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라는 직업이 지금 한국에선 저점이 가장 높아서 선호되는게 어쩌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봄 지금 그만큼 살기 팍팍하단 뜻이니까
이공계 위기 이런 얘기 나온지도 이젠 20년됐음 그때부터 공대교수들이 뭘 했나? 묻는다면 본인들도 제대로 답할 수 있을까? 누구는 정치, 누구는 개인 사업, 누구는 애들 착취 이런거에 그동안 힘써놓고선 이제 뽑아먹을 애들 조만간 싹 없어질게 눈에 보이니까 이제서야 이공계 위기가 어쩌구 본인들이야말로 교육자로서 이공계 위기 진짜 진지하게 생각해본 적이 있긴 할까? 여기랑 제일 관련이 깊을 대학원/대학원생 이미지만 봐도 그래. 온갖 대학원 괴담들, 사건들 나올때 자기들은 뭘했음? 연구비 횡령해서 구속된 교수 탄원서나 단체로 쓰고앉았고 실제로 석방되는걸 옆에서 볼 때 참 할 말이 없더라. 사건들을 자기들이 나서서 더 키워놓고서 어떻게 이미지가 좋아지길 바래? 공대 교수들이 어떻게 나오고 이런거 학생들은 신경쓸 이유 없어. 저거 100% 다 자기 이해관계에서 나오는 앓는소리야.
따지고보면 지금이 의사만큼 이공계 부스팅하기 좋은 시기이기도 함 살기 팍팍한 와중에 이공계는 상대적으로 좋은 일자리에 취업이 잘되잖아. 컴공에 많이 쏠리긴 했지만 어쨌든 엔지니어=좋은 일자리 이런 이미지라도 가지고 가서 셀링하면 이것도 수요계층이 없지 않을거라고. 어쨌든 모두가 의대를 갈 수 있는 것도 아니잖아. 이런거 팔아서 장작 팍팍 넣을라고 시도도 해야되는데 백날천날 깨지지 않을 의대카르텔만 보고 허공에 주먹질만 하니 일이 풀림? 전략도 바꿔야된다고 봄. 아니면 아직 공대 교수들도 별로 안급하던가. 어쩌면 지금 이공계가 어쩌고 의사가 어쩌고 하는 교수들은 곧 다 퇴직하고 젊은 교수들만 또 피해보는 구조일지도 모르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3개
2023.05.30
지금 의사가 이렇게 좋은게 의대교수들이 노력해서 이렇게 된것도 아닌데 왠 공대교수 타령? 교수가 뭘할수있는데? 다 정부나 국회에서 정책 입안하고 법 만드는 사람들이 정하는건데
대댓글 1개
젊은 알프레드 노벨*
2023.05.30
완전 내가 하고 싶었던 말... 공급 비정상적으로 줄여 임금 상승시킨게 무슨 노력이라고 포장을 하는지
IF : 1
2023.05.30
공대도 학부, 대학원 학생수를 지금의 1/5 정도로 줄이면 이공계 출신 대우가 좋아질겁니다. 그런데 그게 국가의 미래에 도움이 되는길은 아니겠지요.
2023.05.30
공대 교수들이 대학원생 잘 대해주면 의대처럼 공대로 많이 옴? 의대 광풍은 의대 교수들이 학생들에게 잘 대해줘서 생긴 것임? 원인과 결과가 이상...
대댓글 2개
2023.05.31
밥그릇을 후임들을 위해 잘지켰다는거지. 교수로서가 아니라 같은 길의 선배로서
2023.05.31
후임들이 적게 생기게 해서 밥그릇을 지켰지요. 그래서 의대정원 늘리겠다고 하면 지금도 난리가 나구요.
IF : 5
2023.05.30
의대가고싶은 애들을 끌어오는것만 능사가 아니라는 뜻임 어쩔 수 없는건 인정하는 것도 방법이고 그 사이에 공대도 내실을 키웠어도 모자랐을 판에 딴일만 실컷 해놓고 이제와서 뭐라뭐라 하는게 웃기단 뜻이지
대댓글 2개
2023.05.30
내실을 뭐 어떻게 키우는데? 지금 우리나라 이공계 수준 특히 CS/AI분야는 세계 최상위권에 근접해가고 있는데 뭘 더 어떻게 해야됨?
