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미박 ai 컨택 스팩

2025.09.27

18

1072

미국 ai 연구실 top1~30 까지 컨택메일 돌리고 있는데 반응이 미지근하네요.. 중하위권 랩에서 답 3개정도 왔습니다. 그중 하나는 그냥 기계적이고요..

논문 실적은 neurips 2편 (한 편은 spotlight) 이고 둘다 공저자나 2저자 없이 단독1저자입니다. 이외에 단독1저자 논문 2편 리뷰중이고, 공저로 참여한 연구는 없습니다.

혼자 연구 진행할 능력은 충분히 증명했다고 생각했는데, 논문 수가 부족한가 싶네요. 어떻게 보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5.09.27

다른 정보도 같이 주시면 조언 드릴 수 있겠습니다.
박사과정 입학은 수능 성적 높은 순으로 대학 가는것과는 다릅니다.

2025.09.27

일단 대학원 입시는 정량으로 승부보는게 아닌데다가,
ai 학회 게재한건 정성적으로도 그 역량을 파악하기 어렵죠.
뭔가를 증명한게 아니라 이제 시작입니다.

neurips가 매년 4-5천개 페이퍼 억셉하지 않나요? 그 외 자칭 탑이라는 Ai 분야 학회가 5개도 넘고요. 분야별 ai 학회나 저널까지 넓히면 사실 몇십개됩니다. 만명 단위의 매년 쏟아져나오는 페이퍼에서 1저자에 박사가 대부분이라도 석사도 적지 않겠죠. 그 와중 공학박사 정말 많이 받는 uiuc gatech도 신입생 100명 남짓이고 대부분 20명 단위입니다. 거기서 Ai 분야 1-2저자 몇개 만든 지원자는 수두룩할겁니다.

그럼 단독1저자의 가치라도 알아주기라도 해야하는데, ai학회의 평균 페이퍼 수준과 리뷰가 개판인게 오늘 얘기도 아니죠. Neurips에서 심지어 학부생이 리뷰한다는 것도 밝혀졌고, 어느 학회는 ai로 써서 서브미션한게 통과한 것도 논란이 되기도했고요. 설령 “제대로“ 연구해도 박사학생들은 프로젝트 시작부터 페이퍼 뽑기까지 맘먹고 1-3달이면 된다고 들었습니다.

이 상황에서 학회 저자는 그동안의 노력은 증명해도 “단독 연구능력을 증명“한다기엔 택도 없는 소리입니다. 앞으로 추천서와 컨택, 미팅 및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으로 어필을 해야죠. T30까지만 컨택했다는데 거기서 중하위권 랩만 연락오는건 당연하다고 봅니다.

대댓글 2개

2025.09.30

1저자 4개인 사람한테 저런 소리하는건 AI박사 맞음? ㅋㅋㅋㅋ 박사 졸업해도 4/5개 들고 openai가는 사람 많은데 감이 없는듯

2025.09.30

더 붙일 말 없고 글쓴이한테 나중에 결과 물어보세요. 감이 누가 없을지.

2025.09.27

논문 실적이 좋다고 할 수는 있긴 하나 미국 박사가 수능처럼 논문 실적을 주르륵 랭킹 매겨서 박사 가는 것도 아니고.. 내가 우수한데 왜 안 뽑아줘? 라는 마인드로는 T30 교수님들한테는 우습지 않을까 싶네요. 그거보다는 나는 이런 우수한 학생이고, 해당 랩에 이러이러한 관심, 열정이 있다. 같이 일하고 싶다. 이런 마인드가 느껴지는 메일이어야 답장을 받지 않을까요?

대댓글 1개

2025.09.27

이번주까지 ICLR 기간이라서 교수님들이 바빠서 메일 답장을 못 받은걸수도 있구요

2025.09.27

미박 컨택은 의미가 딱히 없어요. 지원 마감 이후에 지원서 자체로 학생들 평가하면서 선발하는 교수가 훨씬 더 많습니다.

2025.09.27

미박 AI 박사중인데 이쪽은 컨택 잘 안 받습니다. 컨택 메일 자체가 하루에 수십통씩 옵니다. 보기는 하더라도 일일이 답장하는 교수는 거의 없어요.

대댓글 2개

2025.09.27

그렇군요.. 그러면 컨택과 입학이 상관성이 없는건가요? 아니면 희귀하게 컨택이 성사된 경우에만 입학이 되는 느낌일ㄲㅏ요?

2025.09.28

컨택이 중요하다는 한국식 마인드셋 좀 버리세요 진짜 답답하네 맥스웰이 친절하게 알려줘도 왜 알아듣지를 못하니

2025.09.2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미국 박사 입시는 논문 실적만 보는게 아니고, 학부가 어딘지, 학점이 몇인지, 무슨 수업을 들었는지 다봅니다...

2025.09.27

저도 탑 학회 논문 두장에 공저자 두장들고 그냥 무대뽀로 컨택없이 지원했는데 top20 하나에서 간신히 억셉받았네요.. 아마 그정도 논문실적이면 결국 가긴갈텐데 아주좋은 학교는(top10 이내?) 못가실수도있어요. 참고로 전 인터뷰에서 t20보다 낮은학교에서도 많이떨어졌습니다 ㅋㅋ

대댓글 1개

2025.09.28

글고 제가있는 학교(10-20위) 중국인들 보면 들어올때부터 탑티어 평균 2편씩은 있는거같고 citation도 몇백씩 하더라고요; 그리고 학교도 대부분 들어본 좋은 대학이고요. 코호트 절반은 중국인이라고 보면 됩니다. 요즘 심지어 펀딩컷때매 ut austin같은곳은 2025년에 어드미션 30% 줄였고 아마 다들비슷할거에요. 올해는 그래도 럼프가 좀 복구해줘서 정상화될지모르겠지마는 여튼 이바닥 스펙 인플레가 장난이 아니니 감안하시고, 리서치 핏이 중요합니다

2025.09.28

Top4 티오있음 쌉가능

2025.09.30

컨택하기엔 아직 조금 이른 것 같아요. 학기 초반에는 교수님들이 많이 바쁘시기도 하고, 게다가 펀딩도 많이 줄어서 티오가 많지 않은 것 같아요.

그리고 요즘은 실적도 중요하지만, 핏이 더 중요한 것 같아요.

그래도 1저자 4편에 뉴립스 스포트라이트까지 있으시면 충분히 탑 20 박사 프로그램에 가실 수 있을 거예요. 사실 한 편만 있어도 버클리/스탠 가는 분들이 있거든요 ㅋㅋ 왠만한 박사보다 열심 사셨는데 준비 마무리 잘하시고 잘되시길 바래요.

대댓글 1개

2025.09.30

ㄹㅇ 전 주저자 한장도 없이 옴 ㅋㅋ

IF : 1

2025.09.30

혼자 연구 할 능력이 그렇게 뛰어나다면 왜 굳이 미박 랩실에 들어가려고 하시는지.. 연구를 하려면 문제를 정의하고 스스로 답을 찾는 능력이 중요한것인데 원글 질문엔 그런 고민의 흔적이 안보이네요.

2025.10.23

미국은 특히 cs는 컨택 크게 의미 없습니다. mit 같은 곳들은 교수들이 직접 뽑아가기는 하는데 다른 곳들은 거의 다 어드미션 커미티에서 결정하고 어드미션 받은 다음에 뽑아가는 구조에요. 특히 스탠포드 같이 3군데 로테이션 돌리는 곳은 더욱더 의미 없고요 neurips 2편이면 top10 안쪽도 노려볼 수 있을 것 같긴 한데 여기부터는 운의 영역이고 잘되시길 바래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