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곰곰히 생각해보면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중에 딱히 인생에 도움이 되는 얘기가 없음.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의 핵심은 언제나 "어차피 안될거 해서 뭐함?" 이었음.
재능론자들 허구한날 남이 하는 노력 무시하고 바보취급하면서 지혼자 세상 깨우친척은 다하는데, 결국 그런 마인드에 발목 붙잡히는걸 무수히 많이 봄.
정말 죽기 일보 직전까지 갈 정도로 피나는 노력을 했음에도 재능앞에 무너져 본 사람이 재능론을 설파한다면 안따깝고 귀감이 되는 조언으로써 귀담아 듣겠으나, 주변의 재능론자들 100%는 노력하지 않음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고 그런 자신에게 면죄부를 주고자 재능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이었음.
재능이 있냐없냐는 내가 노력을 할지말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아님. 설사 재능이 없어서 쏟은 노력대비 남들보다 효율이 안나와도, 조금씩이라도 발전하는 나 자신을 위해 노력을 쏟는거임. 노력하는 내가 있는 그곳에 발전하는 내가 존재한다는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노력의 당위가 성립하는거임.
노력이라는 행위를 부정하는 사람들은 타인은 물론 자기 자신조차도 사랑할 줄 모르는 것임.
재능과 노력중 어느 쪽이 중요한가?
32
- 기왕하시는거 생물학까지 삼중전공 하시는게 어떨까요?
이 시대의 진정한 자연철학자에 도전해 보시는것도 낭만이 있고 멋질것 같습니다!
그것이 대학의 의미가 많이 변질된 오늘날 대학진학의 취지를 가장 잘 살리는 길인것 같기도 하네요. :)
물리학이랑 화학 복수전공 어떤가요?
23
- 당연히 교수가 쓴 글이 아니겠지만
이러한 사람은 교수를 하면 안됨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5
- 논문지도는 교수 능력입니다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1
- 본인은 이런말 하면 본인스스로 엄청 능동적으로 잘하고 있다 생각하시는거죠?? 아마 그런 지도교수한테 지도를 받고있겠고요. 본인이 그런 환경에서 크면 그렇게 느끼는 겁니다. 지도교수가 과제수주만 해줫는데 본인이 연구흐름과 논문작성 잘해서 빅페이퍼 뚝딱 쓸 인재면 본인이 훌륭한겁니다.
흔하게 자녀를 보면 부모를 볼수있다 하잖아요. 그만큼 지도교수한테 영향을 많이받는게 학생들입니다. 인자하고 연구윤리 철저하고, 시간내줘서 연구미팅 꾸준히 하는 교수밑에서 배운사람은 그렇게 하게됩니다. 저또한 운좋게 그런교수와 포닥PI를 만낫고, 현 제자들에게는 그렇게 해주려고 하고요.
뭐가 더 좋은지는 모르고, spk만 되도 학생들 스스로도 충분히 잘할수있다 생각하지만, 연구흐름 잡거나 논문 쓰는 흐름 잡는것은 교수도움 받는것이 좋습니다.
해외 유수대학들은 잘하는 포닥들이 준PI급으로 잇기에 포닥과 같이 연구해서 논문쓰는게 가능하지만, 국내에서는 선배라해도 박사과정 n년차인데, 그때는 본인도 경험부족으로 잘 모르는 상황에서 괜한 연구흐름 잡아주는게 맞을까 싶네요.
스스로 실패와 좌절 해가면서 배우는게 연구다라고 생각하시면 그런 삶을 사시는건 본인 자유입니다. 다만 그것만이 맞다 라고 우기는건.. 너무 근시안적인 사고방식 같네요 ㅎㅎ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19
좋소 미국 공대 교수 질문 받습니다
2023.05.31
36
5795

실패한 케이스들은 잘 안 올라 와서 후배님들 반면교사로 삼으시라고
제 실패담을 나눠보려 합니다.
먼저 배경 설명을 하자면...
학부 때 1-2학년은 그냥 놀았고 3-4학년에 열심히 해서
학점은 올렸으나 서울대 대학원 떨어지고 그 보다 조금
혹은 넘사벽 아래 국내 대학원은 합격 했으나 미국 온 케이스.
석사이지만 TA 제공하는 시골 주립으로 대도시 순위권 사립 대학을
버리고 진학. 워낙 시골이고 순위도 순위라 석사 후 나름 괜찮은 학교로 박사 진학.
나름 괜찮다는 표현이 주관적이긴 한데 나 빼고 동기나 후배들은
한국에 가서 교수도 턱턱 잘 되고 미국서도 탑 5 학교 교수도 되었으니
객관적으로도 괜찮은 편이긴 한 듯.
박사 때 퍼포먼스는...
중간에 지도교수 바꾸는 통에 1년 자비로 다님.
지도교수 바꾸는 바람에 TA하던거 날라감.
