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진학이던 취업이던 최소한의 사회성은 갖춥시다

깔끔한 레프 톨스토이*

2022.11.23

16

8310

이 세상에 100% 자기 일이 어딨습니까? 어떤 프로젝트에서 자기가 맡은 부분의 대소의 차이인거죠

랩은 팀이고, 팀은 구성원간의 상호이해와 신뢰 없이는 존속이 안됩니다.

옆사람이 무엇으로 고민하는지 이야기를 들어주고, 내가 일적으로 고민이 있을 때 옆사람 뒷사람과 이야기하고, 교수님 불러앉혀놓고 모르는 부분에 대해 이해를 시키고 답을 구해야 실마리가 잡힙니다.

혼자 끙끙 앓는 것이 능사가 아닙니다. 그러면 아무도 못 도와줘요. 옆에서 지나가다가 참견이라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벽치고 내 할 일만 해야지 하면 자기 할 일도 못하고 수업만 듣고 졸업하는 수료생 되는 겁니다.

연구 혼자 하는 거 아닙니다. 회사생활 역시 혼자 하는 거 없습니다. 연구실 생활, 회사생활 모두 큰 단위의 조별과제입니다.

내 할 일만 하면 된다는 착각에서 벗어나세요. 그런 조직은 세상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자신의 사회성이 부족한 것 같다면 상상 속의 랩을 찾지 말고 사회성 훈련을 하세요.

점심이나 커피 마시면서 연구분야 공유부터 해나가면 쉽습니다. 그리고 이게 진짜 비즈니스적인 관계입니다. 이거마저 친목이라고 받아들인다면 더 해드릴 말은 없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2.11.23

제발 두번, 아니 세번 정독하세요

2022.11.23

ㄹㅇ

2022.11.23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 것 같지만,,,,왜 내주위에는,,,,,,

대댓글 1개

IF : 1

2022.11.23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은 상위 4프로 정도도 안될듯 합니다.

IF : 1

2022.11.23

아니 이정도도 안하는 사람들이 그리 많은건가요...? 충격적이네요..

2022.11.24

저도 오랜기간동안 사람들이랑 이래저래 지지고 볶으며 팀 단위 생활 해오고 있는데 굉장히 다양한 사람들을 마주하면서.. 때로는 혼자 묵묵히 하는것도 괜찮구나 싶을때가 있더라구요 주변에 어떤 사람들이 있는지, 같이 일하는 사람들이 어떤 사람들인지에 따라 입장이 바뀔것 같기도 하네요

대댓글 2개

2022.11.24

일례로 후배 챙겨준다는 명분으로 선을 넘는 선배가 있다거나 , 사회성 훈련을 본인은 하지 않고 후배들에게만 강요하고 본인에게 맞추지 않으면 사회성 없다고 평가하는 선배가 있다거나, 눈치 없이 말썽만 피우는 후배가 있다거나

본문의 내용이 서로간의 관계가 좋게 유지되는 선에서라면 이상적이겠지만 쉽지 않은게 현실이라고도 생각합니다

2022.11.24

구성원들의 성향이 진짜 중요한 것 같긴 합니다
아무리 혼자서 애써도 다수가 나와는 다른 성향이면...

2022.11.24

저희 연구실 상황이랑 비슷한 것 같아요
소통...도 참 중요한 부분인데, 많은 사람들이 놓치고 있는 것 같아 아쉽습니다

많은 경우 객관식처럼 정답이 있는게 아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의 다양한 생각을 듣고 공유하면서,
나아가 내 생각의 범위를 넓히거나 인지능력을 키우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면서 공감능력도 생기고, 그럼 대중들에게 어떤식으로 설명을 해야 잘 알아듣겠다는 개념도 생기고...

물론, 고립되서 본인 주어진 주제를 생각하는 것도 연구자에게 필요한 덕목 중 하나지만...

어째서인지 점점 객관식처럼 자기 말만 정답이라고 생각하는 랩 구성원으로 채워지고 있어서 참 답답합니다ㅠ

2022.11.24

공감합니다 ㅋㅋ 최근 연구는 혼자서 모든걸 할수 없으니, 의사소통이나 협업이 매우 중요해요. 심지어 교수가 되려고 해도 사회성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달리는 찰스 배비지*

2022.11.24

이런 말 하는 애들 특 ㅋㅋ 지들은 사회성 좋은 줄암 개꼰대에 날먹충일 확률 놏음

대댓글 2개

2022.11.24

기본적으로 사람이 갖추어야 되는 사회성을 말했을 뿐인데 님이 부적응자일듯ㅋㅋ

2022.12.0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본인이야기? ㅂㅅ

2022.11.24

사회부적응자들의 통한의 비추 ㅋㅋ

2022.11.25

제발 교수가 좀 봤음 좋겠다
오히려 소통하지말라고 하는 인간...

2022.11.29

쉽지 않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