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먼저 MIT는 꿈 깨시고요, 미국에서 님의 관심사에 맞는 연구실이 MIT 밖에 없다는 것은 말이 안되는 소리입니다. 그냥 님이 덜 찾아본거에요.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7 - 위에 사람들 말 너무 믿지는 마셈. 자기가 못갔다고해서 남들도 못가는건 아닌데 일단 무조건 안됀다는 사람이 많은거같아요 ㅋㅋㅋㅋ
일단 장기적으로 보면 충분히 가능하고 설계를 잘하셔야되요. 분야가 데싸면 박사진학시 연구실적이랑 추천서가 가장 중요할건데 (인더스트리 경력은 플러스, 요즘은 긍정적으로 많이 봐요) 그걸 최고로 뽑아낼수있는 석사를 가시는게 가장 중요해요. 탑티어 논문은 머스트고요. 미국 석사는 생각해보셨나요?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0 - 헉.. 아직 본인과 경쟁자들이 객관화 안되신것같네요.. 경쟁자들은 MIT, stanford, caltech, … 미국 최우수 대학 관련학과 출신 + 연구경험 다수. 그중 못뽑힌 사람들이 석사까지 관련학과에서 하고 다시 지원. 해외 탑 대학 괴물같은 지원자들 (skp, 칭화대, 동경대, IIT, 취리히공대…) 과 경쟁해야합니다.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0 - 낙관적으로 말씀하신 교수님들이 악질이시네요 ㅋㅋㅋㅋㅋ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1 - 기본적인 예절을 못배워서 그래요. 심지어 건물 복도에서 다른 연구원 공간이 가까운데도 쩌렁쩌렁하게 전화하는 애들도 많습니다. 점점 에티켓이 없어지는 나라가 되가고 있어요.
연구실 내에서 사적인 전화하는 게 맞나요,,?
18 - 의대 가신 것은 당연히 대단한 것입니다. 근데 다른 업종을 비하하는 것은 다른 문제가 아닐까요? 생각은 그것으로 끝내시는 것이 향후 글쓴이 님의 앞길에 아무 일 없으실 거 같습니다.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32 - 음 오해가 있으셨을까봐 말하는건데 문과 관리들은 비하해도 대학원생 비하한 적 없습니다. 다시 글 읽어주세요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8 - 뭔놈이 의대가놓고 여기 들어와서 대학원생 비하하고있냐 ㅋㅋㅋ 자격지심 있음? 남 비하하는 사람들은 자존감 낮은거야…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7 - ????퀄시험을 끝낸지 4개월이나 지났는데 컨택한 후로 처음하는 1:1회의였다고요?
교수님이 님이 무슨 연구를 하는지 모른다고요???
그거 님이 잘못하고 있는거임. 교수님이 물어볼때까지 그냥 가만히 있지말고 계속 주제 관련해서 미팅 잡으려고 노력하세요.
학생들이 이렇게 소극적이어서 자꾸 문제 생기는거임.
주제 얘기할 때는 자료 철저히 만들어서 교수님이 짧은 시간 내에 파악할 수 있도록 준비하세요.
그리고 저런 얘기가 나온다는건 님이 하는 연구를 왜 꼭 그렇게 해야하는지, 기존 것과 비교해서 뭐가 다른지, 그렇게 하면 왜 더 좋은지 등을 설득하라는 얘기예요. '나 이거 한다'가 아니라 '나 이거 이러한 이유로 한다'를 명확히 밝히라는 뜻이예요. 님의 연구가 네이처급 좋은 주제라 할지라도 교수님을 납득시키지 못하면 안 돼요.
연구주제 듣고 무시하신 교수님..?
17 - 015B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9 - 주절주절 그럴싸하게 썼지만,
답은 제목에서부터 있지 않아요?
지도교수가 싫다는데 본인이 뭘 할수있어요?
그리고 주제가 3자가 볼땐 너무 오만하네요
대학원생들에게 갑질했던 교수님에게 대학원 연구환경 개선을 위한 교육학 논문 같이 쓰자고 했는데, 무반응인 경우 어떻게 해결해가는 게 좋을까요?
10 - 이런글쓰면 이제 교수들 몰려와서 은혜를모르니 정신력이어쩌니 돈벌려고대학원왔느니 댓글담
지도교수님을 존경하는 분들이 부럽습니다.
11 - 진짜 존경받을 만한 사람들은 드뭄. 똑똑해도 인성 파탄자가 너무 많죠.
지도교수님을 존경하는 분들이 부럽습니다.
10
노력한 적 없는 개구리
2024.03.13

근래 큰 고민이 있어 넋두리라도 풀고자 글을 남깁니다.
글의 제목은 저를 칭하는 말입니다.
저는 초중고 시절부터 어딜 가나 똑똑하단 말을 듣고 살았고, 실제로 저보다 노력한 학생들에 비해 과분한 성과를 얻어오며 살았습니다.
그때문에 한때는 노력하는 사람들을 무시하기도 했었고, 덕분에 우물 안에서는 제일 잘난 개구리라고 여기고 "내가 마음먹고 노력했으면 더 좋은 대학 갔어,"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보다 노력하고도 나에 비해 성과가 없어"라고 생각하기도 했죠.
그렇게 대학에 입학하고 나서도 그럭저럭 공부를 하다 군 전역 후에 전공 공부에 흥미를 느낀 후 손에 꼽히는 성적으로 학부를 졸업하여 대학원에 입학한지 1년이 지났습니다.
공부와 연구가 재밌었기에 당연히 잘할 줄로만 알았고, 여태껏 살아온 저의 경험으로는 노력에 비한 성과가 뛰어났기에 대학원에서도 그런 것이 유지될 줄로만 알았습니다.
