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SK에 비해서 선호도가 좀 떨어지긴 하지만 P는 여전히 명실상부한 최고의 공대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사람이 적고 지방에 있다는 이유로 일부 타대 훌리들이 내려치기하기 딱 좋은 타겟인거죠.
무슨 별 의미도 없는 대학 랭킹 같은거 들이밀면서 뭐라 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연구 수준과 성과, 학생 지원 등은 의심할 여지 없이 최고 수준입니다.
P는 이제 별로인가요...?
36 - 탄탄한 허리층이 받쳐줘야 되는건 당연하죠. 그런데 무시하는게 아니라, 혁신은 기업 톱니바퀴로서 묵묵히 일하는 직장인들이 하기 어렵습니다.
새로운 기술을 활용해 시장을 새로 만들고, 해외와 기술력으로 경쟁하는건 결국 한두명의 우수한 인재들 중심으로 돌아갑니다.
해외에서도 탐낼만한 박사급 인력의 경우, 한국인 인재가 1년에 몇명 배출 안됩니다. 인공지능분야 국내박사 졸업생이 최근에 많아졌지만, 그 중에서 우수한 국박은 몇 안되는데 잘한다고 소문난 사람은 거의 미국으로 갑니다. 결국 남는 사람이 없어요.
나머지 괜찮은 인재들도... 기술력 바탕의 스타트업 창업등으로 새로운 시도를 해야되는데, 그냥 국내 대기업 들어가서 평범한 직장인으로서 대기업의 부품이 되고 맙니다. 미국과 중국처럼 우수 인재들을 바탕으로 기술중심의 신시장 창출은 잘 안됩니다.
이게 무슨말이냐면, 지금 우리나라 학생들 지원 프로그램이 이미 탄탄한 허리층 두텁게 하는데 많은 역할을 하는데 그치고 있고, 혁신을 해 줄 수 있는 특출난 한두명은 잘 키워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최근 인공지능 중심의 산업은, 더더욱 소수의 천재들이 주도합니다 .괜히 메타가 최근 천문학적 금액으로 인재 영입을 하는게 아니에요.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34 - 허리를 무시한다기보단
나라전체가 엘리트를 무시하고있죠.
돈도 비슷하게 줘야하고, 잘났다고말하면 돌맞고
근데 혁신은 그 소수의엘리트가 만드는것인데 그게안되고 누군가가 혁신일으켜주길 기다리는 소위 일잘하고 말잘듣는 허리만 너무많죠.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29 - 지나가다 재밌어서 남겨봅니다.
최상위권 인재보다 허리 즉 다수의 우수한 박사 인재들도 더 대우해줘야 한다는 의미일까요?
아시는지는 모르겠으나 우리나라 대부분의 대기업에서도 같은 박사라해도 핵심인재로 분류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심지어 작성자님이 말하는 최상위권 인재는 입사 전부터 인사팀이 핵심인재 풀에서 정리하고 주기적으로 컨택하고 연봉도 훨씬 후하게 줍니다.
최상위권 인재는 왜 최상위권 인재로 분류될까요? 바로 리더 역할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분야의 전문성, 경험, 실적, 커리어 등 누구나 인정하고 결정을 따를 수 있다는 점에서요. 크게보면 상위권 박사들도 할줄 알고 쌓아갈 수 있지만, 결국 누구나 납득할만한 사람이 되는 것은 천지차이입니다. 그 차이를 알면 핀트를 바꾸는게 쉽지 않다는 것을 아실겁니다.
저는 산업을 이끌고 있는 수많은 상위권 우수 박사들이 최상위권 인재가 되기 위해 안주하지 않고 노력해야 인정받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최상위권 인재로 핀트가 맞춰져있는 것은 그들이 그만한 노력으로 그 자리에 있고, 역사로도 서수 엘리트들의 중요성이 검증됐으니까요.
어떤 조직이든 태양은 하나입니다. 누군가는 태양이 되려고 노력하는 사람이 있고 누군가는 자긴의 농작물을 빨리 자라게해달라고 열심히 해가 비추기만 바라고 있는 사람들이 있죠.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18 - 별점이랑 평가시스템이 쫄삭튀 당한 이후로 이미 인터넷 망령 사이트죠 ㅋㅋ 아직 대체제가 없어서 있을뿐, 김박사넷 초심 챙긴 비슷한 커뮤니티가 생기면 스스로 없어질 겁니다.
김박사넷, ‘연구자 커뮤니티’라는 정체성을 잃고 있습니다
16 - 솔직히 이해 안됩니다
다른 사람 사귀면 될 것이고
대학원에서 배운 걸로 밥벌이 하는데 집중 안되네 어쩌네 하는 게 이해 안되요
선생님께서 어느 급까지 갈지 모르나 돈벌려면 집중해야하지 않을까 합니다
연구 집중에 관하여 조언 부탁드립니다.
12 - 솔직히 그런 랩실 추천하지않음
원래 연구실이 이런건가요?
12 - 대기업 다닐 사람이면 인증이 되었나보죠..
친구 학점 3.5인데 서울대 컨택이 되었다던데 거짓말..?
13 - 님 애새끼같다는 뜻이요
친구 학점 3.5인데 서울대 컨택이 되었다던데 거짓말..?
31 - 교수님께서 신고를 많이 당하셨네요...
