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컴퓨터비전 물박사 커트라인

2022.12.20

54

9019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4개

2022.12.20

너가 해봐라

대댓글 1개

2022.12.20

3개까지밖에 못해서 물박사됨 대림동간다 ㅅㄱ

2022.12.20

대림동은 너나 가라

대댓글 1개

2022.12.20

5개 있으신가보네요 부럽습니다
부지런한 앙투안 라부아지에*

2022.12.20

학교 어딘데

대댓글 5개

2022.12.20

skp
부지런한 앙투안 라부아지에*

2022.12.20

나처럼 유학오지그랫엉 ㅠ 삼엘 와달라고 학교와서 똥꼬쇼하는데
후회하는 존 스튜어트 밀*

2022.12.20

리크루팅 다니면서 지원해달라고 이것저것 뿌리는거지 무조건 뽑아준다고 한거 아니자너.. 걍 실적 괜찮으면 해박이든 국박이든 삼전에서 모셔감

2022.12.20

국박 탑티어 5개 = 해박 탑티어 3개정도 봄
부지런한 앙투안 라부아지에*

2022.12.20

한잔할땨 어차피 여러분 지원 많이 안하실거 아는데 하면 진짜 잘해줄게요 라던데 ㅋㅋ 난 cv 아님
나른한 갈릴레오 갈릴레이*

2022.12.20

오럴 3개면요?

대댓글 1개

2022.12.20

ㅈㄴ잘했지 포스터 열개정도로 쳐준다
후회하는 존 스튜어트 밀*

2022.12.20

박사과정이 1년에 1티어 1~2개 쓰면 잘 했다 소리 들을걸? 연구직 기준이 대기업이면 높게잡은 듯 하고 포닥에서 실적 좀 더 내서 교수직 노리는 사람이면 현실성 있을듯?

대댓글 4개

2022.12.20

몇년만지나면 대기업도못가게될듯
석사1년차도 탑티어쓰는 세상인데
후회하는 존 스튜어트 밀*

2022.12.20

음... skp중 하나인데 그 사람 왜 누군지 알것같냐.. 얼마전에 나도 그 소식 듣긴 함. 그 사람이 잘하는거지 그 연구실 사람들 전부가 그런건 아니자너

2022.12.20

박사로 1년에 1개쓰는거면 이분야에서는 그냥 연구안하고 노는수준 아님? 일년에 섭밋을 못해도 세개는 하는데
후회하는 존 스튜어트 밀*

2022.12.20

탑티어에 넣었다가 리젝되는 것들은 좀 낮춰서 넣고 몇개는 엮어서 저널도 노려보기도하구요. 1개만 쓰면 노는거죠

2022.12.20

잘몰라서 그런데 Ar/vr도 고이다못해 썩은 컴비 도메인에 속함?

대댓글 1개

2022.12.20

그래도 살짝 덜썩긴했음 그래도 금방금방 고여서 썩어넘쳐흐르게 될거니까 할꺼면 빨리

2022.12.20

비전이나 AI 쪽 그렇게 논문 많이 나옴? 시스템 쪽인데 탑티어 3개면 미국교수할듯

대댓글 1개

2022.12.21

일년에 다섯 여섯개 내는사람들도 넘쳐남

IF : 1

2022.12.20

구라치고 앉았네

대댓글 3개

2022.12.21

이분야 해보면 바로 압니다 ㅎㅎ

IF : 1

2022.12.21

아가야.. 형이 면접본 k프래쉬 박사 iccv/cvpr각각 포스터 1개, aaai 포스터 1개 쓰고 한전공대 임용 됐다.. 그게 불과 올해 일이야.. 구라도 적당히 쳐라..

2022.12.21

아저씨는 지금 졸업하셨구요 저는 아직 남았잖아요 일년사이에 기준이 수직상승을하는데 기준을 아저씨한테 잡으시면 어떡합니까
방정맞은 공자*

2022.12.20

대학원 기준 현재 한국에서 제일 핫한 연구분야인데 그런 위험은 당연한 거 아님?

학부때 탑티어 쓰는 사람, 석사 1년차에 탑티어 쓰는 사람, 주위에서 꽤나 많이 보임.
리뷰 프로세스의 헛점이든, 그 사람의 노력과 재능이든, 발달한 연구실 시스템 때문이든.

연구하고싶어서 연구하는건데 그냥 즐겁게 연구하면 되는 거 아니겠음? 재밌잖아 컴퓨터비전 연구

대댓글 1개

2022.12.21

재밌어서 시작했다 박사한걸 후회함 먹고살기에 좋은것같지는 않음

2022.12.20

탑티어 4개 쓴애한테 뒤지게 얻어터지고 열등감 폭발해서 글 쓰셨나보네 ㅋㅋㅋ

대댓글 1개

2022.12.21

열등감 폭발 맞음 남들 다쓰는데 못쓰니까

2022.12.20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cifar 데이터셋 쓰는 연구로 대체 뭘 하겠다는건지

대댓글 2개

2022.12.21

Cifar 만 쓰는 논문이 세상에어딨음

2022.12.22

이건 진짜 심각하게 알못인데 ㅋㅋㅋㅋㅋ
너그러운 레프 톨스토이*

2022.12.21

포스터인지 오럴인지 확인하는 방법이 뭔가여? Cvf싸이트가면 따로 구분이 안되어 있던데.

