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먼저 MIT는 꿈 깨시고요, 미국에서 님의 관심사에 맞는 연구실이 MIT 밖에 없다는 것은 말이 안되는 소리입니다. 그냥 님이 덜 찾아본거에요.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22 - 위에 사람들 말 너무 믿지는 마셈. 자기가 못갔다고해서 남들도 못가는건 아닌데 일단 무조건 안됀다는 사람이 많은거같아요 ㅋㅋㅋㅋ
일단 장기적으로 보면 충분히 가능하고 설계를 잘하셔야되요. 분야가 데싸면 박사진학시 연구실적이랑 추천서가 가장 중요할건데 (인더스트리 경력은 플러스, 요즘은 긍정적으로 많이 봐요) 그걸 최고로 뽑아낼수있는 석사를 가시는게 가장 중요해요. 탑티어 논문은 머스트고요. 미국 석사는 생각해보셨나요?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3 - 헉.. 아직 본인과 경쟁자들이 객관화 안되신것같네요.. 경쟁자들은 MIT, stanford, caltech, … 미국 최우수 대학 관련학과 출신 + 연구경험 다수. 그중 못뽑힌 사람들이 석사까지 관련학과에서 하고 다시 지원. 해외 탑 대학 괴물같은 지원자들 (skp, 칭화대, 동경대, IIT, 취리히공대…) 과 경쟁해야합니다.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3 - 낙관적으로 말씀하신 교수님들이 악질이시네요 ㅋㅋㅋㅋㅋ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5 - 미박중인데 뭐든지 할라면 다 합니다. 시도해보는데에 왜 조소가 섞이는지 모르겠네요.
물론 연구실이 많은것도 있고 현재상황애 고민도 되겠지만, 짧게나마 말씀드리면 카이스트든 방통대느 미국에서 추천서 보는 입장에선 별 차이 없습니다. 추천서는 기관이름이 아니라 그 추천하는 개인을 보고 평가하는거라서요. 미국내에선 비슷한 분야들끼리 추천하면 서로서로 대충 알고 하겠지만, 웬만한 대가 아니면 한국에 계신분들의 추천서를 받아가도 미국에선 베이징대나 IIT의 아무개와 비슷하게 볼겁니다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3 - 이런글쓰면 이제 교수들 몰려와서 은혜를모르니 정신력이어쩌니 돈벌려고대학원왔느니 댓글담
지도교수님을 존경하는 분들이 부럽습니다.
34 - 석사로 그 정도면.. 평소에도 많이 스트레스 주셨는지 잘 생각해보세요. 보통 석사 졸업은 박사 졸업의 1/10 정도 스트레스입니다(물론 겪어보면 바쁘고 정말 힘듭니다 석사졸업도). 그래도 이별까지 고할정도면.. 남자친구분이 석사 이후 박사를 생각해서 이렇게 더이상 4~5년이나 더 지속할 수 없거나, 아니면 글쓴이 분에 대해 오래전부터 쌓여있던게 있었거나 둘 중 하나일 것 같은데요.
보통은 졸업 시즌이면 몇 달만 있으면 끝나는데, 안그래도 바쁘고 힘든데 이별까지 굳이 직접 하지 않죠 잘.. 보통 참고 졸업하자는 생각이 더 들꺼 같거든요..
석사 과정 남자친구와의 이별
10 - 저는 그리고 제 주변은 오히려 다르게 느낀것같습니다. 저는 카이스트 인기랩졸업했고 나와보니 탑스쿨(제 경우 t3)에 있어도 어차피 학생들이나 주변수준은 한국이나 고만고만합니다. 한국에서도 어차피 상향평준화 돼있다보니 눈에띄게 잘하는 사람을 찾기가 어렵잖아요.
여기도 매한가지고, 그냥 중국인들중 진짜 성실한 애들은 대단할정도로 열심히하네 수준이고 아주간혹 학부인턴들중 눈에띄는 친구들이 보이는것 같습니다. 한국에서 지도교수가 무능하다고 하셨는데 (진짜로 그럴수도있겠지만), 저는 예전 지도교수님도 매우 뛰어난 분이였다고 생각하기에 큰차이를 모르겠습니다.. 지금 교수는 오히려 저나 다른 포닥 (우리랩은 저포함 포닥이 두명)한테 학생들 풀로 맡겨서 알아서 잘하겟지 정도로 굴리고있고요.
미국에서 특히 대형랩/대가랩은 지도교수 얼굴보기도 힘들고 지도교수가 학생들 뭐하는지 모르는곳들도 상당히 많죠. 지금 겪으신 상황은 모르지만, 뭔가 한국은 못하고 반대로 미국은 너무 뛰어나다! 라는말을 하시는것같은데 제 경험에서는 달라서 공유해봅니다. 원래 저나 글쓴이분처럼 아예 서로다른 경험들을 공유하면 다른사람들이 일반화를 안할수도 잇겟고요~
미국 포닥... 서당개도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더만..
17 - 저 서류 합격했습니다! 오후 5시에 발표했습니다!
대통령과학장학금 (대장금)
10 - 여경, 여군, 여교사 등 다양한 표현이 있지만 어디가서 여교수, 여연구원은 못들어봤습니다.
여자라는 성별보다 연구라는 성과물이 더 중요하겠죠.