2024.03.04
분야에 따라 분명 분위기가 많이 달라서 그럴거라 생각하네요. 컴공 교수님들은 비교적 젊으실 수도 있는데 화공 재료 쪽 나이 많은 교수님들 중엔 기본도 안된 분들도 많고 학생을 사람 취급도 안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한국 대학원생 대접이 좋은 편은 아니잖아요. 뭐 그런 비슷한 생각에 글쓴이가 글을 쓴게 아닐까요? 최근 일리노이 쪽 대학원생은 기본 연봉이 3.6만에서 4.5만으로 올랐다네요.참고로 택스 14프로정도구요.
2023.05.30
공대 교수들이 정치해서 이공계 살려야지
대댓글 1개
2023.08.05
공대 졸업생의 목표가 창업이되어야 문제가 해결되지요. 공대나와야 사장된다. 사장이면 정년이 없습니다. 공대 출신 사장님들 주위에서 보십시오.
2023.05.30
공대 교수들이 잘했단건 아니지만 해결할 수 있는 문제도 아님. 세상 어느 나라에서 공대 나오면 미니멈 2-3억 연봉이 평생 보장되나. 이건 공대 학장 할애비라도 못하지. 우리나라 경제규모 생각하면 1억도 힘들다고 봄. 그리고 엔지니어 대우는 기업이 결정하는 거니까 강제할 방법도 없음.
결국 의사 페이 자체가 말도 안되는 수준이니까 완전 비대칭이 되어버리는게 가장 큰 문제. 정부나 대학에서 할 수 있는거라곤 학생 인건비나 처우, 장학금 정도인데 이걸로는 절대 이길 수가 없음. 이미 R&D 투자액수는 상당히 높은 편인데 더 올릴 구실도 사실 별로 없음.
의사 연봉이 평균 한 1억에서 1.5억 수준이라고 치면 수련 과정이나 적성 생각해서 이공계 가는 사람이 더 나오고 이탈도 줄어들겠지. 의사는 나라 불문 고연봉 직장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정도 차이가 나는건 (실제로 평균 연봉 대비 의사 연봉이 높은 탑3 국가 중 하나) 의사 수를 늘려야만 해결 가능함.
짓궂은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3.05.30
공대 교수들은 뭐했노이기
2023.05.30
뭐 적어도 대학원에 대한 인식자체가 지금처럼 안좋지만 않았어도, 의대로 100명 가던게 의대 50 공대대학원 졸업해서 엔지니어 50 정도는 될 수 있지 않았을까라는 논지인 것 같은데, 저는 공감합니다. 100:0, 50:50 등 구체적인 수치까지 논쟁할 건 아닌것 같고요. 또 교수가 할 수 없는 일도 있지만, 할 수 있는 일도 있죠. 기업에서 얼마나 뽑는지, 정치가 어떻든지는 교수가 어쩔 수 없지만 적어도 대학원은 본인들의 공간이시니, 대학원에 대한 인식은 본인들 책임이고 개선하셔야죠.
덤덤한 가브리엘 마르케스*
2023.05.31
애초 전문직이랑 걍 일반 회사원이랑은 비교할게 못됨 ㅋㅋㅋㅋ
대댓글 1개
2023.08.05
창업해서 사장된 공대선배들 보세요.
2023.05.31
대학원 인식 부순거만으로 이미 교수들은 욕 먹어도 쌈 ㅇㅇ.... 여기 교수들 발작하는게 웃기긴하네 ㅋㅋ
2023.06.01
인구 약 3억명을 가진 미국에서 4년제 공대 졸업자는 매년 약 7만명이 배출된다고 합니다. 한국은 인구 5천만명에 공대 졸업자가 매년 8만6천명정도 배출된다고 하네요.
우리나라도 미국 수준으로 공대 정원을 매년 1만 4천명 수준으로 줄여버리면 공대 졸업자도 대접 받을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대댓글 2개
2023.12.10
무슨 7만명 ㅋㅋ 그렇게 나오려면 미국대학 정원 숫자가 한국보다 적다는 이야기여야되는데
2023.12.10
확인해보니 10만명 넘어가는데 7만은 어디서 나온 숫자인지
2023.06.01
세상은 넓고 다양한 사람들을 포용하는 중이구나 .. !