하지만, 막상 대학원 생활을 1년 넘게 한 지금에서는 재미마저 못 느끼는, 노력도, 성과도 없이 우물 밖에서 도태된 개구리가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지난 1년간 나름대로 노력하여 뚜렷한 성과는 거뒀지만, 그것을 디벨롭하고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저의 부족함을 절실하게 깨닫고 주변을 둘러보니 스스로의 노력으로 우물 밖에서 잘나가는 개구리들이 보였습니다. 제가 본 저는 그들에 비해 터무니없이 게으르고, 능력마저 부족한, 운좋게 우물 밖에 나온 사람이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떳떳하게 나는 노력한 사람이라고 말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우물 밖에서 본 저보다 뛰어난 개구리들을 이기기엔 그들만큼 재능도 없고, 노력할 자신도, 노력하는 방법도 모르는 제 자신이 너무나도 한심합니다.
이제서야 초중고, 학부 시절의 공부는 노력하는 방법에 대해 연습하는 것이라는걸 깨닫는 것 같습니다. 그들이 노력하여 얻은 성과를 저는 요행으로 얻어왔다는 것을 깨닫으니, 평일 주말없이 매일 14시간이 넘게 연구를 해도 저보다 뛰어난 학생들이 저보다 노력하여 얻은 성과를 얻을 자신이 없습니다.
항상 내일은 더 노력하고자 하지만, 노력해본 적이 없어 그저 스스로를 채찍질만 하게 되어 이제는 약간의 강박마저 생겼습니다.
여러분들은 이런 생각이 드신 적 있나요? 그렇다면 어떻게 견뎌내셨나요?
후회 없을 정도로 죽을만큼 노력하고 스스로를 증명하고 싶지만 노력도, 재능도 부족하다는 생각에 패배주의에 잡아먹히는 것 같습니다.
노력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꼰대가 되어가는 내 자신을 바라보며. 김GPT 23 13 5301
자신감이 중요한것같네요 김GPT 34 3 6238-
37 8 3164
자신감 뚝뚝 떨어진다 김GPT 7 15 8395
자극 그 자체 김GPT 12 6 3639
한심한 대학원생 김GPT 8 7 5174
스스로가 한심할 때 김GPT 4 2 2533-
10 17 3667
저의 미성숙함을 탓하며 김GPT 3 7 866
연구실 뚝딱이가 되지 않기 위한 방법 명예의전당 322 19 58065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명예의전당 251 8 50421
대학원생 장시간 근무에 대한 생각 명예의전당 232 57 68129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드디어 인용수 1000이 넘었습니다...
216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79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99 - 연구실 내에서 사적인 전화하는 게 맞나요,,?
19 -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56 - 중경외시 석사는 대기업 못가나요?
30 - 노력이란 무엇일까?
26 - 대통령과학장학금 (대장금) 서류
16 - 석사 논문은 대부분 이런가요? 저만 그런건가요?
13 - 석사논문 피인용 100회
24 - 아픈거도 죄입니까? 인간이 밉습니다
12 - 지도교수님을 존경하는 분들이 부럽습니다.
9 - 논문이 계속 떨어진다~
13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43 - 대학원생 노조라도 누군가 총대 매세요
14 - 연구주제 듣고 무시하신 교수님..?
19 -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33 - 정말 너무 힘이 듭니다
20 - 광명상가 타대 vs 자대 고민입니다.
11 - 학계에 있는 사람들을 보면서 느낀점 몇개
9 - 낮은 학점 대학원 진학 문의 드리고 싶습니다
10 - 박전연 업체 관련해서 문제가 생겼네요...
7 - 대학원생들에게 갑질했던 교수님에게 대학원 연구환경 개선을 위한 교육학 논문 같이 쓰자고 했는데, 무반응인 경우 어떻게 해결해가는 게 좋을까요?
23 - 학부연구생 양다리
13 - 이런것도 여자로서 학문에 기여하는 방식임?
8 - 연구실에서 특허 출원 많이들 하시나요?
6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드디어 인용수 1000이 넘었습니다...
216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79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99 - 연구실 내에서 사적인 전화하는 게 맞나요,,?
19 -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56 - 중경외시 석사는 대기업 못가나요?
30 - 노력이란 무엇일까?
26 - 대통령과학장학금 (대장금) 서류
16 - 석사 논문은 대부분 이런가요? 저만 그런건가요?
13 - 석사논문 피인용 100회
24 - 아픈거도 죄입니까? 인간이 밉습니다
12 - 지도교수님을 존경하는 분들이 부럽습니다.
9 - 논문이 계속 떨어진다~
13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SCI 논문 2저자와 지거국 4점대 학점 컨택 실패
11 -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21 - 공대 조기졸업 3.5/4.0 vs. 4년 3.8/4.0
11 -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43 - 대학원생 노조라도 누군가 총대 매세요
14 - 연구주제 듣고 무시하신 교수님..?
19 -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33 - 정말 너무 힘이 듭니다
20 - 광명상가 타대 vs 자대 고민입니다.
11 - 학계에 있는 사람들을 보면서 느낀점 몇개
9 - 낮은 학점 대학원 진학 문의 드리고 싶습니다
10 - 대학원생들에게 갑질했던 교수님에게 대학원 연구환경 개선을 위한 교육학 논문 같이 쓰자고 했는데, 무반응인 경우 어떻게 해결해가는 게 좋을까요?
23 - 학부연구생 양다리
13
2024.03.13
대댓글 1개
2024.03.14
20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