대댓글 2개

2022.12.21

Cvf말고 학회 웹사이트에서 발표일정을 보면됨

2022.12.21

어차피 오럴이면 저자 본인이 홍보함. (oral) 이렇게 안붙어있는건 전부 포스터라 보면됨

2022.12.21

그래서 자율주행은 언제됨?

대댓글 1개

2022.12.21

한참걸릴듯? 자율주행은 잘몰라서
너그러운 레프 톨스토이*

2022.12.21

CVPR에서 예전 학회들 처럼 포스터를 없애고 오랄 수준 점수되는 논문만 억셉 해서 발표하게하면.. . 읽어야할 논문도 줄어들고 좀 교통정리도 되지 않을까요?

대댓글 2개

나른한 갈릴레오 갈릴레이*

2022.12.21

그럼 우리나라 상위 연구실도 1년에 1편정도 밖에 CVPR 안나올듯요. 대부분은 0편이구요. 포공 간지난다는 글에 비젼랩 CVPR 15편 나왔다고 간지난다고 하는 댓글 있던데 그 15편 중 오럴은 딱 1편입니다.
너그러운 레프 톨스토이*

2022.12.21

15년전엔 대충 그정도 논문 냈어요. 아마 최근 cvpr논문 수가 10년전 보다 10배는 더 될껄요.

2022.12.21

Paper중에 억셉률 극히 낮은게 oral인가요?
Oral은 되야 bk점수 있나요..?

대댓글 1개

나른한 갈릴레오 갈릴레이*

2022.12.22

억셉률은 6배이상 차이 납니다. (오럴:4% vs 포스터: 25%)
bk 점수는 탑티어기준으로 오럴 4점, spotlight 2점이고 포스터는 0점입니다.

2022.12.21

나도 이 분야인데 이런 글은 좀 진짜 모르겠다...논문 수가 중요함? 진짜??
요즘 빨리 컨트리뷰션 적당히 잡고 찍어서 일단 내고 보자는 느낌의 페이퍼가 너무 많음, 아니 논문 숫자 비교하고 뺑뺑이 돌리고...연구가 재미있긴 한가요?

대댓글 1개

2022.12.22

재미있는 애들은 일년에 열개씩 내고 나같이 꾸역이들은 하나겨우냄
연구라기보다는 레이싱게임이라 결과 모자라도 프리프린트부터 내고 시작. 3개월이내로 논문 outdated 됨
털털한 레프 톨스토이*

2022.12.22

제가 CV는 아니지만, 이런 양치기 연구를 추종하는 추세때문에 CS/AI 연구직 문화가 toxic하다고 하는거죠. 박사동안 논문은 대표저작 하나면 충분합니다. 그리고 해당 논문이 얼마나 훌륭한 연구인지를 따져가는거죠... 언제나 그렇듯 quality > quantity

대댓글 1개

2022.12.22

퀄리티있는 논문을 내는게 너무힘드니까 양치기로 가게됨. 이분야는 다작을 하면 하나정도는 인기있는 논문으로 얻어걸릴 수 있음. 또 논문자체의 퀄리티보다는 트렌드만 맞으면 하면 일년에 수백개씩 citation 달리는건 일도아니라

2022.12.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CV 분야는 아닌데, 컨퍼런스 실적은 무조건 ORAL 아닌가.. 언제부터 근본없이 POSTER도 컨퍼런스 실적이라고 하고다녔누?

대댓글 3개

2022.12.22

이분 최소 SPOTLIGHT PRESENTATION 해보신분이겠죠?

2022.12.23

탑티어 오럴 있으신가보네요 부럽습니다

2022.12.24

이건 분야 차이인데 머신러닝/CV는 풀 페이퍼 붙으면 기본이 포스터입니다. 다른 분야저럼 난이도 낮음 포스터 트랙이 따로 있는게 아니예요

2022.12.23

어느 세상에 살고 계신지.
여기서 이러면 뭐 좀 있어 보이나?

2022.12.23

근데 연구쪽 분야가 기하급수로 발전하면 그에 맞게 엔지니어는 엄청나게 필요해지는거 아닌가요? AI는 분야특성상 박사 후 엔지니어도 가능할것같은데

2022.12.25

탑티어 5개가 기준이면 걍 국내 cv박사는 거진 다 물박사일듯 ㅋㅋ

대댓글 1개

2022.12.30

맞음 진짜박사들은 미국 중국에 넘쳐남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