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요즘 공동1저자 너무 많다

2023.03.04

38

20059

도움 받을 선배 하나도 없는 연구실 고른 내 잘못이 제일 크지만

단독 1저자와 공동 1저자는 무게감 자체가 다른데 공동1저자로서 무슨 일을 했는지도 모르는 사람들이 1저자라고 뻐대기는거 보면 기가찬다


빨리 졸업해서 기업연구소로 튀어야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8개

2023.03.04

요즘같이 연구실 단위로 협업을 많이 하는 시대에는 공동저자가 많아지는 건 당연한 트렌드입니다. 본문처럼 간혹 본인 연구 내용의 이해도가 떨어지는 학생들도 몇 있겠으나 그런 사람들을 의식할 필요 없도록 글쓴이 실력을 쌓으면 됩니다.

대댓글 2개

2023.03.04

저도 공저자가 많은건 좋은일이고 당연한거라고 생각합니다
근데 공동1저자가 2명보다 많을 경우에는 정말로 1저자의 위엄을 가지기나 할지, 논문에 대한 이해도 얼마나 있을지 모르겠네요
논문에서 라이팅도 중요한거지만 가장 중요한 실험, 논문 핵심아이디어는 손도 대지 않고 라이팅만 하고 공동1저자 탐욕에만 눈먼 사람도 있더라구요 이럴거면 챗지피티 유료결제해서 쓰는게 찐1저자로서는 더 좋을듯하네요

IF : 5

2023.03.04

ㄴ 이것을 포함한 저자문제는 연구책임자가 해야할 일을 안하기 때문이기도 해요. 지도교수가 제대로 교통정리를 미리 했다면 침만 묻히고 콩고물 떨어지는거 기다리는게 원천차단됩니다.
언짢은 시몬 드 보부아르*

2023.03.04

예전이랑 분위기가 많이 달라져서, 기여적게한사람이 뒤에 공동으로 붙으면 기분상으로 꼽는건 있지만

요즘 코웍이 많아지면서 공동1저자로 뒤에 붙어도 주저자로 받아들이는 분위기가 커져서
이왕 논문내는거 일부러 2~3명씩 공동1저자로 붙이는 경우도 많아짐 (난 다 앞1저자로 들어갔는데 솔직히 좀 꼽는건 있음)

대댓글 2개

2023.03.04

공동1저자가 2명인거까지는 충분히 그럴수도 있다고 보는데 세명씩 *표시 붙여놓고 공동1저자 받아가는걸로 논문개수 뻥튀기 시키는게 전혀 좋아보이지는 않네요
진짜 유명한 논문들에서는 이런걸 잘 못봤는데 그저 양산형으로 찍어내는 사람들이 공동1저자로 들어가는게 요즘 진짜 많은거 같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애들이 이게 좀 심한거같아요
울적한 마키아벨리*

2023.03.05

진짜 유명한 논문에도 4명짜리 공동 1저자 많은데요.. 요새 네이처 본지 실리는것 중에 단독저자인 논문이 별로 없을정도입니다.
침착한 프란츠 카프카*

2023.03.04

공동연구를 해도 주저자 모두 같은 기여,역량가지는 경우 아니면 당연히 앞저자가 기분나쁜게 맞음. 아예 서로 실험분야가 달라서 한쪽없으면 반토막되는 논문이 바람직하다고생각함

2023.03.04

저자가 총 5명인데 뒤에 교신 빼고 앞에 넷이 공동인 것도 봤어요 ㅎㅎ.. 충격

대댓글 2개

2023.03.05

국가기관사업 후 연구보고서 일부를 학술논문으로 게재해서 공동저자 5명으로 제출했습니다. 이런 경우에도 공동저자이면 안 좋게 보일 수 있나요 ? ㅜㅜ

2023.03.06

단순한 공동저자랑 공동1저자는 다른건데 일반적으로 공동저자 5명이라고 말씀하시면 그냥 5명의 이름이 올라간거라 큰 문제는 없을텐데 혹시 공동1저자가 5명이라는 소리인가요?

2023.03.04

동감합니다.
최근 교수임용심사에서 주저자가 15편이나 되는 분이 지원을 하셨더라구요.
심사위원들이 아니 이게 가능한 숫자냐고 놀랬는데 자세히 보니 15편 전부 주저자가 2인 이상인 논문이고 3인인 경우도 있더라구요. 그래서 뭐 그거 감안해서 심사했죠.
정량적 심사에서는 높은 점수를 받으나 최종에는 결국 정성적인게 반영될수 밖에 없고 다 고려합니다

대댓글 3개

2023.03.04

주저자-> 제1저자
침착한 가브리엘 마르케스*

2023.03.05

15편이 아니라 30편인 분들도 많죠 요새는...

