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올라오는 주제라는건 알지만 막상 제가 선택해야하는 상황이 올라오니 너무 고민입니다. 선배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지방대 출신이며 대학원 진학을 앞두고있습니다. 감사하게도 ist 대학원과 spk 대학원에서 좋게 봐주셔서 제 선택에 따라 입학이 정해지는 상황입니다. 먼저 spk 연구실은 30명 이상의 대규모 공장 느낌의 연구실 이고 ist 대학원은 10명 내외의 교수님이 직접 지도하시는 연구실입니다. (교수님 인성은 두 연구실 다 좋은거같습니다) 간판만 보면 spk 연구실은 선택하고 싶지만 ist 연구실은 학과에서 top수준 실적의 연구실이며 종종 ncs 본지에도 논문을 올리시고 뉴스에도 나오싶니다. 그러나 spk 연구실은 ncs 수준의 논문은 없는 적당한 연구실입니다. 먼저 경험해본 선배님들의 입장에서 어떤 선택을 할지 궁금합니다. 추가로 통합과정으로 진학 예정입니다. (spk 박사 출신들은 기업에서 따로 관리한다는 글을 본거같은데 사실인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5.05.05
와고민되시겟어요
2025.05.05
저는 대학원은 학벌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박사학위는 말 그대로 스스로 연구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보여주는 학력이며, 우리나라에서 학벌은 어디까지나 학부에 국한된다고 봅니다. 다만, 학부가 다소 낮으나 좋은 대학원에서 양질의 실적을 다수 뽑아낸다면, 그 실력을 모두에게 인정받아 다양한 선택지를 가진 연구자가 될 수 있겠지요. 오히려, 학벌이 별로임에도 최선을 다해 최상워권 레벨과 경쟁하여 쟁취했다는 측면에서 좋게 평가하는 사람들도 많을 것입니다.
그렇기에 저는 대학원 진학에 있어 너무 간판만을 쫓지는 않으셨으면 합니다. 말씀하신대로 ist 대학원에서 월등히 좋은 실적을 뽑아내기 훨씬 유리한 상황이라면, ist 대학원에 진학하여 실적을 만들고 그 이후를 준비하는 것이 더 유리한 선택일 수 있습니다. 다만 spk 대학원에 진학하려는 분야가 본인의 흥미에 맞고, 본인의 노력에 따라 충분히 좋은 실적을 뽑아낼 수 있어 보인다면, spk 진학이 더 추천되겠지요. 연구분야에 대한 흥미, spk 연구실의 자대생 비율, 본인의 동기부여 등을 고려하여 좋은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spk박사의 기업 내 대우를 물어보셨는데, 박사급 채용의 경우 spk 세 학교만 대상으로 설명회를 진행하는 일부 기업 및 직렬들이 있습니다. 다만 그런 기업들은 채용 시 단순 박사학위 뿐 아니라 학부도 같이 반영합니다. spk출신만 따로 대우할 회사라면 학부도 spk여야만 그 혜택을 온전히 받는게 가능할겁니다.
2025.05.05
Ist 대학원에서 좋은 교수라면 거기도 좋다고 봅니다. 거기에서 spk로 이직하실 가능성도 커 보이네요. 하고싶은 걸 쫓아가는 게 제일 중요하다고 봅니다
2025.05.05
2025.05.05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