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2025.09.30

11

604

몇 주째 휴일이 없으면 그게 이상하다고 생각하지 않나요?

대학원생은 기계나 노예가 아닙니다...

대학원생도 고장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5.09.30

연구는 무한경쟁 이니깐.... 중국 애들이 같은 아이디어로 논문 쓰기 전에 먼저 써야 하니깐...

2025.09.30

하기싫으면 하지마세요
본인 잘될라구 하는거아닌가;

2025.09.30

시간 지나서 생각해보면 남들 쉴 때 같이 쉬고 일할 때 적당히 같이 일한 사람들은 대체로 논문이 없더군요
어떻게든 시간을 만들어서 그 시간에 논문 쓴 사람이 결국엔 게재 단계까지 갑니다.
뭐 길게 말하기 쉽지 않지만 그걸 교수님도 아니깐 하는 말입니다

한국이라서 그런거 아니구요 외국도 똑같아요. 다만 다른 점은 외국에선 그런 말 안해줍니다.
연구 결과 없으면 알아서 다른 길 찾으라고는 하죠.

평소에 그냥 잔소리 듣고 뭐라도 더 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잔소리 없이 평온하게 있다가 결과 못내서 한방에 나가리 될래요?
뭐 선택은 본인의 마음입니다

2025.09.30

교수들도 그렇게 대학원을 나왔었기 때문. 그 당시에도 휴일 달라, 배째고 일요일에 노는 학생들이 있었음.
근데 아는거지. 내 제자가 성공하려면 휴일이란 개념이 없이 연구에만 미쳐야 한다는것을.
학계에서 성공하기 싫으면 남들 쉴때 쉬고 남들 잘때 자면 됨.

2025.09.30

저는 학생들한테 이렇게 말합니다.
‘일주일에 50-60시간 일하지 않아도 좋다.
워라벨 챙겨라.
대신 아카데미아에서 살아 암겠다는 욕심만 버려라.’

순수자연과학 분야라 아카데미아 (정출연 포함) 에 남지 않는다는 건 바로 인더스트리를 의미하는데 그게 그렇게 장밋빛은 아니라…

2025.09.30

솔직히말해서, 같은 대학원생입장에서 무슨말인지 이해는 감.
근데 결국 내 젊은시간 다 바쳐서 학위하는데 결과적으로 그걸 회수하려면 최소한 연구실적만큼은 남들보다 월등히 뛰어나야하는게 팩트라고 봄..
근데, 워라밸 지켜가면서 남들보다 연구실적 잘 내는사람들? 나는 거의 못 봄, 그게 가능한 사람들? 당연히 인정함.
교수의 의도가 정확히 어떤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내 주변은 확실히 밤낮 주말 가리지않고 열정을가지고 노력하는사람들이 실적이 압도적이긴함. 아마 그렇게 평생을 살아온 사람이니까 그러지않을까싶음.

2025.09.30

신기하네요. 아마 교수들도 그런랩에서 배워왔기 때문에 그런걸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카이스트 인기랩에서 학위를 받았지만, 우리랩은 전문연제외 출퇴근시간은 자유였습니다. 다만 본인일을 못해오면 그거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는 방식이였죠. 그 이후 저는 미국에서 포닥부터 이제 직장까지 자리를 잡았지만, 포닥했던곳이 탑스쿨이였음에도 거의 학생들은 랩에 잘 없었습니다.
저도 지금 동일하게 생각하고 그렇게 학생들 지도하려 하고 있고요.
놀라는건 아니지만, 박사과정 5-7년동안 매주 6-7일 갈아넣는것도 쉽지 않습니다. 워라벨이라는 말보다도 본인 밸런스를 잘 찾는것도 중요해요.
또한 엉덩이 붙이는 시간보다 훨씬중요한게 효율적으로 일을 하는것이고요.

2025.09.3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이 바닥에서 살아남으려면 어쩔 수 없어요. 지금 안하면 다른곳에서 논문 나옴

2025.09.30

전 휴일은 당연히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걸 쓰는건 학생의 몫이죠. 오히려 단기간에 훨씬 몰입해서 계획한 연구들 끝내고 리프레쉬 하고 다시 복귀하는게 효율성 좋다고 생각합니다.

2025.09.30

여러가지 복합적이고 정답이 없는문제라고 생각하는데요, 확실한건 학계가 경력 등에 있어서 약간 특이한 성격을 띄고 있어서 그런 것 같아요.
예컨데 회사에서 내가 5년을 무탈하게 보냈으면 이직시 5년이 경력이 되어 플러스 요소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학계에선 내가 포닥 5년을 무탈하게 (논문없이) 보냈다면 그건 실패가 됩니다. 결국 시간 갈아 넣어서 데이터 하나라도 더 만들고, 남들 놀때 논문 하나라도 더 써야한단 결론이 나옵니다.
전 지금 미국 빅가이랩에 포닥으로 나와있는데요(저희랩 포닥만 스무명이 넘습니다),
당연히 교수는 출퇴근 아예 신경 안쓰지만, 상당수가 야근/주말출근 합니다. 놀랍게도 인종도 상관 없어요 백인 흑인 아시안 인도 다 나와요. 본인이 급하니까 하는거죠.
교수님들은 아마 본인이 학계가 목표인 대학원생/포닥 시절을 겪은분들이 많을테니, 학생들도 동일한 목표로 연구한다 생각할 가능성이 있고, 그래서 당연한것처럼 생각하지않나… 그렇게 생각합니다.
당장 이번달 초에 저희 랩 다른 친구가 하던 연구와 비슷한 연구가 네이쳐에 나와버렸는데.. 교수님은 ‘더 속도 냈어야지’ 라고 하셔서 모두가 슬퍼했던 일이 있었네요

2025.09.30

전 교수는 아니고 주말근무였던 대학원시절을 보낸 박사입니다만. 2030때 주말 안쉰다고 몸이 망가지진 않아요. 그리고 연구개발은 휴식은 해야하지만 늘상 바쁘고 언제나 일이 많은법이에요. 연구는 쉬운것이 없어요. 새벽넘기는건 당연하고. 주7일 근무를 다연시하고 하라는것이 아니라 그런각오로 임해야합니다. 연구가 제시간에 딱 끝나는 법이 없거든요. 그리고 미국과 중국 연구자들은 주70시간의 강행군으로 임한다고해요. 자발적으로. Ai 시대인데도 중국식 996을 선호한다고해요. 그만큼 연구는 어렵고힘든 일입니다. 워라벨이 있을수없어요. 하다못해 의자앉아서 코딩하는일도 끝이없어요. 바이브코딩난리를치는데 오히려 밤샘작업을 한다는 사람들이 많아요. 시험해보고 테스트해볼것이 많아서. Ai시대일수록 워라벨따지지말고 더 열심히 해야하는건 맞습니다. 교수들은 이런사실을 잘알고 있어요. 세계연구자들이 어떻게 일하는지 알거든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