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공동 1저자 가치

2025.09.30

5

529

안녕하세요, 석사 2년차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고, 교수님께서 제가 확실히 많이 연구를 진행한 주제에 대해 다른 학생을 공동 1저자로 넣어서 쓰라고 하시네요.
공동 1저자의 가치가 단독 1저자의 가치에 비해 많이 떨어지는 편인가요?
단독으로 생각하고 있다가 갑자기 공동으로 쓰라고 하니, 이기적이라고 느끼실 수 있지만 좀 화가 나고 억울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5.09.30

맨앞이면 교수님 말 군말없이 따르고 그게아니라면 정중하게 문의드려볼듯. 아마 근데 교수님이 보기엔 공동저자분도 꽤 기여를 했으니 그러시지않을까싶음.
공동이여도 맨앞 저자가 주저자로 더 큰 기여를 인정받긴함. 다만 그래도 말그대로 공동 1저자이기에 각각 해당 논문에 기여가 공저자보단 높다에 대해선 부인하진 않음.

근데 요즘 너무 공동저자가많아서 공동저자“만”있는 사람은 임용시장에서 인정받기 힘든게 사실.

2025.09.30

뇌피셜이긴 하지만..
혹시 졸업학기라면요 글쓴이 졸업하고 나간 뒤에 공동1저자 되는 학생한테 (글쓴이보다 학교에 더 오래 남아 있을 학생으로 예상) 나머지 revision 시키려고 그러시는거 아닐까 합니다
졸업 하고 취업하면 학생한테 논문 revision 하라고 부르기도 그렇고 부른다고 해서 학생도 연락 안되는 경우가 많아서 처음부터 이렇게 하는게 속편하긴 하거든요
글쓴이가 졸업 하고나서도 혼자 논문 다 마무리할거다 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사실상 불가능한 경우가 많고 학생이 말 바꾸는 경우도 많습니다

윗분 말씀처럼 교수님께 정중하게 여쭤보시고 납득가능한 수준이면 글쓴이가 맨 앞에 오는거면 그냥 교수님 말씀대로 하는게 나을듯요
정량적인 평가에서는 단독1저자 >= 공동1저자 겠지만, 정성평가에서는 단독1저자 = 공동1저자 맨앞 > 공동1저자 나머지 입니다
그리고 학계에 남을거 아닌 이상 별로 신경 쓰실 일이 없을거에요

2025.10.01

보통 공식적으론, 단독1저자 >= 공동1저자(순서 상관x) > 공저자.
어떤 곳은 단독이든 공동1이든 주저자로 똑같이 점수 매기는 곳이 가끔식 있어서 =가 있는거임.

근데 학계 인식상은,
단독 1저자 > 공동 1저자 1순서 >= 공동 1저자 2순서 > 공저자.
단독 1이 일단 최고고, 공동 1은 1순서가 거의 단독 1저자 역할을 했다는걸 교수도 아는거임(신경 안쓰는 사람도 있음. 그런경우 =가 성립). 공동 1의 2번째 저자도 기여도야 높겠지만.. 가끔씩 끼워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임. 진짜 논문이란게 딱 반은 내가쓰고 딱 반은 너가쓰고가 될 수 없기 때문에... 첫번째 저자의 기여가 1등이 되기 때문임.

2025.10.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당신이 나갈 거 보이니 인수인계하는거지 연구실을 위한 일이다. 논문 작업 전에 말해준 걸 고맙게 생각해라.

2025.10.02

저는 공1, 공교가 사라져야 한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요즘 너무 성행되어 있어서, 실적 나눠먹기로 보입니다. 연구적인 협업이 중요한 것은 잘 알고 있으나, 지도하는 입장에서 그리고 실무하는 입장에서 equally라는 개념이 적용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반드시 누군가가 더 주도적으로 leading한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요즘 저널에서 공교는 거절하는 추세이긴 합니다. 이렇게 공1도 사라질수도 있어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