2023.03.05

분야마다 다르죠. 제 분야에서 15편은 놀라울 정도죠. (밑에 대학원생이 많은 현직 지원자 제외.)

IF : 1

2023.03.04

근데 요새 좋은 저널에 실리는 논문 대부분이 공동저자 아닌가요?
오히려 단독1저자를 찾기가 어렵던데
울적한 마키아벨리*

2023.03.04

2,3저자 새빠지게 고생시키고 1저자 안주는거보다야 훨씬 낫다고 생각함. 확실히 공동1저자가 많아 지면서 일 다하고 1저자 뺏겼다는 사람이 없어진거 같네요.

2023.03.04

자연과학분야 연구에선, 실험과 이론이 있는데, 공동으로 진행한거면, 공동저자가 있는게 당연할수밖에 없다 보는데요...

그리고 또 웃긴건, 요즘 트렌드는 그런 협업 공동연구에요. 피어리뷰때, 순수실험 연구면, 이론적 데이터도 쌓아봐라 라던가, 순수이론 연구면, 이에합당하는 실험적 근거를 가져와라, 라는등의 리스폰스 잦습니다.

2023.03.04

예전에 교수한테 들은말인데 기억에 남네요.
혼자 연구하면 if가 1이라하면 같은학교 학과교수랑 협업하면 1.5, 다른 학과랑 협업하면 2, 다른나라 연구진과 협업하면 3에 낼수 있다고요.
저또한 협업이 많아지는 상황에서는 공동주저자는 당연한거고,(물론 공평하게 일을 하기는 쉽지않으나) 저는 그렇게 해서 실적쌓는게 나쁘지않다 봅니다. 어차피 실적계산할때 1저자수도 다 고려되는 경우도 많고요.
너무 안좋은 시각으로만 볼필요는 없다봅니다.

2023.03.05

저번 주 네이처 본지 논문에서 공1저자 5명인 논문 본게 생각나네요 ㅎㅎ

2023.03.05

이런
호탕한 알렉산더 벨*

2023.03.06

진정한 공동1저자라면 alphabetical order로 써야죠..
공1저 안에서도 자리싸움을 하는 모순이.ㅎㅎ

요새 공동연구가 많아져서 그렇다느니 그런건 사실 합리화고요. 걍 실적이 중요해져서 2,3저자 올려치기 하는겁니다. 옛날이라고 공동연구 없었겠나요....

대댓글 4개

2023.03.06

모순까지는 아니고 같이 일을 하면서 로봇처럼 1/n 씩 일을 할수는 없으니 충분히 공동1저자 내에서 더 고생한 사람이나 원 아이디어 제공자에게 앞자리를 주는거는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ㅎ 아예 저자 컨트리뷰션을 %로 정량화해서 나타내는게 자리잡지 않는다면요ㅎ 그래서 기관에 따라 1-1은 0.7점 1-2는 0.3점 이렇게 정량 평가를 하는 곳도 있다고 들었어요
낙천적인 에르빈 슈뢰딩거*

2023.03.06

그러니까 2,3저자 올려치기죠.
호탕한 알렉산더 벨*

2023.03.06

수영으로 비유를 하자면.. 1초 차이로 들어오든 0.1초 차이로 들어오든 금메달과 은메달은 구분이 된다는것이죠. 0.01초 수준의 측정오차 이내일때, 정말 우열을 가릴 수 없을만큼 동시에 터치해야 공동 금메달이 주어집니다.

공동1저자라는게 우리말로 보면 조금 의미가 약해보일 수 있으나, 논문 원전에 표기되는건 "equal contribution / equally contributed" 이죠. 위의 수영 비유와 달리 정량지표가 없어서 객관적인 비교가 어렵다는건 맞습니다. 다만 영문 표기와 같이 공1저에 해당하는 모든 저자가 equally contributed했다는건 서로서로 적어도 동일한 기여를 했다고 인정하는 셈이고 그렇게된 이상 공1저 내의 저자순위에 아무런 의미를 부여해서는 안되는게 맞습니다. 그게 아니라면, 적어도 내가 조금이라도 더 기여한거같은데? 내가 좀 덜한거같은데? 라는 생각이 드는 순간 equally contributed라는 표현을 써서는 안되는거죠.