수업은 남들은 다 A만 받는다는데 B도 세네개 있음
동기들중 페이퍼 수로는 많이 쓴 편인데 1, 2등과 차이가 심함.
1등이 박사 때 네이처, 사이언스등 (우리 과에서 여기 내는 사람 거의 없음) 몇개씩 냄.
그래도 박사 논문상이랑 자잘한 연구 우수상들 좀 받고 졸업.
박사 후에는...
박사 말년, 심지어 포닥 때까지 교수를 할지, 연구원을 할지,
회사를 갈지, 미국에 남을지 한국에 갈지.. 갈팡질팡 하다
미국 교수, 한국 대기업, 한국 연구소, 미국 대기업, 미국 연구소등등
그냥 아무 생각 없이 인터뷰 했고 포닥 도중 가족이 불어나서
미국 대기업과, 한국 대기업, 그리고 좋소 주립대 고민하다
좋소 주립대 옴. 좋소라 하는 이유는 박사 과정이 없음.
임용 후...
박사 때 포닥 때 하던 연구들이 결과가 잘 나와서
연구는 아무것도 안 했지만 테뉴어 잘 받음.
이 때 힘 받아서 더 하고 다른 학교로 옮겼어야 했음.
현재 삶은.. 저기 아래 교수님과 비교하면
- 거주 도시 인프라 중.
H마트가 한시간 넘게 걸림
코스트코 10분
병원들 가까움
공항 1시간 30분
- 워라벨 상
박사 때보다 지금이 훨씬 편함
- 행복도 중
도전이 없으니 심심함
삶의 의미를 억지로 찾아야 함
- 직업 환경 하
연구환경이랄게 딱히 없음
그래도 펀드 따서 연구하는 교수들 있음
동료들중에 하바드, 버클리, MIT 박사들 있음
반면에 저 바닥 랭킹 대학 출신들도 있음
교수들 학력 편차가 심함
- 임금 상
본봉은 별로임
계절학기로 본봉의 50%만큼 범
워크샵 들으면 돈 줌, 한시간에 100불에서 500불정도
학생들하고 연구 지도하라고 연구 지도비 나옴 한 학기 2천불 정도
집 중위값이 40만 중반인데 일년 총 수입이 20만 정도, 따로 연구 펀드 없음
- 복지 상
연금 잘 되어 있음
보험 잘 되어 있음
주립인데 주정부 지원이 잘 됨
- 자식 교육 하
시골 도시라 교육 시스템이 별로
한인이 없고 아시안이 적어 부모들 교육열이 없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그냥 한국서 대학원 가서 대기업 갔으면 성공한 인생이었을 것을 생각 합니다.
그래도 퀄 떨어지거나 해서 한국 돌아간 것은 아니니 그나마 다행인가 생각하기도 하지만
퀄 떨어지고 스타트업 차려 엑시트 한 선배들도 있으니 뭐.. 인생은 모르는거지요.
대학원은 신중히 진학 생각하라 얘기해 주고 싶고 특히 유학은 더욱 신중히 결정 하는게 낫겠지요.
한국에 돌아갈 생각이라면 그거에 맞게 준비도 잘 하셔야 하고요.
** 추가
댓글보다 생각나서 추가 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 인데 이뤄내는 분들 정말 존경합니다.
이런 좋소 대학에서 테뉴어 받고 풀까지 다 간 선배님들이 애들 대학 가고 이제 삶의 여유가 생기니
연구 대학 조교수로 다시 시작하는 케이스를 가끔 보곤 합니다.
정말 그 분들의 열정과 노력에 박수를 보내지 않을 수 없습니다.
돈은 잘 벌리고 일은 쉽고 생활은 안정 되었는데 다시 피 터지는 그런 상황으로 돌아가는거
쉽지 않은 일이죠.. 그리고 무엇보다 나이가 들어 체력이 예전 같지 않네요.
이제 슬슬 노안이 오려 하는데.. 육체적으로도 늙어가는게 실감이 나서 새로운 도전이 쉽지 않네요.
그래서 본인의 성격을 잘 아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래야 너무 늦기 전에 올바른 판단, 자기한테 맞는 판단을 할 수 있죠.
특히, 가족이 생기면 신경 써야 할 일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납니다.
애들 정서적인 문제, 한국어 문제, 그리고 그동안 잊고 살았던 시댁, 친정 문제..
정말 인생은 타이밍입니다.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260
43
84374
-
19
17
8643
김GPT
한국교수의 단상38
50
5865
김GPT
미국 학교 한국 교수0
2
3398
김GPT
미국에서 유학하는 내 친구19
6
4843
-
52
16
16185
-
14
3
7248
김GPT
대학원 다니면서 알게된 것16
17
8402
김GPT
대학원 생활에서 깨달은 것들51
8
10066
명예의전당
인과관계 영어표현 정리215
21
37839
-
35
9
12150
명예의전당
미국빅테크 vs 인서울교수16
77
22459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3.05.31
2023.05.31
대댓글 1개
2023.05.31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