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박사 나와서 SCI급 논문 펑펑 찍어내는 사람들은 이미 대학수학 이상을 해내고 있는 건데
학벌이 무의미하지 않음? 결국 동점자 가릴 때나 의미가 있는듯 한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게 문제인 부분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개
2024.03.07
김밥말이
대댓글 2개
2024.03.07
ㄱㅂㅁㅇ가 뭔지는 모르겠으나 현실은 학부좋은 애들이 연구도 효율적으로 잘하고 논문도 잘 내더라. 수능이 단점도 많지만, 연구능력은 확실히 대체적으로 수능 성적과 비례함. 학점은 큰 상관관계는 없는듯. 학점이란게 수능과 다르게 족보라든가 선배와의 관계라든지 그런 요소에 영향을 많이 받기에 학점 좋다고 무조건 지식이 많고 연구능력 있다고 하기에 무리가 있음. 학부가 좋으면 애초에 수업의 질이 월등히 높기에 국내 탑티어 학부에서 평범한 학점이 지방대 학점 4.2보다 지식량이나 실력이 압도적인 경우가 대다수더라. 물론 아웃라이어로써 지거국 학석박하고서 SKP교수하는경우 있지만 그건 상당히 드문 케이스고, 애초에 연구를 잘 할 놈이 수능을 상위 10%도 못들었다는게 말이 안되기 때문에 학부 인서울도 못하고서 나중에 연구를 잘하리라는 생각이 안드는게 사실임. 글쓴이가 부정한다면 본인 실적이 압도적이면 됨. 넷컴 잭스 AM PRL급으로 (자기분야따라) 2~3편 이상 본인이 맨앞 1저자로 본인이 주도적으로 논문 디자인해서 논문 작성까지 했다면 지방대에서 탑티어 아웃풋 맞음.
2024.03.07
대댓글 2개
2024.03.07
2024.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