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나도 좋은대학 교수 하고 싶음

당당한 임마누엘 칸트*

2023.01.18

29

5100

인서울 상위권대학교 조교수인데

나도 가끔은 spk에서 치열하게 연구하면서 살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듬

현실적으로 s는 안될거같고 pk는 잘하면 노려볼만할거 같은데

가족들이 지방으로 이사가는것을 극구 반대해서 차마 지원을 못 하겠음

아직 조교수라서 이런 생각이 드는건가 싶기도 하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9개

2023.01.18

네 하세요. 응원합니다.

2023.01.18

서울에서 포항은 힘들수도있겠다

2023.01.19

서울 사는게 큰 이득이자 자원입니다. 그래도 힘내세요

2023.01.19

문과 나부랭이라 p의 위상 솔직히 체감도 안되고 아직 학부생이라 그런 사회의 치열함은 잘 몰라서 그냥 하는 말이지만 포항사람으로서 생활 인프라는ㅋㅋㅋ... 서울 살다 오셨으면 체감 확 되실꺼에요..

2023.01.1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가능하다면 K는 괜찮지않나요? 포항은 진짜 ㅋㅋㅋㅋ 가족들 다 고통받겠지만... 애들 교육 생각하면 서울에 계세요... 포항에 경북과고 보낼자신없으시면..

대댓글 2개

팔팔한 에이다 러브레이스*

2023.01.19

올해 수능 만점자 둘 다 지방 출신인데 교육이 뭔 상관.. 포항 대구 울산에도 학군 좋은곳 널렸습니다.

2023.01.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ㅇㅇ 포항에 경북과고 포철고 학군 좋은건 알겠는데 수능만점자 아빠가 포공 교수고 인터뷰한거만 봐도 머리좋은애더만. 그 학생은 대치동 고액과외같은 인프라없이도 수능 만점 받을 수 있는 애임. 부모입장에서는 애들 성적이나 좋으면 장땡이겠지만, 애들이 뭐 하고 놀것도 없고 대체로 견문도 좁은편. 정보력도 딸리고

2023.01.1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치열하게 연구하고 싶다면 님의 경우 최적의 초이스는 ist 입니다. ist 정년보장받기가 무지 어려워서... 아시죠? p같은 경우는 의외로.. 교수뽑을 때 학벌을 무쟈게 따집니다. 학부 학벌이 s 또는 p 여야하고 k와 p는 서로 상호 암묵적인지 한 두명 이상 안 뽑아줍니다. p측에서는 k 학부나온사람보고 k 가지 왜 p 왔냐..그리고 반대도 성립합니다. 유학 학벌은 cal mit 아니면 실적이고..
편수만 보는것도 아니고 정성평가 들어갑니다..
같은 조교수 레벨에서 트랜스퍼하기는 불가능하고.. 조교수 레벨에서 부교수레벨로 승진 발령이 유리합니다. 그러려면 조교수때 논문 편수 100편정도이상.. 이나 네이쳐사이언스셀 2편이상.. 연구비 실적 10에서 20억 정도.. 보여주면 부교수로 받아줍니다. 그런데.. 그 정도 연구실적을 조교수때 보여주면.. 지금 계신 학교에서 스타 프로페서가 되는 건 물론이고.. 모든 지원 몰아주는데.. 굳이 p나 k 로 부교수로 옮겨서 맨땅에 헤딩하려나요 ㅋ

대댓글 4개

2023.01.19

너무 이상한 말을 많이 하셔서 할말을 잃었습니다. 대체 무슨 분야를 기준으로 말씀하시는건가요?

2023.01.1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화공이나 생명과학부 재료공학과 기준이고. cs 나 ee. math 는 그들만의 내부규정이 있습니다..뭐가 이상한 말이죠?

2023.01.19

조교수 레벨에서 트랜스퍼 불가능 -> 조교수 트랜스퍼 많습니다. SPK 내에서도 꽤 있고요. 인서울 상위권에서도 많이 보입니다. 무슨 근거로 '불가능'이라고 말하시는건지요?
조교수 때 논문 100편에 NCS 2편 이상... -> 이게 말이 되나요??? 임용되자마자 1년에 뭐 한 15개씩 내란 소리 같은데.. 거기에 NCS 급까지 껴서 내려면 실험만 2-3년 걸리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데요.

2023.01.1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ncs 2편이상 또는 논문 100편쯤이라는 뜻이고.. 석박사부터 포닥 조교수 누적 논문 갯수고요.. 건동홍 --> 중경외대 --> 서울대 같은 조교수 레벨 트랜스퍼 하시는 분들 매우 많이 봐서 그 경우 잘압니다. s 학부출신들인 경우가 많죠. 하지만.. 연구만을 하고싶다는 글쓴분의 취지는 p k 인데.. 그 대학은 조교수 레벨 트랜스퍼가 절대로 용이하지 않다고 말씀드리고.. 궁금하다면 p k 홈페이지 교수 이력 경력 한번 다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2023.01.19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내한테 P 고집 계속 하다가 타협해서 K 정도로 간다고 하면 못이기는 척 보내줄 듯
능글맞은 버트런드 러셀*

2023.01.19

서성한 중 하나 교수로 가정하고 조언 드림.
우선 위에서 언급한 ist는 고려 요소가 아님, 이건 본인이 더 잘알테니 넘기고…
KP는 인서울보다 강의 부담이 상당히 적음. 인서울 조교수 매학기 3과목씩 수업하는것에 비해 kp는 조교수도 학기당 1-2과목 밖에 수업을 안맡음. 많은 교수님들이 본가는 서울에 두고 주말 부부를 하심. 당연히 옮기고 수년간은 자리잡는데 집중해야겠지만, 수업부담도 없는데 연구실 자리잡으면?
지원을 해보고 고민하는게 맞겠지만, 조교수 트랜스퍼 안받는 다는 윗댓글 딱히 틀리진 않는듯? S하고는 다르게 kp는 새로운 필드를 다루는 프레시박사를 선호하는 경향(s대는 그런 교수가 성공적으로 자리잡으면 모셔가지)이 있고, 이직으로 옮길시엔 그만한 가치를 확실히 보여야 함.

