 GPT 버전 리팩토링 하는 시늉 하면서 허송세월 하다가 돈 떨어지면 나몰라라 하겠지 라는건 너무 억까같아요
대댓글 2개
2025.07.14
그 정도 비벼볼 기술 수준 역량 됐으면 이미 네이버나 카카오 삼성 SK 가 채갔겠죠. 특정 서비스에 예산 투자할게 아니라 인프라나 환경에 돈을 써야 다음 서비스 경쟁에서 해볼만한거에요
2025.07.14
뭐.. 자세히 돈을 어떻게 쓸지 아직 결정한것도 아니지 않나요? 설마하니 정부가 진짜 사람 고용해서 서비스 런칭할 생각도 아닐거고 회사/연구소/대학 에 연구비 대량으로 푸는 식이 되고 그거 관리감독하는 헤드쿼터 굴리는 정도일텐데 그정도면 나름 인프라나 환경에 투자하는거 아닐까요
2025.07.15
저는 다른 분야에서 박사과정중인데, 이 분야도 기업+정출연이 거의 외국 기업 제품 국산화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게 항상 안타깝습니다..
2025.07.13
2025.07.13
대댓글 2개
2025.07.14
2025.07.14
2025.07.14
대댓글 3개
2025.07.14
2025.07.14
2025.07.14
2025.07.14
대댓글 2개
2025.07.14
2025.07.14
2025.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