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ㄹㅇ spkyk 서열이 중요함?? 내가 봤을 땐 논문이다.

2023.06.21

24

2997

난 학부는 spk이고 대학원 학벌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했는데 그거 다 부질없음.. 대학원은 무조건 실적임..

단적인 예로 친구 중경외시 나오고 yk대학원가서 nature 자매지 쓰고 인서울 교수됨.. 반면 spk나오고 국내 메이져 대학 교수 목표로 stanford간 친구는 논문 잘 못써서 지금 미국서 포닥만 5년째임.. 지금은 그냥 모든 걸 내려 놓고 국내 아무 학교라도 가고 싶다고 함..

요샌 무조건 실적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4개

노래하는 카를 가우스*

2023.06.21

그건 당연한거고.. 같은 실적일때 학벌이 더 좋은 지원자가 고평가 받으니까 목매는거죠. 그리고 실적이 중요한건 교수 임용 할때나 그렇고 한국 대학원생 90%는 교수 못하고 그냥 취업하는데요, 회사는 학벌 봅니다.

대댓글 4개

노래하는 카를 가우스*

2023.06.21

인생은 누구나 자신의 평균 성공확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가는겁니다. 그렇게 극단적인 두 예시는 의미가 없어요. 통계적으로 스탠포드 박사한 한국인이 연대 박사한 한국인보다 교수될 확률이 5배는 더 높을겁니다.

2023.06.21

내가 말하고 싶은 건 학벌에 목메일 필요는 없다는거지 대학원 생활이 짧은 것도 아니고 그런거 신경쓸 봐엔 자기 실력 키우면 못 갈 곳이 없을 것 같지 않냐?
노래하는 카를 가우스*

2023.06.21

자기 실력 키우는데도 학벌이 어느정도 중요하죠. 네임밸류가 높은 대학원일수록 잘하는 학생들이 많으니까, 자신도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그들 사이에서 좋은 방향으로 성장하게 되니까요. 물론 학벌에 엄청 신경 쓸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아예 신경 안 쓸수도 없다고 봅니다.

2023.06.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벌 좋으면 실력 없어도 갈데가 있는게 훨씬 더 중요함

2023.06.21

내가 보기엔 spkyk 다 국내에서 좋는 학교이고 논문 하나 더 잘 쓰는게 훨씬 더 좋을 것 같은데.. ㅎㅎ

2023.06.21

그냥 난 논문 잘 못쓰니까 학교 서열에 내 한 목숨 바칠게 하는 느낌인듯... ㅎㅎ

대댓글 1개

답답한 프리모 레비*

2023.06.23

논문 못쓰면 교수나 연구직 가면 앙되요

2023.06.21

석사 졸 하고 취업하려는 사람한테는 학교 높이는게 더 쉽게 먹히지

대댓글 1개

2023.06.21

이건 인정인데.. 위에서 말하는 것처럼 큰 차이는 아닌 듯..
점잖은 밀턴 프리드먼*

2023.06.21

실적이 중요한데 그 실적과 학교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으니까요. 우리는 미래를 알 수 없습니다. 미래를 알 수 없는 상황에서 yk 박사과정과 스탠포드 박사과정을 비교해야 한다면 후자를 고를 수 밖에 없죠. 후자가 교수 풀도 좋고 좋은 논문 낼 확률이 올라가니

2023.06.21

이제 박사 졸업하는 학생입니다만.. 제 주변에 임용된 지인들 선배들 다 둘러보면 결국 실적이 제일 중요하고 실적 못지 않게 중요한게 인맥입니다.. 학벌은 우선순위가 좀 많이 밀리는 느낌입니다. 제가 볼 땐 실적 = 인맥 >> 인성 (얼마나 싹싹한가) > 학벌 순입니다.

대댓글 3개

2023.06.21

수정할께요.