제가 존경하는 연구원중에 한분인 박은정 교수님은 40대에 박사학위 받으셨습니다.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14 - 여자라고 하도 안뽑아서 일정 비율은 뽑으라고 안전장치를 만들어둔건데, 이걸 여성이어서 가지는 가점이라고 생각하네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30 - 공정하게 경쟁이 안되니까 비율을 할당한게 맞으니 가점이 맞는데?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12 - 뭔..... 할당이라도 안하면 실력있어도 남자보다 안뽑아주니까 그렇지....; 불공정한 경쟁을 할당으로 공정하게 맞추는거라고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20
인공지능은 진짜 슬슬 인력 과공급 오는것같음
2024.12.09

이미 삼성 skt 현대차 네이버 카카오 등등 주요기업에서 ai개발하기 위한 인력 수는 대부분 갖췄고 지금 채용하는 자리 수는 극소수 일부 인원만 더 채우거나 대부분은 그조차도 안하고 걸어잠그는 중임. 채용 포지션은 예전보다 확 줄어든 반면 AI인력 공급은 옛날보다 훨씬 늘어난 상황
업계 상황도 안좋음. 삼성에서도 종기원 AI센터 없애고 사업부로 보내고 SR등등이랑 포함해서 구조조정 하는거 아니냔 얘기 나오고 NC소프트도 옛날부터 ai 연구조직이 꾸준히 1티어 페이퍼 쓰면서 멀쩡히 돌아가던 기관이었는데 칼바람 맞을 준비중이고. 기업 경영상황 안좋아지면 AI같이 당장 수익사업으로 이어지지 않는 선행연구조직이 먼저 칼맞는건 사실 당연하기도 하고
지금시점으로는 LLM빼고는 뭔가, AI 인력 수보다 채용진행하는 포지션이 훨씬적어서 차라리 개발로 시작했으면 네이버 갈 수 있었을거 AI채용이면 다른 훨씬 뛰어난 사람이 지천에 깔려있어서 더 경쟁이 빡센 상황 아닌가 생각함
네이버 카카오급 기업에서 ai포지션 한자리 공고 뜨면 블라인드에서 삼성전자 skt 네이버 라인 막 오만회사 직원들이 그 공고 얘기하고 서로 이직할라고 지원넣고 걍 난리났음아주
슬픈 국내 AI의 현실 김GPT 123 38 36997-
58 50 27502 -
120 32 13340
ai 전공은 고민 해보셔야 합니다. 김GPT 12 10 3513-
19 13 3129 -
43 15 18319 -
7 22 3185 -
16 13 3108
한국 ai 세계 순위 김GPT 6 15 5107-
126 19 19566 -
377 70 48101 -
263 25 29638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97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115 - 등록금 내고서 대학원 다니는거
14 - 노력이란 무엇일까?
36 - 지도교수님을 존경하는 분들이 부럽습니다.
17 - 논문이 계속 떨어진다~
27 - 이틀 전 올린 ‘정말 너무 힘이듭니다’ 게시글 댓글에 대해 써봅니다.
20 - 진심으로 과학계가 발전하길 바라면 정치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야만 하는거 같습니다
21 - 입학 거절했던 랩에 재컨택
4 - 한 시름 놓았네요... 행복해...
8 - 박사까지하고 싶었는데, 교수님 때문에 고민됩니다
5 - 너무 행복합니다
11 - ICML 게재 승인 논문 3천 편 시대에 대한 짤막한 소회
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50 -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44 - 한국 대학 영어강의에 대하여
12 - 가정형편이 좋지 못한 상황에 대학원 진학이 고민됩니다..
8 - 석사 과정 남자친구와의 이별
10 - 미국 포닥... 서당개도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더만..
9 - 대통령과학장학금 (대장금)
8 - 금전적 지원이 없는 자대 지방 랩으로의 석사 진학
8 - 우리나라에 논문 컨설팅을 빙자한 논문 대필 수준,,,
10 - 박사과정 QE 1저자 논문 3개로 디펜스 될까요?
5 -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14 - 다들 연구 동기가 어떻게 되시나요
6 - Ai 논문 쓸 때 제일 잘 나온걸로 올려도 되나요?
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97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115 - 등록금 내고서 대학원 다니는거
14 - 노력이란 무엇일까?
36 - 지도교수님을 존경하는 분들이 부럽습니다.
17 - 논문이 계속 떨어진다~
27 - 이틀 전 올린 ‘정말 너무 힘이듭니다’ 게시글 댓글에 대해 써봅니다.
20 - 진심으로 과학계가 발전하길 바라면 정치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야만 하는거 같습니다
21 - 입학 거절했던 랩에 재컨택
4 - 한 시름 놓았네요... 행복해...
8 - 박사까지하고 싶었는데, 교수님 때문에 고민됩니다
5 - 너무 행복합니다
11 - ICML 게재 승인 논문 3천 편 시대에 대한 짤막한 소회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SCI 논문 2저자와 지거국 4점대 학점 컨택 실패
16 -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24 - 조지아텍/에모리 의공학이 그렇게 좋은가요?
10 - 공대 조기졸업 3.5/4.0 vs. 4년 3.8/4.0
15 -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44 - 한국 대학 영어강의에 대하여
12 - 석사 과정 남자친구와의 이별
10 - 미국 포닥... 서당개도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더만..
9 - 대통령과학장학금 (대장금)
8 - 금전적 지원이 없는 자대 지방 랩으로의 석사 진학
8 - 우리나라에 논문 컨설팅을 빙자한 논문 대필 수준,,,
10 -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14 - Ai 논문 쓸 때 제일 잘 나온걸로 올려도 되나요?
9
2024.12.09
2024.12.09
대댓글 2개
2024.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