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같은 연구실의 연구를 도와 논문이 accpet 되었습니다. 그친구는 이론부분. 저는 실험부분을 담당하였습니다. 제가 쓴 양이 많지는 않지만(양으로는 논문의 10-20%) 저는 실험적 결과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공동1저자를 요구하려하는데 괜찮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3.03.19
아니요.. 많이 쓴사람이 1저자가 대체적으로 맞고, 실험보단 이론이 더 중요합니다.
대담한 존 케인즈*
2023.03.19
일반적으로 이론보다 실험이 더 중요한건 맞는데, 어떻게 하면 실험이 10-20% 밖에 안되죠? 그 말인즉슨 님 논문에서는 실험이 메인이 아니고 이론이 메인이라는 소리구요, 공동 1저자 주장 해 볼 순 있겠지만 잘 안될 것 같습니다. 애초에 님이 공동 1저자만큼 기여가 있었으면 교수가 먼저 제안했겠죠.
대댓글 1개
대담한 존 케인즈*
2023.03.19
방금 다시 읽었는데 accept 된 이후네요.. 그동안 뭐 하시다가 이제와서 1저자 주장하나요? 피치못할 사유 없으면 안바꿔줍니다.
IF : 5
2023.03.19
다음부터는 교수한테 미리미리 교통정리해달라고 하고 진행하세요..
2023.03.19
accept 된거 확인하고 나서 저자 달라고 하는거 정말 심각한 비매너입니다. "떨어지면 나몰라라 할 생각이었나?" 라는 생각이 당연히 들거든요. 다음부터는 그러지 마세요.
2023.03.19
양심없음?ㅋㅋㅋㅋ
재빠른 토마스 홉스*
2023.03.19
이래서 한국에서 나온 공동1저자 신뢰가 안감 요즘 한국산 논문 절반이상은 공1저자 달고나오더라
깔끔한 마르틴 하이데거작성자*
2023.03.19
6개월간 제가할일 버리고 도왔는데도 말도안되는건가요?
온화한 그레고어 멘델*
2023.03.19
시점이 잘못됨 논문 작성중에 또는 제출전에 authorship정리가 끝나야지 제출하고 accept 다 끝난시점에는 애초에 바꿀 수 없는 경우가 많음
대댓글 1개
깔끔한 마르틴 하이데거작성자*
2023.03.19
authorship 정리에 대해서 이야기해본적이없습니다. \ 실험을 해주었고막상하고나니 논문에 쓸 분량이 방대하지 않았었습니다.
쇠약한 버트런드 러셀*
2023.03.19
미리 얘기를 했어야죠;;
깔끔한 마르틴 하이데거작성자*
2023.03.19
최종 revision중인데 초안은 익명으로 제출이라 얘기할일이없었습니다...
대댓글 3개
2023.03.19
말도 안됨. 익명제출이라 어쩔수 없었다니. 저자 순서는 처음제출할때 모든 저자가 동의하고 출발해야 되는거임. 논문이 리젝되면 가만히 있을거였고, 막상 억셉되니까 1저자 욕심이 난다? 교수한테 한번 말해봐요. 어이없어 할겁니다. 님이 공동1저자 요구하려면 서브밋 전에 주장했어야 합니다. 징징대봤자 님만 이상해져요.
깔끔한 마르틴 하이데거작성자*
2023.03.20
그냥 암묵적 공동1저자라 생각했는데 모르겠네요
IF : 5
2023.03.21
암묵적 이런거 앞으로 사회생활엔 단 한 톨도 없는 개념이라고 생각하세요.
2023.03.21
Authorship은 어떻게든 서밋 직전에 마무리짓는게 일반적입니다. 상식적으로 본인 컨트리뷰션이 공동 1저만큼 크다면 대게는 코웍 협의단계에서 어느정도는 합의하고 (암묵적으로나마) 진행하는게 일반적이죠. 대게 공동 1저의 경우 한 팀이 빠지면 일 자체가 진행이 안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코워커 챙기는데 소홀한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코웍 협의당시에는 어영부영 넘어갈 수 있다고 쳐도 논문 제출 직전에 원고 같이 수정하지 않나요? 그땐 가만히 있다가 어섭되고나서 뒷북치면 받아줄 사람 거의 없어요. 저널 측에서도 사실상 어셉 이후는 저자수정이 상당히 어려워집니다. 그냥 코어서 추가하는것도 저자 모두의 동의를 얻어야하고, 이런 공동 1저나 교신 추가는 뭔가 소명하지 않으면 껄끄러워집니다. 저자측에서 잔길리가 없어요 실수가 아닌 이상에야
2023.03.21
Authorship은 어떻게든 서밋 직전에 마무리짓는게 일반적입니다. 상식적으로 본인 컨트리뷰션이 공동 1저만큼 크다면 대게는 코웍 협의단계에서 어느정도는 합의하고 (암묵적으로나마) 진행하는게 일반적이죠. 대게 공동 1저의 경우 한 팀이 빠지면 일 자체가 진행이 안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코워커 챙기는데 소홀한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코웍 협의당시에는 어영부영 넘어갈 수 있다고 쳐도 논문 제출 직전에 원고 같이 수정하지 않나요? 그땐 가만히 있다가 어섭되고나서 뒷북치면 받아줄 사람 거의 없어요. 저널 측에서도 사실상 어셉 이후는 저자수정이 상당히 어려워집니다. 그냥 코어서 추가하는것도 저자 모두의 동의를 얻어야하고, 이런 공동 1저나 교신 추가는 뭔가 소명하지 않으면 껄끄러워집니다. 저자측에서 잔길리가 없어요 실수가 아닌 이상에야
2023.03.19
2023.03.19
대댓글 1개
2023.03.19
2023.03.19
2023.03.19
2023.03.19
2023.03.19
2023.03.19
2023.03.19
대댓글 1개
2023.03.19
2023.03.19
2023.03.19
대댓글 3개
2023.03.19
2023.03.20
2023.03.21
2023.03.21
2023.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