타이밍 (내 연구 주제를 요구하는 연구기관 or 학교의 TO ) > 실적 = 인맥 > 인성 > 학벌

이 정도가 맞는 듯요. 학벌은 크게 중요한 느낌을 못받았습니다.
답답한 프리모 레비*

2023.06.23

공대는 인맥 거의 의미 없어요. 실적이 공식적으로는 유일한 기준이나. 뽑는 교수들 맘속에서 학교별 서열이 있어서 작용하죠. 예로 서울대에서 비대출신을 엥간하면 안뽑고 해외학부를 뽑죠. 연고대에서 중경외시 출신을 엔간하면 안뽑죠. 자대 출신들도 일정 실적이상인 지원자가 항상 있으니.

2023.06.24

ㄴ 누가 그런 소리를 하시죠... 뭐 기업이면 잘 모르겠는데 교수 임용 거진 다 인맥입니다.
어차피 해외 대학원이더라도 학교 내 한 교수님 정도는 한두다리 건너면 다 지인으로 연결되고
연결되는 경우 선발 전에 평판 물어보고 판단합니다.
이건 교수님들도 대놓고 말씀하시는 부분이에요.
쑥스러운 존 롤스*

2023.06.22

사람은 본능적으로 자기에게 이득이 되는 행동을 함.
본인 실적이 본인 학교에서 상위권이면 본인 학교 안 내세움. 학교 내세워봤자 이득될게 없으니까.
반면 본인 실적이 본인 학교에서 하위권이면 학교 이름에 목숨 검. 실적보다 학교이름 내세우는게 본인에게 이득이니까

대댓글 1개

젊은 프란츠 카프카*

2023.06.22

학벌논쟁 글에서 봤던 댓글 중에 가장 현실성 있는 댓글인 듯.

예를들어, 본인이 spk생인데 이미 nature, science, cell 썼다? 그렇다면 spk생인 걸 내세울만한 이유가 하등 없음. 왜냐하면 이 정도 실력이면 이미 연구자로써 자기 가치를 입증한 셈이고, 따라서 자신을 소개할 때 NSC 논문의 1저자라는 수식어 만으로도 학계에서는 인정받고도 남을 정도로 충분하기 때문.

여기서 본인이 spk생이라는 타이틀을 내세웠을 때 얻을 수 있는 유의미한 이득은 딱히 없고, 반대로 자신만의 두드러지는 재능과 빛나는 성취가 평균적인 spk생과 같은 프레임 안에 갇혀버림.

2023.06.22

다들 다른 주제로 토론하시네요.

정리하자면
학교 임용: 운(TO)>실적=인맥>학벌
회사 임용: 운(TO)>인맥>학벌=실적

대댓글 2개

덤덤한 요하네스 케플러*

2023.06.22

틀림.. 학교는 실적이 확보된 상황에서 운이 좋아야 함.. 실적이 필요조건임

IF : 1

2023.06.22

학교 교원 임용에서 인맥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는 처음 들어 보네요… 인맥은 역으로 탈락 사유가 되기도 합니다. 학계에서 아예 인맥이 없으면 더 좋게 보기도 합니다. 지나가는 현직 교수.
답답한 프리모 레비*

2023.06.23

극단적인 경우를 비교하면 ...... 본인이 보고 싶은 것만 보이죠.
답답한 프리모 레비*

2023.06.23

교수 임용시에 딱 두사람을 놓고 비교하지 않읍니다. 한자리에 5명 10명이 지원하니 거기에는 실적과 학벌이 어느 정도 기준이상인 경우가 대부분 존재 합니다.

2023.06.23

spk가 spk내세우는 경우 보다는 yk그이하가 spk깍아내림-> spk가 방어 Spk학벌 논쟁은 이렇게 진행됨.
이미 한국사회는 학벌이 중요한 사회이고 spk가 굳이 먼저 학벌을 내세울 필요가 없음

대댓글 1개

2023.06.24

지방대->SKP박사는 SKP 학벌로 쳐주질 않습니다...
사람들 인식엔 SKP 학부 졸업하고 연구 아닌 다른 일 하는 사람들이 훨씬 똑똑해 보여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