옛날에는 다 그렇게 했을겁니다. 아무리 2저자 치고 기여를 많이하긴 했어도 1저자보다는 덜했으면 2저자인거죠. 그걸 공동1저자로 올리는게 바로 올려치기라는겁니다...

2024.11.13

전 기여도 순서로 저자 순위 뒤집히는 경우를 본 적이 없네요 ㅋㅋ
가령 박사가 하던 연구에 석사 생이 join해서 같이 하는데 정작 아이디어나 결과는 죄다 석사가 낸 경우가 있다고 해봅시다.
연구실 분위기 상 그렇다고 석사 1년차한테 바로 1저자 주는 곳들은 많지 않고요. 보통 이럴 때 공 1저자로 주죠.

2023.03.06

저도 혼자4편썼는데if 8 6 6 8 선배후배졸업시킨다고 공동1저자 다들어옴;;; 노답... 도움1도안받은것도 2개나들어옴

2023.03.06

요즘 공동1저자 없으면 오히려 불이익 받는다고 본거 같은데? 인성문제 아닌가 하고
그리고 공동 1이랑 단독 1이랑 그렇게 무게감 차이가 있나? 그냥 좋은 논문이면 다 아닌가?

2023.03.07

뭔상관,,
본인도 그러고싶은데 못그래서 짜증난단 의미같네
귀여운 레온하르트 오일러*

2023.03.07

AI쪽에서도 공동 1저자로 논문 뽑아내는 연구실들 꽤 많음. 이런 연구실 보면 교수가 실적 필요해서 학생들에게 공동 1저자로 논문쓰라고 장려(강요)하는 케이스도 많음. 교수 입장에서는 본인 혼자 교신저자니까 공동1로 논문 찍어내는게 좋은데 학생 입장에서는 실적 반토막 나는 거니까 가스라이팅 당하는거임

대댓글 1개

2023.03.07

학생 두명이 각각 지도교수랑 단둘이 논문 한편 쓰는거보다 학생 두명과 지도교수가 논문 두편 쓰는 게 빠를 겁니다.

2023.03.07

근데 기업 연구소 기대는 버리세요. ㅋ

학교보다 더 불합리한 곳이에요. 가보시면 알겠지만 ㅋ

2023.03.07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더 빡치는 건,
본인이 공동1저자 앞에 갔을 때, equally contributed 교모하게 표시 안 하는 인간들 많음...
공동1저자 뒤에 있을 땐, 악착같이 표시함...

대댓글 1개

2023.03.07

심지어 공동1저자라고 순서 바꿔서 자기이름 맨앞에 올리는 사람도 봤습니다.

2023.09.07

아예 아무것도 하지 않고 1저자 다는 사람들도 엄청 많은 것 같아요. 이런 연구 윤리라곤 찾아볼 수 없는 상황에 환멸 느끼고 떠나는 사람들도 많은듯 하고요..

2024.02.07

님이 주1저자고 같은논문 공동1저자한테 그리 느끼는 거면 ㅇㅈ하는데, 님이랑 관련없는 논문에서 그냥 공동1저자라고 그러는 거면 그냥 시기심이라고 생각함

2024.08.02

오히려 요즘엔 단독으로 좋은 논문내기가 어렵습니다...
가령, 저는 재료쪽인데 재료개발과 소자 제작 동시에 하기에는 주어진 시간 동안 마무리하기에는 어려우니(장비 셋팅 한계도 크다봄) 각 파트가 명확하게 구분되어 오히려 빠르게 일 마무리가 됩니다.
물론, 글쓴이가 적은대로 자기 논문이 무슨 내용인지도 모르고 공1저자 가져간다면... 할말이없네요;; 지도교수 문제 일수도 있고...여튼 이해가 되지 않지만;;
재료분야는 오히려 "이 좋은 재료를 가지고 왜 다른 연구실과 협업하지 않았냐?" 또는 "더 좋은 재료가 있는데...소자 결과가 아쉽다" 식으로 이야기 나옵니다.

2024.11.13

난 반대로 석사 때 연구 주요 아이디어 다 내고 실험 다 해서 부사수지만 공동 1 저자 간신히 받아냄.

본인이 대부분 연구한 걸 공동 1저자 주는건 화날 상황이 맞고 그냥 넘어가면 안되는 일임이 분명함.
100점짜리인거 80점 되는거니까. 그런데 원래 2,3저자 포지션인 사람들이 공동 1저자 달라고 해도 반박 못 할 정도로
논문에 기여도 낮으면서 단독 1저자 가져가려고 하는건 염치 없는 이상한 욕심인거임

2025.06.14

공동1저자라는게 있는지 첨알았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