IF : 1
2023.06.02
의대 교수님들 인성에 대한 경험담도 확인해 보시길…
대댓글 1개
2023.06.05
의대 교수님들이 대학원생 어떻게 대하는지도 경험담 확인해 보시길
2023.06.02
한 나라의 공대는 그나라 산업을 책임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한국의 산업적 위상이 놉다면 공대 교수들이 그동안 해왔던 것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겠지요. 한국의 산업적 위상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다면 그것으로 공대교수들이 한일을 인정해야 할 것입니다.
이것과는 별개로 사회에서 공학인의 위상은 높지 않다는 것에는 동의합니다. 한가지만 생각해 봅시다. 왜 의사의 사회적 선호도가 높을까요? 가장 큰 것은 퇴직없이 나이들어서도 전문직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공학도의 경우를 생각해봅시다. 나이들어서 퇴직엎ㅅ이 일하는 사람이 없을까요? 잘 생각해 보시면 주위에 그런분들 많이 계실 것입니다. 바로 창업하여 중소기업을 운영하고 계신 사장님들이지요. 좀 오래되기는 하였지만 중소기업 대표의 전공을 확인해보니 60%정도가 이공계로 나왔던 것읏노 기억핲니다. 공학인의 목적이 월긒장이가 아닌 사장이 목표가될 때 공학인 (엔지니어)의 가치가 제대로 인정 받을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개인의 소유를 인정하는 자유 민주주의 국가이고 경제 시스템이 자본주의입니다. 자본주의의 꽃은 '기업' 입니다. 월급 받는 사용자로는 답을 찾을 수 없을 것입니다. 수ㄱ율이 좋은 기업을 많이 만들어서 세금 많이내고, 연금 운용하면서 은퇴후를 준비할 수 있는 시스템을 함께 만드는 것이 한가지 답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유럽의 여러 기업들 다니면서 시스템이 부럽더군요.
불평보다는 함께 만들어 갑시다.
대댓글 1개
2025.05.20
의사랑 공대랑 비교하려면 최소한 학부 설카포 출신이상이어야지 그 이하는 의대 못 가는 놈들이 양심도 없이 의대랑 공대랑 비교하네
재치있는 빌헬름 뢴트겐*
2023.06.02
그냥 여기 애들은 지들 실력 지능 노력 성과 따위는 신경 안쓰고 교수 욕하는 앵무새들임 ㅋㅋㅋㅋㅋ
니가 못하니까 그 대우 받는 거야
2023.06.05
자꾸 공대 교수와 학생탓을 하는데, 그 시스템을 만든건 공대 교수나 학생들이 아님.
2023.06.06
ㅋㅋㅋ병원가바라 골방철학자납셨노ㅋㅋ
2023.11.13
역시 오늘도 석사님들 징징 거리네.
되도안한 남 원망 핑계보니 초등학생 같어.
언제 인격적으로 성숙할래?
IF : 1
2024.02.04
댓글들 보니 의사랑 엮는 것도 너무 웃기군ㅋㅋ 이공계 학생들 의대쏠림현상? 쏠리기만 했지 그중에 몇퍼나 의대합격한다고.. 의사페이 낮추면 공대온다? 웃기는소리ㅋㅋ
대댓글 1개
2025.03.22
근데 글 읽고 하는 말 맞냐? 누가 페이 낮추라고 함?
2024.03.08
여기 공대교수님들 화났네... 솔직히 RnD 삭감되었을때 성명서라도 냈어야지.. 솔직히 정부 (권력)랑 누가 싸우고싶냐? 의대는 ㅂㅅ 맞지만.. 욕먹어도 갈길은 가네
대댓글 1개
2024.05.12
맞는말 ㅋㅋ 연구비 삭감 될때 교수들은 그 누구도 앞장서는 사람 없음 지금 의협회장 난리치는거봐라 얼마나 든든하냐
2023.05.30
대댓글 1개
2023.05.30
2023.05.30
2023.05.30
대댓글 2개
2023.05.31
2023.05.31
2023.05.30
대댓글 2개
2023.05.30
2024.03.04
2023.05.30
대댓글 1개
2023.08.05
2023.05.30
2023.05.30
2023.05.30
2023.05.31
대댓글 1개
2023.08.05
2023.05.31
2023.06.01
대댓글 2개
2023.12.10
2023.12.10
2023.06.01
2023.06.02
대댓글 1개
2023.06.05
2023.06.02
대댓글 1개
2025.05.20
2023.06.02
2023.06.05
2023.06.06
2023.11.13
2024.02.04
대댓글 1개
2025.03.22
2024.03.08
대댓글 1개
2024.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