폐급 대학원생 특징 정리
13 - 대학원은 배우는 곳이 아니라 스스로 깨우치는 곳임
폐급 대학원생 특징 정리
15 - 배워서 깨우치라고 교수가 있는 거 아님? ㅋㅋㅋ 깨우치기만 하는 곳이면 교수는 왜 있음? 애들 실적 빨아먹으려고?
폐급 대학원생 특징 정리
20 - 11. 본인이 정해놓은 기준에 안맞으면 그 사람은 폐급이라생각하고 커뮤니티에 그 기준들을 올려서 공감받고 싶어한다
폐급 대학원생 특징 정리
16
논문 읽고 정리하는 팁
2023.06.10

특히 처음 논문 읽으시는 분들에게 유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는 공학계열인데, 다른 쪽은 잘 모르겠습니다~
참고만 하세요!
다들 여름방학에 고생 많으십니다! 화이팅입니다!
(1) what is new in the work
(2) why is the work important
(3) what is the literature gap
(4) how is the gap filled
(5) what is achieved with the new method
(6) what data are used
(7) what are the limitations.
-
54 5 17086
신입 석사생들을 위한 논문 읽는 꿀팁 김GPT 28 6 28013
논문읽기 김GPT 4 4 3921
논문 정리 어떻게 하나요? 김GPT 0 8 1356
하루에 한 편씩 논문 읽고 정리 김GPT 16 15 9951-
0 4 3055 -
6 2 2221 -
51 9 5924
논문 잘 쓰는 법 김GPT 4 12 3782
무엇인가를 관두고 싶어하는 분에게 명예의전당 227 23 61341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명예의전당 271 11 56006
나때문에 엄마가 포기한 것들 명예의전당 155 23 2207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근데 학계 있다보면 진짜 썩었다는 생각 안드냐?
49 - 대학원생들 98년생정도까진 대개 열심히 하는데 왜
75 - 석사 월150.. 이거받고 대학원생활하는게 현타 ㄹㅇ
33 - 랩 차이가 아니라 대학 차이는 실존합니다
71 - 대한민국 학계가 답이 없는 이유
22 - [속보] AI 입학정원 증원 빔 ㅋㅋㅋㅋㅋ.jpg
70 - 수학자가 되고 싶은 아이, 학교선택
13 - 무능력한 저에 대해서 생각할 때마다 힘듭니다.
13 - P는 이제 별로인가요...?
22 -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61 - P에서 공부할 수 있는게 너무 감사한 요즘입니다.
28 - AI 스타펠로우십 선정 대학 목록
13 - 연구 집중에 관하여 조언 부탁드립니다.
3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스윗한 척 하는 남자 교수님 특징
26 -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21 - 김박사넷, ‘연구자 커뮤니티’라는 정체성을 잃고 있습니다
16 - YK 파트박사 불합격..... 요즘 박사 진학 많이 하나요?
10 - 앙대 0년차 석사 생활 간략한 후기
8 - 연구환경이 좋은게 꼭 실적으로 이어질까?
11 - 회사다니다가 대학원 진학하려는데 교수님이 좋아하시려나요
14 - 포스텍 ㅅㅈㅇ 교수님
7 - 원래 연구실이 이런건가요?
12 - 친구 학점 3.5인데 서울대 컨택이 되었다던데 거짓말..?
15 - 폐급 대학원생 특징 정리
16 - 대학원 온게 잘못된 선택이었나 싶음
11 - 학부 인턴 잘라버릴까요
10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재수로 풀펀딩 합격 "시험 점수는 그대로, 나만 바꿨다"
7 - 근데 학계 있다보면 진짜 썩었다는 생각 안드냐?
49 - 석사 월150.. 이거받고 대학원생활하는게 현타 ㄹㅇ
33 - 랩 차이가 아니라 대학 차이는 실존합니다
71 - 대한민국 학계가 답이 없는 이유
22 - [속보] AI 입학정원 증원 빔 ㅋㅋㅋㅋㅋ.jpg
70 - 수학자가 되고 싶은 아이, 학교선택
13 - 무능력한 저에 대해서 생각할 때마다 힘듭니다.
13 - P는 이제 별로인가요...?
22 -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61 - P에서 공부할 수 있는게 너무 감사한 요즘입니다.
28 - AI 스타펠로우십 선정 대학 목록
13 - 연구 집중에 관하여 조언 부탁드립니다.
3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트럼프 시대, 미국 석박사 유학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생존 전략
90 -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21 - 김박사넷, ‘연구자 커뮤니티’라는 정체성을 잃고 있습니다
16 - YK 파트박사 불합격..... 요즘 박사 진학 많이 하나요?
10 - 앙대 0년차 석사 생활 간략한 후기
8 - 연구환경이 좋은게 꼭 실적으로 이어질까?
11 - 회사다니다가 대학원 진학하려는데 교수님이 좋아하시려나요
14 - 포스텍 ㅅㅈㅇ 교수님
7 - 원래 연구실이 이런건가요?
12 - 친구 학점 3.5인데 서울대 컨택이 되었다던데 거짓말..?
15 - 폐급 대학원생 특징 정리
16 - 대학원 온게 잘못된 선택이었나 싶음
11 - 학부 인턴 잘라버릴까요
10
2023.06.10
2023.06.10
2023.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