대댓글 1개

2023.01.21

이게 가장 맞는 글 같네요.
탑 대학들은 뽑는 절차부터 많은게 다릅니다.
가능하시면 KP로 가시면 좋겠네요.
S가 더좋은 것 보다, 어차피 자연스레 은퇴교수님이 제자를 끌고가는 경우가 많아서 그냥 지른다고 되는건아니니...

2023.01.19

카이랑 포항에서 가족은 서울에 있고, 주말부부 하는 교수님들 많아요~~

2023.01.19

인서울 상위권 맞음?
내가 아는 성한 교수들은 kp 못지않게 엄청 치열하게 연구하시던데
서울생활 싫어해서 실적쌓아서 k로 옮겨볼까 생각하는 사람은 있음

지금 안치열하시면 못옮기실듯

대댓글 2개

IF : 2

2023.01.19

치열하게 안 산다 하시니 성한은 아니고 중경 이하일 듯 합니다
당당한 임마누엘 칸트작성자*

2023.01.19

치열하게 살긴하는데 그게 연구측면에서 치열한게 아니라서요

2023.01.19

무슨 말인지는 알겠는데 표현이 좀 이상함.
치열하게 연구하는거야 인서울 상위권 아니고 중하위권이나 지방대에서도 치열하게 연구하는 사람들 있는 거고.
좋은 학생 수급의 문제일텐데 인서울 상위권보다 좋은 곳은 서카포 외에는 없긴 함.
근데 인서울 상위권에서 포로 간다고 하면 가족들 입장에선....
진짜 치열하게 해서 서나 카로 옮기든지 아니면 그냥 있든지 일듯.
인서울 내에서 살짝 더 좋은 데로 옮기는 건 굳이.. 이직도 쉬운게 아니고 많은 것들을 다 버리고 가는 거라 고생임.

대댓글 6개

IF : 2

2023.01.19

글 보니 중경 이하를 서울 상위권이라고 쓰신 듯 함 (그래야 치열하게 살고 싶다는 말이 아다리가 맞고, 연구를 위해 더 좋은 학교로 옮길 필요가 있음)
당당한 임마누엘 칸트작성자*

2023.01.19

yk ssh 중 하나구요

수업하고 사업계획서 온갖 학과 잡무에 시달려서 연구할 여유가 생각보다 별로 없어요

2023.01.19

yk ssh가 연구할 여유가 없다니... 놀랍네요.

그렇다면, 더 상위권 가면 더 빡세실텐데 더 연구할 여유가 없으시지 않을까요??

사업계획서는 더 많이 쓰게될 수도 있으실텐데
당당한 임마누엘 칸트작성자*

2023.01.19

제가 듣기로는 pk는 수업로드도 별로 없고 학과잡무도 별로 없다고 하네요.
사업계획서는 비슷하긴 할듯 합니다.
능글맞은 버트런드 러셀*

2023.01.20

yk ssh 1~2년차는 연구에 집중할 여유 없는거 맞긴 함. PK는 임용 유예(0.5~1년)도 있고 연구를 우선시해서 조교수 수업 배려도 해주는데, 인서울은 유예도 어렵고 첫학기 9학점(최소 6) 시작임. 임용되자마자 2달만에 9학점 제로베이스에서 수업준비하면 첫 1년은 연구에 신경쓰기 어려운거 맞음. 이 시기에는 지도교수/선배 교수등 공동 연구로 버티고 이후로 자리잡는 케이스가 대부분임.

2023.01.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연고서성한 뿐만 아니라 어느 대학에서든 행정일 해먹기 힘들어요. 카포는 frp 지옥문.. 포는 의외로 포항쪽 산업단지 꽉잡고 있어서 용역 많습니다 공학쪽.. 안 알려진 사실이고.. 그 덕분에 연구원 인건비는 언제나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내부 경쟁과 견제 심합니다. 요즘 다 마찬가지겠지만요.

2023.01.21

한살이라도 젊을때 도전해보심이...
나른한 프랜시스 베이컨*

2023.01.22

카이스트는 서울에 집있고 주말부부나 출퇴근 하시는 분들있죠. 서울대는 안되고 카이스트는 된다. 카이스트를 알로 보는가?
청승맞은 요하네스 케플러*

2023.01.24

여기 웃음도 안나오네 ㅋㅋ 여기 댓글적는 사람중에 교수 현직자가 있는지 의문이고 특히 글쓴이와 비슷한 서울 상위권 대학의 교수 경험을 해본사람이 과연있을까? 대학원 준비하는 학부생이나 석사생이 교수 빙의해서 일해라 절해라 하는듯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교수 전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교수 전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