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1년 전쯤 다른 연구실에서 주제를 가져와 저희 연구실과 공동연구를 제안하였고 그 학생으로 제가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처음에 이야기 할 때는 다른 연구실의 학부생이 물질 파트를 맡고 제가 소자 파트를 맡아 공동1저자로 논문을 작성해서 투고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래서 저는 6개월에 걸쳐 제 파트의 데이터와 분석을 모두 완성하였는데 그 학부생이 바쁘고 알바도 하고 실험에 경향성이 나타나지 않아 데이터를 계속 기다리다가 무작정 기다릴 수는 없어서 제가 저희 교수님 허락하에 물질 파트의 아이디어를 디벨롭 시켜서 데이터 및 분석을 모두 완료하였습니다.
그래서 제가 논문 작성을 모두 완성하고 최근에 저희 교수님과 상의를 하였는데 저희 교수님은 그 학부생이 데이터를 한개라도 가져왔으니 공동1저자를 주자는 입장이십니다.
이와 반대로 저희 연구실 선배님들은 제가 데이터를 다 뽑고 작성까지 하였는데 그 학부생은 이 연구에 대해서 제대로 아는바가 없어 주면 안된다는 입장입니다..
교수님께서 공동1저자 주자고 하시긴 하셨지만 제 선택에 맡기겠다고 하신 상황입니다.
다들 어떻게 생각하시는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ㅜ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3.10.21
처음에 어떻게 하기로 했다는 것은 정치적인 문제이고, 논문의 저자 최종 결정은 학문적 기여의 영역입니다.
단독 1저자로 결정하는 것에 대한 정치적 부담이 치명적이지 않다면 강행해도 될 것 같아요.
대댓글 1개
2023.10.21
누가 무엇을 강행하나요?
2023.10.2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니 연구 주제를 다른 렙에서 가져온거면 당연히 그쪽도 공동1저자로 드가야되는거 아님??
대댓글 2개
2023.10.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이건 뭔 개소리임. 기여한만큼 들어가야지. 그럼 그쪽 랩 이름을 사사에 넣던가 왜 아무것도 안한 학부생을 1저자를 넣냐?
2023.10.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뭘래 주제 선정하고 아이디어 제공자 이름 안 넣는게 무슨 말도 안되는 소리임. 그럼 누가 공동연구 하자고 함ㅉ
부지런한 에르빈 슈뢰딩거*
2023.10.21
공1이든 단독1이든 어차피 맨 앞이라면 석사한테는 크게 중요치 않습니다.
물론 억울한 마음은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저 또한 비슷한 일들을 숱하게 경험했기 때문에요.
말해주고 싶은 바는, 시야를 좁게 보지 마시고 넓게 보세요. 지금 당장은 억울하고 짜증나지만, 너그럽게 양보 할 줄도 알아야 하는게 현실이더라구요
대댓글 3개
2023.10.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자기 손해 문제가 아니라 연구 윤리 문제입니다.
2023.10.22
중요하지않기는... 일부러 저걸 노리고 능력도 없는 학부생 끼여넣기 하려고 한걸수도 있지?! 바빴네 어쩌네 하면서... 첨에 같이 나눠서 논문까지 반반 쓰기로 한건 꼼수고!
부지런한 에르빈 슈뢰딩거*
2023.10.22
아직 현실을 경험하지 못한 대학원생들이 많군...
본문에서 다른 연구실에서 주제를 가져왔다 했지않니?
A to Z 까지 작성자 연구실에서 설계하고 마친거라면 공1 넣을 명분이 없지. 그런데 그게 아니잖니..?
아무리 작성자가 결국에 다 했다해도, 그 주제자체가 없었다면 작성자가 했을 수 있을까?
연구윤리 문제? 그대들은 현생을 살면서 윤리를 100% 다 지키면서 사는가?
2023.10.21
Authorship은 스스로 만들기도 하나 주로 지도교수에의하여 기회를 얻게 됩니다. 학생이 결정할 영역이 아닙니다.
대댓글 2개
2023.10.22
무슨 이유로 그래야하나요? 그럼 그 윤리위반 지도교수를 신고하면 딱이겠네여 ^^ 익명으로
2023.10.2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지도교수가 결정 하는거 맞고 공자는 초딩임???
2023.10.22
좀 애매한데요. 같은 랩에서 교수님이 제안한 주제면 일 한 대로 편하게 결정해도 되는데, 랩 간 코웍이고 주제를 그 쪽에서 처음에 가져왔는데 막판에 일 적게 했다고 공1을 안 주면 그 랩에서 어떻게 생각할 지 모르겠네요. 그 쪽 교수님과도 이야기가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랩 간 코웍의 경우 일의 양이 차이가 나도 공1로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금같은 상황에서 단독1로 가려면 중간중간에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컴플레인하고 해서, 그쪽 교수도 그 학생이 일 거의 안했다는 상황을 100% 수용하는 상황이어야 문제가 없습니다. 교신저자인 랩 교수님들끼리 합의해야 할 상황인 것 같네요.
2023.10.21
대댓글 1개
2023.10.21
2023.10.21
대댓글 2개
2023.10.21
2023.10.22
2023.10.21
대댓글 3개
2023.10.21
2023.10.22
2023.10.22
2023.10.21
대댓글 2개
2023.10.22
2023.10.22
2023.10.22
2023.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